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전체 기사
아르떼365 기사들을 주제별로 분류해놓았습니다.
코로나19, 문화예술의 성찰
-
꿈틀
닫힌 문을 열며, 일상의 회복과 연대
이승욱 플랜비문화예술협동조합 대표
박형준 _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2020.11.23 -
움틀
일상을 나누고, 서로를 돌보는 공간
미아리고개 도시재생 공간 ‘미인도’
허선희 _ 마을예술창작소 공간 릴라 운영지기 2020.11.23 -
싹틀
민주주의와 공동체성을 위한,
발현하는 마을아카이브예술교육과 기록
이영남 _ 한신대학교 한국사학과 교수 2020.11.23 -
비틀
자신의 길을 찾아 나아가는 예술가에게
지금 여기, 함께 살아감의 미학
사이먼 맥버니 _ 영국 컴플리시테 극단 대표, 배우, 연출가 2020.11.16
작지만 큰 공존을 위하여
-
비틀
경계 짓되 분리하지 않는 조화를 위하여
공존을 위한 각성과 시도
최성우 _ 보안1942(통의동 보안여관) 대표 2020.07.27 -
움틀
지구 생태계와 미시적 관계 맺기
2019 강원 창의예술교육랩 포테이토클럽 ‘에코-에듀랩’
강지현 _ 사단법인 대한스트릿컬처연맹 이사장 2020.07.27 -
꿈틀
생태적 삶을 향한 은근한 미학적 저항
전원길 자연미술가, 대안미술공간 소나무 전시감독
김종길 _ 미술평론가, 경기도미술관 수석큐레이터 2020.07.20 -
싹틀
자연 속에서 사색하며 예술 누리기
도시를 벗어난 문화예술공간
프로젝트 궁리 2020.07.13
인간의 감성을 돕는 기술
-
움틀
적정한 노동과 기술,
우리가 만나야 할 ‘진짜’ 세계‘나무방귀 스토브 워크숍’에서 일어난 일
임체스(임상빈) _ 미술작가 2020.06.29 -
비틀
완벽한 기술, 유한한 삶, 그리고 예술
인공지능 시대, 예술과 창작의 본질
구본권 _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2020.06.29 -
꿈틀
예술과 기술의 최전선에서 공명하는 따뜻한 소리
편집위원이 만나다⑥ 권병준 미디어 아티스트
조은아 _ 피아니스트,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2020.06.22 -
비틀
위험 속에서 예술이 마주해야 할 것은
인간의 교감을 돕는 기술
전치형 _ KAIST 과학기술정책대학원 교수, 과학잡지 <에피> 편집위원 2020.06.15
전환의 시대를 건너는 예술교육
-
비틀
생태계 내적 존재로서의
삶과 문화예술교육2020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맞으며
정원철 _ 웹진 [아르떼365] 편집위원, 추계예술대학교 교수 2020.05.25 -
비틀
건강한 성장과 생명을 불어넣는 교육
전환의 시대, 학교 교육과정의 변화를 위하여
이준원 _ 교육자, 전 덕양중학교 교장 2020.05.25 -
꿈틀
마음을 보듬고 진심을 다하는 예술교육자를 꿈꾸며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을 말하다④
2020.05.25
김나예 예술교육 생명나무 예술가 교사 -
동틀
전환의 시대, 변화와 과제를 모색하다
‘2020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온라인 행사 프리뷰
정리 _ 프로젝트 궁리 2020.05.25
학교문화예술교육을 다시 봄
-
꿈틀
학교 안 예술가 작업장의 실험
이호동 놀이예술가, 광주 야호문화센터 상주작가
천윤희 _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2020.04.27 -
동틀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학교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동향
기획 _ 지식정보R&D센터 2020.04.27 -
비틀
아이들의 목소리에서 답을 찾는다
학교에 뿌리내리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이호재 _ 명진초등학교 교사 2020.04.20 -
움틀
‘스스로, 서로, 넘나들며’
배움의 원리가 작동한다공간민들레 오디세이민들레학교 ‘프로젝트 활동’
김경옥 _ 공간민들레 대표 2020.04.20
존중을 향한 갈등
-
꿈틀
선주민과 이주민이 섞이는
‘프리포트 코리아’를 꿈꾼다편집위원이 만나다⑤ 섹 알마문 아시아미디어컬쳐팩토리 상근활동가·영화감독
고영직 _ 문학평론가 2019.12.23 -
비틀
우리 말의 오늘과 삶의 풍경을 모으다
남과 북이 함께 만들어가는 겨레말큰사전
정도상 _ 소설가, 겨레말큰사전남북공동편찬사업회 부이사장 2019.12.16 -
비틀
누구도 외롭지 않은 도시를 위하여
부산문화재단 비전 2030 수립과 지속가능발전목표의 문화적 실천
고윤정 _ 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2019.12.02 -
움틀
공동체, 주름을 읽고 이름을 기억하기
A.C.클리나멘 ‘빼뻘주름프로젝트’
김유리 _ 의정부문화재단 아트캠프운영실 주임 2019.11.25
예술가와 예술대학
-
비틀
도전과 실패에 대한 격려로서의 예술교육을 기대하다
[좌담] 청년 예술가가 말하는 대학 예술교육과 예술가의 미래
정리 _ 프로젝트 궁리 2019.10.28 -
동틀
예술적 혁신을 모색하는 길찾기
[해외리포트] 미국·일본 예술 전공 대학의 새로운 시도
이희경 _ 자유기고가 2019.10.28 -
꿈틀
새로운 교육 실험과 전망을 모색하는 긍지
강내희 지식순환협동조합 대안대학 학장
오창은 _ 문학평론가, 중앙대학교 다빈치교양대학 교수 2019.10.21 -
움틀
대학의 전문성과 자원이 예술교육의 바탕이 되려면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사업으로 본 예술대학의 고민과 딜레마
김병주 _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연극과 교수 2019.10.21
시대 변화에 대응하는
-
꿈틀
당사자로서,
말하고 기록하고 실천하다편집위원이 만나다④ 문화기획달 활동가 자정·이리
최보연 _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부연구위원 2019.09.23 -
싹틀
‘통찰하는 삶과 예술’ 8인 8색 처방전
변화하는 시대, 힘이 되어줄 영화・음악・도서
정리_프로젝트 궁리 2019.09.16 -
꿈틀
당사자의 경험이 뒤섞여 어우러지는 샐러드볼
편집위원이 만나다③ 박경주 극단 샐러드 대표·작가
정원철 _ 추계예술대학교 교수 2019.09.16 -
비틀
본질과 형식, 이면을 꿰뚫는 공감
시대의 흐름에 대응하는 전통
김준영 _ 국립국악원 창작악단 악장 2019.09.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