현장소식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소식을 전합니다

내가 여행을 떠나는 이유는 대체로 백가지 정도가 있어

내가 여행을 떠나는 이유는 대체로 백가지 정도가 있어 신정수|웹진콘텐츠팀|yamchegong@naver.com 올 봄, 부천영화제 상영표에 형광펜으로 동그라미를 수백번 치고도 표를 구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게 했던 영화들이 있다. 그 중에 가장 아쉬웠던 것은 일본의 ‘녹차의 맛’과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ジョゼと虎と魚たち)’이다. 멀티플렉스 극장이 동네의 작은 극장들을 대체한 이후 100만 명 이하의 사람들이 보고 싶어하는 영화들을 볼 기회가 사라진 것을 벽을 치며 아쉬워했다. 동네를 지저분하게 한다고 욕했던 동네 극장의 영화상영포스터도 못 보게 된지 오래이다. 뭐 동네의 중소극장에서 얼마나 ‘마니아적인(?)’ 영화를 볼 기회를 제공해주겠느냐마는 간혹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교육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살까?’

다문화 사회를 준비하는 교육 ‘다른 나라 사람들은 어떻게 살까?’ – <외국인 노동자와 함께 하는 청소년 타문화 체험 프로그램> 이란주|아시아인권문화연대 (아르떼 주) 이번 사례발굴은 <외국인 노동자와 함께 하는 청소년 타문화체험 프로그램>이다. 이 프로그램은 이주 노동자들이 학교나 복지관을 찾아가서 자국의 문화에 대해 설명하는 탐방 프로그램으로 현재 문화관광부의 지원을 받아 시행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한국사회에서 제 3세계 노동자들이 겪는 차별과 왜곡된 시선을 그들 자신의 언어로 풀어나감으로써 문화는 ‘평가의 대상’이 아니라 ‘이해의 대상’임을 알려나가기 위한 프로그램이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의 필자인 이란주 선생님은

풍덩! 세상 속으로-인권과 생태, 역사라는 화두로 여행하며 배우는 ’여행학교’ 사례

풍덩! 세상 속으로-인권과 생태, 역사라는 화두로 여행하며 배우는 ’여행학교’ 사례 우주|(사)생명평화 마중물 사무국장 (아르떼 주) 여행학교는 (사)생명평화 마중물 산하 새만금 생태학교 ‘시선’에서 진행하고 있는 인권과 생태, 역사를 주제로 여행하며 배우는 학교이다. 2004년 1월 첫 번째 여행학교 ‘인권 찾아 삼천리’를 시작으로 11월 네 번째 여행을 마쳤다. 생태학교 ‘시선’은 새만금 갯벌살리기 삼보일배를 했던 문규현 신부를 비롯하여 뜻을 모은 사람들이 (사)생명평화 마중물을 만들면서 다음 세대의 아이들이 생명과 평화의 씨를 뿌리는 사람으로 자라나기를 바라면서 만든 학교이다. 현재는 주말 학교, 여름 겨울 방학 생태 캠프,

열정을 품은 예술교육을 통해 환하게 자라나는 아이들을 꿈꾸다

열정을 품은 예술교육을 통해 환하게 자라나는 아이들을 꿈꾸다-뉴욕시 예술교육학회 (New York City Arts in Education Roundtable: Face to Face 2004) 참가기 송보림|아르떼 미국 지역통신원|brs77@columbia.edu 필자가 재학중인 미국 뉴욕의 한 대학교의 미술교육과는 석,박사 과정의 대학원 학생들만으로도 총 학생의 수가 이백 명을 육박한다. 이 많은 수의 학생을 보고, 오랫동안 뉴욕의 공립학교에 재직해 왔다는 한 선생님은 아주 놀랍다고 말씀하셨다. 영어나 수학 같은 실용적인 과목에 밀려 그 규모가 점점 축소되고 있는 현 미국교육계의 미술과목 비중을 생각할 때, 미술교사가 되겠다고 모여든 예비교사들, 현장에서 미술을 가르치는

