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아르떼]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판을 읽어? 판을 바꿔!

박찬국 공공미술작가‧문화예술교육기획자

‘88만원 세대’를 넘어 ‘삼포 세대’라는 말이 나오고, TV 시사프로그램에서는 ‘청년을 위한 나라는 없다’고 한다. 하지만 젊음이 가진 열정과 패기로 무장한 청년이 우리의 내일이고 미래라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그들에게 필요한 경험과 기회의 장을 제공하고자 했던 ‘청년기획자 발굴 프로젝트 – 청년, 꽃길을 달리다’에서는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멘토와 청년이 만나 서로 교류하고 아이디어를 발전시켜 나갔다.

10년의 성과를 이어갈 성장의 책임

데이비드슨 헵번 제35차 유네스코 총회 의장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이야기지만, 유네스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은 우리나라가 그 탄생을 이끌어냈다. 2011년 11월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개최된 제36차 유네스코 총회에서 우리 정부가 발의한 ‘서울 아젠다 : 예술교육 발전 목표’ㄴ를 만장일치로 채택하고 매년 5월 넷째 주를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으로 선포한 것이다. 당시 그 과정을 함께했던 데이비드슨 헵번(Davidson Hepburn) 전 유네스코 총회 의장이 주간 행사 개막식 축하인사, 국제심포지엄 발표를 맡아 4년 만에 한국에 다시 방문했다.

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디자인 연구진 인터뷰

‘2014 학교 문화예술교육 교수-학습지도안 개발 연구-디자인’ 연구 중 ‘오아시스 같은 버스 정류장’의 진행 과정이 영상이 포함된 툴킷으로 제작된다. 이 툴킷은 학습지도안 개발 연구 내용을 영상으로 제작한 첫 사례로서 의미가 깊다. 이 과정을 함께한 김선아 교수와 손현준, 이효광 예술강사를 만났다.

새로운 삶을 꿈꾸게 하는 큰 생각, 예술 그리고 ‘상상력’

미국의 비영리재단 빅 쏘트(Big Thought)의 지지 앤토니(빅 쏘트 대표)와 리사 슈미트(빅 쏘트 교육전문가)는 ’내가 지금 알고 있는 것’과 바깥의 것을 상상해 낼 수 있는 힘으로써 상상력과 창의성을 말한다. 그리고 여기서 예술은 우리가 새로운 세계를 그리고 생각하면서 경험, 생각, 감정, 이해의 폭을 넓혀가며 이러한 상상력을 키워주는 중요한 열쇠가 된다.

예술 vs 문화예술교육? 함께하는 예술이 문화예술교육이죠!
문화예술교육을 만난 예술가_미술작가 김화용, 힙합뮤지션 김용래(술래)

미술작가와 힙합뮤지션, 언뜻 생각하면 자유롭고 창의적인 예술활동에만 전념할 것 같은데요. 이들을 부르는 또 다른 이름은 바로 ‘문화예술교육가’입니다. 예술가로, 문화예술교육가로 활발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옥인 콜렉티브의 김화용 미술작가와, 세 남자의 랩퍼 김용래(술래)를 만나보았습니다. 문화예술교육을 만난 예술가들의 이야기를 함께 들어볼까요?     미술작가와 힙합뮤지션, 왜 예술가가 되었나요?   김화용: 어릴 적부터 음악, 영화가 문화예술인지도 잘 모르면서 관심이 많았어요. 공대에 진학해서도 학교생활보다는 온라인에 단편영화 비평을 올리고, 애니메이션이나 재즈 관련 동아리 활동을 많이 했죠. 다른 사람들과 다른 나만의 언어를 가지고 싶었어요. 결국 학교를 중퇴하고

