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는 자유와 연대의 가치를 바탕으로 미래사회 변화에 대응하는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2027)’을 지난 2월 27일(월) 발표했다.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은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6조 및 국정과제에 근거해, 향후 5년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 방향을 제시하는 법정계획이다. ‘누구나, 더 가까이, 더 깊게 누리는 문화예술교육’으로 향후 5년 간의 문화예술교육 정책 방향을 살펴본다.
누구나, 더 가까이, 더 깊게 누리는 문화예술교육
윤석열 정부는 ‘일상이 풍요로워지는 보편적 문화복지 실현’을 국정과제로 삼아 국민 모두에게 공정한 문화접근 기회를 보장하기 위한 정책을 펼치고 있다. 제2차 종합계획은 자유와 연대의 가치를 실현하고자 ‘누구나, 더 가까이, 더 깊게 누리는 K-문화예술교육’을 비전으로 설정하고, ▲차별없이 자유롭게 누리는 문화예술교육, ▲공정한 문화예술교육 접근 기회 보장, ▲짜임새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구축이라는 세 가지 목표 아래 3개 추진전략, 7개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약자 프렌들리’ 문화예술교육 확대, 수요자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 확립
꿈의 오케스트라·꿈의 댄스팀 거점기관을 확대해 아동·청소년 대상 다각적 문화예술교육을 지원한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국민 우울감 심화에 대응해 대상 특화 예술 치유 지원을 확대하고, 민간기업의 후원을 공세적으로 유치해 국고지원 이후 수혜시설의 자립을 지원한다. 수혜자가 자신이 원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 중심의 사업구조를 개편한다. 수혜시설이 수요에 맞는 프로그램(강사·단체) 정보를 찾고 공모에 참여할 수 있는 매칭 플랫폼을 신규 구축해 2024년부터 시범 운영한다. 분야별·대상별 맞춤형 우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도 개발·보급해 문화기반시설·비문화시설 등이 원하는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을 쉽게 실행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우리 동네 학교와 지역에서 즐기는 문화예술교육을 희망하는 모든 학생에게 맞춤형 에듀케어를 제공하는 ‘늘봄학교 추진방안’과 연계해 방과 후 문화예술교육 지원을 강화한다. 각 지역의 교육지원청과 협력해 디지털아트·뮤지컬 등 신규 수요에 대응하는 방과 후 아동 대상 문화예술교육을 추진한다. 초등학교나 문화기반시설 등에서 활용할 수 있는 아동 특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풀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전략적으로 추가 개발할 계획이다.
지역 문화예술 격차를 극복하고 짜임새 있는 문화예술교육 지원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생활밀착형 문화예술교육 거점 지정(인증) 제도를 새롭게 도입하고 2027년까지 거점 30개소를 조성한다. 문화예술교육 운영 역량, 인력, 공간 등을 보유한 주체를 지정하고, 이 주체에 직·간접적인 맞춤형 지원을 제공할 예정이다. 지역에서 공정하게 문화예술교육을 누릴 수 있도록 문화취약지역에 신규 거점을 발굴·육성할 계획이다.
디지털 문화예술교육 환경 조성, K-문화예술교육 글로벌 확산
AI, 메타버스 등 신기술 발전에 대응하기 위해, 디지털 문화예술교육 기반을 구축하고 지원을 확대한다. ‘디지털 플랫폼 정부’ 기조에 발맞추어 아동, 노인, 장애인 등 대상 특화 디지털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기획·개발하고, 디지털 플랫폼에 보급·확산을 지원한다.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 체험형 연수 과정을 새로 개발하고, 예술·기술 융복합 문화예술교육도 신규 개발·확대할 예정이다. 우수한 K-문화예술교육 모델을 세계로 수출하는 정책도 병행한다.
예술꽃씨앗학교 꿈의 댄스팀 등 한국의 우수 문화예술교육 모델을 적용해 문화예술교육 공적개발원조(ODA) 사업을 공세적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 어젠다’ 발표 이후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서 높아진 위상을 더욱 공고히 하기 위해 유네스코 국제회의를 통해 한국형 정책 성공사례를 확산하고 추후 국제기구와의 협력관계도 강화한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현장 관계자와 전문가로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 수립추진위원회’를 구성한 것을 시작으로, 대국민 설문조사·정책토론회 등을 통해 수혜자와 관계자의 다양한 요구를 수렴해 종합계획안을 도출했다.
디지털콘텐츠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