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틀

우리 삶과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이슈를 사유하고 질문을 건넵니다.

예술교육의 미래 아젠다를 제안합니다

예술교육의 미래 아젠다를 제안합니다   우리 부부가 경험한 제2차 세계문화예술교육대회는 아름답고 격조 높은 교육적 경험이었습니다. 문화예술교육계의 세계적인 지도자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었던 것 역시 우리에게는 큰 소득이었습니다. 공동주체 기관인 유네스코와 한국정부는 대회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참가자들에게 인상적인 경험을 남겨주었습니다.   특히 대회에 참여한 수많은 국가들의 다양한 욕구와 발전 가능성에 감탄 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서울 아젠다’ 채택은 매우 뜻 깊은 성과였습니다. 제 1차 대회 이후 4년 만에 서울에서 2차 대회가 열렸고, 4년 후에 제3차 대회가 지속적으로 열리게 된다는 사실은

학교 밖으로 예술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학교 밖으로 예술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예술은 사회성을, 교육은 창의성을’이라는 슬로건으로 진행되는 서울대회는 리스본에서 개최된 1차대회를 통해 얻어진 문화예술교육 로드맵을 바탕으로 보다 실천적인 방안을 제시하게 된다. 이를 위해 5번의 기조발제와 3번의 패널토론, 그리고 주제별 25개 분과회의가 이루어지며 고위급 원탁회의와 국제NGO포럼 등 4차례의 특별회의도 함께 개최된다. 개막 첫날인 5월25일에 열린 첫 번째 패널토론은 ‘로드맵 실행전략 수립’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서울 어젠다’ 초안으로 작성된 ‘예술교육 발전목표’ 발표   먼저 본격적인 발표에 앞서 이번 대회 전체 진행을 맡은 죠지 푸생 유네스코 창조사업과장은 1차대회에서 이루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