[사이트리뷰] 청소년이 보는 세상 – 다음 세대 재단 Youth Voice

[사이트리뷰] 청소년이 보는 세상 – 다음 세대 재단 Youth Voice 김경미|기획운영팀|arte0081@hanmail.net 다음 세대 재단 “Youth Voice”http://www.youthvoice.or.kr 유스 보이스(youth voice)는 다음세대 재단이 문화관광부 청소년국, 다음커뮤니케이션과 공동으로 지원하는 “청소년 미디어 프로젝트 사전 제작 지원” 프로그램이다. 청소년이 미디어 컨텐츠의 생산자로 자리매김하며, 미디어를 통한 창의적인 문화작업을 할 수 있도록 극영화, 실험영화, 다큐멘터리, 게임, 애니메이션, 웹 사이트, 디지털음악, 모바일, 플래쉬 등 다양한 분야의 미디어 프로젝트 창작을 지원하고 있으며 콘텐츠 제작비, 기자재 사용이나 활동 공간, 제작 발표는 물론 관련 분야의 전문가까지 연계해 보다 체계적인 프로젝트를 완성할

[총론]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으로 탈바꿈한 폐교들

[총론]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현장으로 탈바꿈한 폐교들 전효관|아르떼 기획운영단장, 시민문화네트워크 대표 1. 폐교는 어디에나 있다 1982년 시작된 소규모 학교 통폐합 작업은 2000년까지만 추산해도 무려 2300여개에 달하는 학교가 폐교되는 결과를 낳았다. 도심공동화로 인해 서울 지역에도 폐교가 있기는 하지만, 폐교는 대부분 농어촌과 산간 오지 지역에 존재한다. 때로 작은 학교를 살리기 위한 운동이 존재하기도 했으며, 폐교를 활용하는 다양한 방안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폐교는 임대 형식을 통해 작가들의 작업실, 박물관, 단체의 전시공간으로 사용되기도 하고, 나아가서는 노인 요양시설, 농산물 가공공장, 최근에는 펜션으로 개조되기도 했다. 대부분 폐교는 일반적인

집과 문

집과 문 지민희|anamori@naver.com 집인줄 알았는데 도착하고 보니 집으로 통하는 문이란 걸 알게되는 때가 있다. 만화 드래곤볼이 여태 기억에 남는 이유는 손오공이 상대를 끝없이 초월해나가며 그리고 결국에는 시공간의 문제까지 넘어서며 경쟁자들과 대결을 벌였던 까닭이다. 작게 접혀있던 여분의 차원이 결정적인 순간에 펼쳐지는 것은 그 때 손오공한테나 나한테나. 지민희|

자유다. 마음대로 뛰어라

자유다. 마음대로 뛰어라 강대근|유네스코문화원장 아르떼 주 : 지난 10월 26일, ‘문화로 세상을 여는 청소년들의 삶과 진로’에 대해서 고민하는 청소년 문화포럼 <가로>의 발족식이 있었습니다. <가로>의 발족식에는 강대근 유네스코 문화원장님의 애정어린 발족인사가 있었습니다. ‘자유다. 마음대로 뛰어라’라는 이 글은 아이들의 ‘봄’을 바라며 소원처럼 적어내려간 글입니다. 아이들이 다양한 문화를 누리며 살았으면 하는 바람의 ‘가로’, 무한경쟁의 사회에서 주변을 둘러볼 수 있는 여유를 의미하는 ‘가로’ 등, 강대근 원장님의 글은 문화예술교육이 청소년이 모두 ‘시가 되는 새벽’을 어떻게 만들까를 고민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청소년 문화포럼 <가로>의 발족인사를 강대근 원장님의

