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문화체육관광부가 발표한 「문화예술교육 중장기 발전계획」의 주요어는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지역화, 내실화이다. 생애주기별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다각적으로 실행중인 한국의 경우, 정책 지원 대상 목표가 ‘전 국민’으로 확장되면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는 학교를 넘어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위해 어떠한 사회적 맥락과 배경 속에서 정책과 사업을 시행하고 있을까.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사례 연구」(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문화컨설팅바라, 2014)를 바탕으로 한국, 영국, 프랑스, 독일, 미국, 호주, 일본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과 세 개의 키워드(문화기반시설, 소외계층, 지역공동체)로 보는 사례를 두 번에 나누어 소개하고자 한다.
유럽, 북미에서 정규 학교 교육과정 외 사회적 영역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활동은 기술 및 직업교육, 도서관 운동 등 사회적 상황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시작되었다. 해당 사회가 가진 이유와 필요에 의해 각기 다른 형태로 나타났지만 국가별 특징을 담은 사회문화적 산물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차츰 성인교육과 평생교육의 개념으로 확장된 사회문화예술교육의 흐름은 평생교육이 예술교육의 장으로 활용되기 시작하면서 여러 범주로부터의 다양한 욕구가 문화예술 활동의 활성화로 이어지게 되었다. 자연스레 미술, 음악에서 연극, 미디어, 사진 등 다양한 장르로 영역이 확장되었을 뿐 아니라 커뮤니티 아츠가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기술적 측면이 강조되던 예술교육은 이제 창의적 활동의 의미를 담게 되었고, 문화교육 혹은 문화예술교육으로 그 범위가 한층 넓어지게 되었다.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에 대한 보다 자세한 배경 설명은 하단에 첨부된 연구보고서를 참고할 수 있다.
용어의 사용 : 교육, 학습, 활동
포괄적 의미에서 예술교육(Arts Education)이 통용되고 있지만 ‘교육(education)’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인식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학교 밖 영역인 사회분야는 참여자의 자율성과 실험성이 강조되는 만큼 ‘교육’보다는 경우에 따라 ‘학습(study)’ 또는 ‘활동(activity)’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한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들은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어떻게 정의하거나 유사하게 규정하고 있는지 아래 표를 통해 정리해보았다.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 정의 혹은 유 규정 글목록
국가 |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 정의 혹은 유사 규정 |
한국 |
문화예술교육 (Arts and Culture Education), 사회문화예술교육 (Community Arts Education)
- – 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 및 문화산업, 문화재를 교육내용으로 하거나 교육과정에 활용하는 교육
- – 사회문화예술교육은 문화예술교육시설 및 문화예술교육단체와 각종 시설 및 단체 등에서 행하는 학교문화예술교육 외의 모든 형태의 문화예술교육
|
프랑스 |
문화예술교육 (Education Artistique et Culturelle), 문화활동 (Activite culturelle), 문화활성화 (Animation culturelle)
- – 문화정책은 예술가의 창작활동 진흥과 아마추어 문화 활동의 진작, 사회 불평등 해소를 위한 사회 문화 활동을 지원
- – 학교 밖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예술교육은 정책적인 문화 영역이라기보다 여가활동 영역에 해당
|
영국 |
창의교육 (Creative Education), 문화교육 (Cultural learning)
- – 예술교육은 예술을 통한 감수성 증진, 미적 체험을 중시하며 창의교육은 예술교육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 향상으로 사회에서 필요한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함
- – 문화교육은 문화예술의 본질적 의미를 강조하고 예술에 대한 감수성 향상을 목적으로 함
|
미국 |
커뮤니티 아츠 (Community Arts), 찾아가는 프로그램 (Outreach program)
- – 1990년대 이후 예술가 중심으로 활발히 전개된 대중친화 문화예술활동이 지역민의 자발적 참여와 예술가와의 협업을 통해 지역사회의 발전적, 생산적 의미를 찾는 커뮤니티 아츠로 자리함
