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토연구원, 「지역 간 삶의 질 격차: 문화·보건·보육」 균형발전 모니터링 & 이슈 Brief 발행
국토연구원은 [균형발전 모니터링 & 이슈 Brief] 10호 ‘지역 간 삶의 질 격차: 문화·보건·보육’을 발행했다. 지난 10년간 문화기반시설 수의 지역 간 양적 격차, 대표적인 문화기반시설인 도서관에 대한 접근성, 문화기반시설 전문예술법인·단체 현황, 공연 건수·매출액을 살펴보았다.
지역별 문화기반시설 수는 수도권의 비중이 35~37%, 비수도권이 64~63%로 인구가 적은 일부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인구 1백만명 당 문화기반시설 수의 격차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종류별로 비교해보면 수도권에 미술관(39.1%), 국·공립도서관(45.3%)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해 있으며, 비수도권에 문화의집(84.2%)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대표적인 문화기반시설인 도서관의 접근성은 특별시·광역시에서 가장 높았고, 도 지역에서 낮게 나타나 지역 간 격차가 뚜렷했다. 시·도별 전문예술법인·단체 현황(수도권 37.0%), 공연 건수(수도권 62.0%), 매출액(수도권 86.0%)에서는 전문예술법인·단체 수와 비교해 공연 건수, 매출액의 수도권 쏠림 현장이 나타났다.
[균형발전 모니터링 & 이슈 Brief] 10호는 국토연구원 누리집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2.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22년 해외문화예술교육 기획리포트 2호 발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2021년부터 국내 정책 및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의 관점과 시사점을 담은 「해외 문화예술교육 기획리포트」를 발간하고 있다. 2022년 1호 ‘일상으로 회복하는 미국 사회와 학교연계 문화예술교육’(관련기사)에 이어 2호에서는 ‘변화하는 미국사회와 만나는 문화예술교육’을 다룬다.
송보림 미국 이스트 캐롤라이나 대학교 미술대학 미술교육과 부교수가 편집장을 맡아 “미국을 중심으로 기술발전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사회 속에서 예술교육이 어떤 방향으로 흐르고 있는지 문화예술교육계가 어떤 질문과 물음표를 가지고 있는지, 또한 어떠한 해결점을 찾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구아란(캘리포니아 주립대학교 프레즈노 미술교육 전공 부교수), 임은경(미국 케네소 주립대학교 미술교육학과 조교수), 김성규(컬럼비아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사 수료) 세 명의 필자와 인공지능, 가상현실과 메타버스 등 과학의 발달과 미국 문화예술교육의 변화를 짚어보고 관련 사례를 소개한다.
3.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정책의 전망과 과제’ 정책토론회 개최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예술인복지재단과 함께 지난 9월 30일에 ‘문화예술정책의 전망과 과제’를 주제로 정책토론회를 개최하였다. 이번 정책토론회는 한국문화관광연구원 개원 20주년을 맞아 지난 20년간의 문화예술정책 연구 성과를 돌아보고 새 정부 문화예술정책이 나아갈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1부에서는 ‘문화기본권과 재정개혁’을 주제로 윤소영 문광연 선임연구위원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있었고, 2부에서는 ‘예술인 창작안전망’을 주제로 차민경 문광연 부연구위원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주제발표문과 토론문은 자료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4. 광주문화재단, ‘2022 아시아문화포럼’ 개최
광주문화재단은 지난 10월 12일, 13일 이틀에 걸쳐 2022 아시아문화포럼을 개최했다. 아시아문화포럼은 아시아문화중심도시 광주에서 동시대 아시아 문화관련 이슈를 주제로 한 논의와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아시아 문화 담론을 형상·확산하기 위해 2006년 시작되어 올해 16회를 맞이하였다. ‘다시, 지속가능발전과 문화_조화로운 삶을 위한 문화적 길 찾기’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는 2015년 UN총회에서 전 세계가 이행하기로 결의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7개 목표 중 직접적으로 문화영역을 언급하지 않았으며, 이에 문화를 통한 도시문제 해결방안을 논의하고 문화다양성과 문화적 권리를 생각해보며, 지속가능한 우리 사회를 위한 예술에 대해 강연 및 발제, 토론이 진행되었다.
1일차에는 ‘조화로운 삶을 위한 문화적 길’을 주제로한 특별강연(정수복 사회학자)과 ‘문화를 통한 도시문제 해결’ ‘문화다양성과 문화적 권리’를 주제로 기조발제와 지정토론이 진행되었다. 2일차에는 특별세션으로 우리나라와 캄보디아, 필리핀 등 아티스트 4명의 사례발표가 이어졌다. ‘2022 아시아문화포럼’의 1일차(특별강연, 세션1,2) 발표 영상은 광주문화재단 유튜브를 통해 볼 수 있다.
※ 「2022 문화예술교육 정책동향」의 보다 자세한 내용은 ‘arte라이브러리 – 위클리 뉴스’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기획 및 원문가공_연구조사팀
- 정리_프로젝트 궁리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3 Comments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비밀번호 확인
조화롭고 지속가능한 변화의 움직임
2022년 10월 문화예술교육 정책 동향
잘 보고 갑니다
조화롭고 지속가능한 변화의 움직임
2022년 10월 문화예술교육 정책 동향
기대됩니다
조화롭고 지속가능한 변화의 움직임
2022년 10월 문화예술교육 정책 동향
공감이 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