문화예술교육시범사업을 통한 지역문화혁신

문화예술교육시범사업을 통한 지역문화혁신 이병준|부산사범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학교 연계 문화예술교육 시범사업 부산지역 사업총괄 시범프로젝트 참여의 동기 : 문화예술적 역량강화를 통한 도시의 리모델링 부산이 우리나라 제2의 도시라고들 하지만 과연 부산의 이미지는 어떨까? 부산국제영화제 하나만으로 부산을 문화도시로 부를 수 있는 것일까? 부산을 경영하는 CEO들은 선거공약으로 ‘도시의 삶의 질’을 내걸고 있지만 삶의 질이라는 개념 속에 문화코드는 과연 얼마나 존재하는 걸까? 문화도시비전에 대한 설정이라는 ‘거대한 이야기’는 있어도 이를 구현하기 위한 ‘작은 이야기’는 그다지 보이질 않는다. 교육행정가와 교사들은 인권침해 위기에 놓여있는 우리 아이들을 위한 여유와 숨쉴

열정적인 교사가 만들어낸 10가지 사례 -대전 새일 고등학교 교사 김은형

열정적인 교사가 만들어낸 10가지 사례 -대전 새일 고등학교 교사 김은형 장희정|웹진콘텐츠팀|jjang2355@naver.com 김은형, 그가 궁금하다. 아르떼 문화예술교육 사례 온라인 공모 최다 참여자는 누구일까? 5차 공모까지 총 10편의 사례. 그 주인공은 대전 새일 고등학교의 김은형 선생님이다. 매달 끊임없이 올라오는 선생님의 사례들을 보며 입시 교육으로 황폐화된 학교 현장, 인문계 고등학교에서 이런 사례들을 진행한다는 것 자체가 신기하였다. 또 이런 열정과 추진력은 어디에서 나오는 것인지 ‘김은형’이라는 인물 자체에 대한 궁금증이 커져갔다. 게다가 국사 담당 교사가 아닌가! 김은형 선생님과의 첫 만남은 그 열정과 열심을 느끼기에 충분하였다.

이것도 미술이다-인천 스페이스 빔(space Beam)의 사례

이것도 미술이다-인천 스페이스 빔(space Beam)의 사례 김지우|웹진컨텐츠팀|arte13@hanmail.net 민운기씨가 몸담고 있는 스페이스 빔(space Beam)은 인천의 지역문화와 미술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으로 대안미술, 공공미술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이자 공간이다. 그는 미술 작가이고 활동가이며, 프로그램 기획자이자 스페이스 빔 공동운영자 중 한 명이다. 하지만 서양화, 동양화라는 구분에 맞추어 자신을 소개하지 않는다. 오히려 거부한다. 미술이 美術이 아니라 내 삶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일상이 되기를 바란다. 공간에 개입하기 건축가 정기용 선생은 어린이 도서관의 건축가로 유명하다. 아르떼에서도 인터뷰를 한 적이 있는데(아르떼 웹진 땡땡 8호), 건축을 하기 위해서는 사람을 알아야하고

서울올림픽미술관 학교연계프로그램 “조각 맛 보기”

서울올림픽미술관 학교연계프로그램 “조각 맛 보기” 황지영|문화관광부 문화예술교육팀 인턴, 중앙대 박물관미술관학과 석사과정 재학중 아르떼 주: 점차 활기를 띠고 있는 박물관, 미술관의 다양한 교육 사례 중 하나로 “조각 맛 보기”를 살펴봅니다. “조각 맛 보기”는 서울올림픽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학교연계프로그램으로 미술뿐만 아니라 음악, 체육의 요소를 통합하여 미술관의 감상교육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서울올림픽미술관https://www.somamuseum.org//조각 맛 보기 : 전시기간(2004년 11월 28일까지)내 매주 수, 금요일 오전) 자연과 공존하는 미술관 & 조각 그리고 사람 올림픽 공원의 푸른 녹지와 함께 친근하게 다가오는 서울올림픽미술관은 서울 도심 한복판에 위치한 미술관이다. 지난 9월 세계적인