- – 찾아가는 프로그램은 소외계층을 대상으로 문화예술기관이 매개가 되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
|
독일 |
문화교육 (Kulturelle Bildung)
- – 문화교육은 상실된 의사소통 및 감수성 회복, 비판적 판단력, 매체의 활용능력 강화, 창의성‧독립성 함양, 성찰능력 확대 등을 담당
|
호주 |
예술교육 (Arts Education)
- – 학교 외 문화예술교육, 커뮤니티 내 문화예술교육이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에 해당
- – 문화는 예술을 통해 개인과 국가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이며 예술은 문화, 역사, 전통과 상호작용을 통해 우리의 현 모습을 대변하는 것으로 예술의 사회적 영향을 강조
|
일본 |
사회교육, 예술교육, 지역문화진흥
- – 사회교육 내 취미예술교육, 문화영역 내 지역문화진흥 정책이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에 해당
- – 문부과학성 사회교육과는 주민들의 요구와 흥미에 기초하는 생활예술에 가까운 박물관, 도서관 사회교육을 추진
- – 문부과학성 문화청은 일반 국민대상 국민의 문화력을 강조한 문화예술진흥 사업을 추진
|
각국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 목표와 경향
각 국가의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은 국가별 사회적 맥락과 철학적 배경과 연관이 있게 마련인데, 정책 목표와 경향을 정리한 아래 표를 보면 그러한 특징이 반영된 국가별 주안점이 드러난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배경, 주체와 대상, 추진체계 등 보다 세부적인 내용은 연구보고서에 수록되어있다.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 정의 혹은 유 규정 글목록
국가 |
정책적 목표 |
정책 및 사업의 경향 |
한국 |
– 문화예술교육의 일상화, 지역화, 내실화 |
– 정책 수립의 주체인 중앙정부가 대상 및 사업의 범위를
설정한 후 사업 실행을 지원 |
프랑스 |
- – 국민의 문화권 실현
- – 비판적 감수성 함양, 문화적 사회 불평등 해소,
문화다양성 강화, 다원적 인문능력 향상
|
– 문화통신부 산하 문화기반시설 중심으로 사회문화예술교육
사업이 전국적으로 분포, 여가 및 지역사회 연계 활동은
체육청소년부, 시민의 자발적 문화활동은 지방자치단체
정책 영역에서 다루고 있음 |
영국 |
- – 모두를 위한 예술적 경험 및 체험을 통한 재능 개발의
기회 제공
- – 예술가 지원 및 전문인력 양성
|
– 문화권에 기초한 보편적 접근보다 사회적 결핍을 지원하고
사회적 활력을 회복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시민참여,
사회통합, 지역 커뮤니티 프로그램이 주를 이룸 |
미국 |
- – 모두가 자율적으로 문화예술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
- – 커뮤니티의 창조적 역량 강화
|
– 문화민주주의와 커뮤니티 아츠의 사회적 토대로 국가
차원의 장기 정책 구상에 기반한 프로그램, 지역민 중심
맞춤형 프로그램, 지역 내 다양한 주체 간 유기적 협력
프로그램이 주를 이룸 |
독일 |
– 문화교육은 모두를 위한 예술과 문화의 접점에서 일어나며
평생학습의 중요성, 지역 내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강조 |
- – 강력한 지방분권과 환경조성 및 여건 마련 등 기본적 역할을
수행하는 연방정부와의 조율이 특징
- – 일상의 커뮤니티 기반, 사회적 통합을 위한 프로그램 다수
|
호주 |
- – 아동‧청소년이 모든 방면에서 다양한 예술을 접할 수
있게 함
- – 지역 커뮤니티 정체성 강화 및 지역 문화 활성화
|
- – 지방정부 역할의 활성화
- – 이주민과의 화합 중시, 호주의 역사, 문화, 예술의 역할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최근 높아지는 가운데 지역 커뮤니티
활성화 도모, 소외계층 대상 프로그램이 주를 이룸
|
일본 |
- – 국민이 자발적으로 일상생활의 문화적 교양을 높일 수
있게 함
- – 지역사회를 건강하게하고 국가를 풍요롭게 하는 문화력
신장
|
- – 문부과학성 독립청인 문화청은 문화예술시설 조성 및
예술활동 지원에서 최근 시민문화역량 강화와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노력
- – 평생교육 중심, 지역사회 문제해결에 중점 프로그램, 치유와
연대가 강조된 지역민 주체 문화 활동과 문화 NPO 활동이
활성화
|
사회문화예술교육 분야 정책은 해당 사회의 사회문화적 요구와 역량, 의식이 반영되어 나라별 환경에 따라 다른 모습으로 발전해왔다. 그럼에도 유럽 및 북미권에서는 60년대 이후 시민적 질서 변화를 겪으며 문화권, 커뮤니티 아츠, 문화교육, 문화다양성 등 현대적 문화현상에 대응할 사회적 체력을 확보하고 있었다는 공통점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연구보고서 부록으로 실린 국가별 사회문화예술교육 연표를 참고하면 흐름을 파악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이어지는 글에서는 사회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주요 내용에 기반을 둔 국가별 사업과 프로그램 사례를 소개할 예정이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