[사이트리뷰]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예술인 창작지원 프로그램

[사이트리뷰] 지역 주민과 함께 하는 예술인 창작지원 프로그램(Artist-in-Residence) : 일본 아오모리 국제예술센터 김지우|웹진컨텐츠팀|arte13@hanmail.net 아오모리 국제예술센터http://www.acac-aomori.jp 아오모리 artist-in-residence supporterhttp://airsaomori.fc2web.com 일본 아오모리현(靑森縣)은 도쿄에서 비행기로 약 1시간 거리에 위치한 지방 도시이다. 지리적으로도 기후적으로도 고립된 오래된 역사를 지닌 아오모리는 다른 지방과는 또 다른 다양한 모습의 고유의 전통을 소중히 보호하고 있는 도시이다. 자연이 만들어낸 웅대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는 곳이기도 하다. 도시가 가진 자연유산을 활용하여 아오모리 국제예술센터(Aomori Contemporary Art Centre)는 자연과 예술이 공존하는 새로운 창조의 장소를 목표로 2001년 12월에 개관하였다. 센터는 봄과 가을 2회, 각 2-3개월에

스타가 아닌 시민을 위한 교육 – 청소년문화예술교육에 관한 몇 가지 생각

스타가 아닌 시민을 위한 교육 – 청소년문화예술교육에 관한 몇 가지 생각 서동진|문화평론가 요 몇 년 청소년 영화제에서 심사를 볼 일이 자주 있었다. 어제 마침 또 하나의 청소년 영화제가 있어 심사를 보게 되었다. 출품된 작품을 보면서 또 한번 심란해졌다. 한두 해 전부터 청소년 영화제에서 작품을 고를 때 견지하는 원칙이란 게 생겼다. 수시로 바뀌기도 하지만 나름대로 고수하는 게 있다면 “입시 영화는 안된다”는 것이다. 수시나 특차 전형을 위한 발판으로 영화를 찍고 출품하는 친구들이 많아지면서 진짜 자기 영화를 찍은 친구들을 가려내기 위해 나름대로 굳힌

작은 우주를 만드는 교사, 수원 권선고등학교 미술교사 임종길의 ‘생태적인 학교 만들기’

작은 우주를 만드는 교사, 수원 권선고등학교 미술교사 임종길의 ‘생태적인 학교 만들기’ 신정수|웹진콘텐츠팀|yamchegong@naver.com 나는 이렇게 불렀다. ‘화분 연못’ 대형 화분을 막고 수생식물을 키워 작은 연못을 만든 것이다. 또 다른 작은 우주가 탄생한 기분이었다. -아르떼 2차 워크숍, ‘삶을 짜는 수업, 생활환경을 돌아보는 교실’ 발제문 중 학교에 작은 연못을 만드는 교사가 있다. 학교 귀퉁이 땅에, 낡은 고무통에, 버려진 욕조와 변기에 화분까지 무엇이든 연못으로 만들어낸다. 연못을 만드는 과정은 간단하다. 일단 물이 새지 않도록 조치를 한 후, 그 위에 식물이 살아갈 수 있도록 적당량의 흙을

장애, 비장애 어린이들이 함께 ‘극장으로 가는 길’

장애, 비장애 어린이들이 함께 ‘극장으로 가는 길’ 김숙희|어린이문화예술학교 대표, 성균관대학교 예술학부 교수 지난 10월 1일, 어린이문화예술학교에서 개최한 ‘제 2회 작은 축제-극장으로 가는 길’ 행사가 있었습니다. 여러 가지 장애요소로 인해 공연 예술을 관람하기 힘든 어린이들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축제’였습니다. 청각장애인에게는 조명과 움직임으로, 시각 장애인에게는 음향과 진동을 통한 공연체험을 하는 넌버벌 퍼포먼스, 약시 어린이를 대상으로 배우가 어린이 주위를 돌며 공간감과 촉감, 청각을 최대로 살리는 놀이 연극 등이 준비되었습니다. 장애, 비장애 어린이들이 함께 ‘극장으로 가는 길’을 리뷰를 통해 따라가봅니다. 어린이문화예술학교의 작은 축제 ‘극장으로 가는 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