소마미술관 여숙기 교육담당자를 만나다

  세계 제5대 조각공원 중의 하나인 올림픽 공원 내 위치한 소마미술관은 국민의 예술적 정서함양을 위하여 2004년 9월 개관한 대중지향적 문화예술공간이다. 어느덧, 시민들의 예술의 장이자 친목의 장, 화합의장으로 자리잡은 이곳에서 예술아카데미와 유,청소년 교육프로그램 등 시민들과 친숙해지기 위한 다채로운 문화행사들을 진행하고 있는 소마미술관의 여숙기 교육담당자를 만났다. 글_ 박정숙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대외협력팀   Q. 아르떼진 구독자 분들에게 소개 부탁드립니다.   올림픽 공원 내 자리하고 있는 소마미술관이라는 특수한 공간에서 미술관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미술관 건립에서부터, 주어진 공간에 대한 고민,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에 대한 고민, 기존

아티스트 올리버 그림과 임지영을 만나다

지난 1월 29일부터 2월 2일까지 공주에 있는 전통불교문화원에서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友樂部落)시즌 4 ‘비밀의 방’ 행사가 있었다. ‘아티스트와 놀다’를 핵심 콘셉트로 하는 본 행사장을 아르떼진이 찾았다. ‘비밀의 방’에 참여하기 위해서는 12가지의 수수께끼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이에 아르떼진은 ‘산은 산인데 못 넘는 산은?’이라는 수수께끼를 가진 비밀의 방에 들어갔다. 그리고 그곳에서 아티스트 부부인 올리버 그림과 임지영 씨를 만나게 되었다. Q.먼저 두 분이 창작한 비밀의 방 컨셉이 궁금합니다. A.일단 아이들에게 공간을 마련해주자는 취지에서 방에 천막을 쳐서 또 다른 방을 만들었습니다. 이 공간은 쉼터로 사용되기도

더 미디엄 유원준 디렉터 & 허대찬 교육전문담당자 인터뷰

‘미디어 아트’라고 하면 일반인에게는 생소한 단어지만, 우리 생활 속 미디어 아트는 이미 깊이 들어와 있다. 미디어 아트 초기 브라운관이나 모니터, 음향기기 등을 통해 공간에 예술을 시도했던 미디어 아트는 이제 스마트폰, 아이패드 등 개인 정보기기를 만나 더욱 흥미롭고 유쾌한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 미디어 아트는 감상자가 유연한 사고를 가지도록 도우며, 감상자의 오감을 자극해 새로운 예술 영역으로의 발전을 이끌기도 한다. 단지 감각의 자극에만 머물지 않고, 미디어 아트의 경지를 넓히기 위한 미디어 아트 교육에 힘쓰고 있는 미디어 아트 복합문화공간 ‘더 미디엄(The Medium)’과 국내

최화정 무용예술강사를 만나다

  우리나라 서쪽 끝 태안반도에서도 한참이나 더 들어가야 나오는 조그마한 바닷가 마을 만대. 하루에 버스가 네 번 밖에 들어오지 않는 이곳은 ‘하도 멀어서 가다가 만대~’라는 이유 때문에 ‘만대’ 마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믿지 못할(?) 전설의 마을이기도 하다. 이 외진 곳에 ‘춤바람’을 일으킨 당찬 무용분야 예술강사가 산다는 이야기가 전해졌다.   태안지역 최초의 무용예술강사   한참을 기다려 만대마을행 군내버스를 타자 운전기사가 “그 ‘꼴(골짜기)’에는 왜 갑니까?”라고 물어 오셨다. “만대에 무용 가르치는 선생님이 계신다고 해서요.”라고 기자가 말하자 기사님은 호기심 어린 눈초리로 “만대에 정말 그런 사람이

함께하는 CoP! 참여자 인터뷰

  CoP의 핵심은 ‘실행’이 함께하는 배움입니다. 여기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젊은 예술강사들이 CoP를 결성해 행동으로 옮기는 배움에 나섰습니다. 문화예술을 통한 더 나은 실천, 그리고 한 사람의 삶을 풍성하게 만드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해 젊은 패기로 도전한 이들의 이야기! ‘애정사’ CoP의 박지영 조장(국악부문 예술강사)과 ‘이게 진짜일까’ CoP의 김민아 조장(미술부문 예술강사)이 전하는 생생 CoP 현장의 이야기를 11월 셋째 주 아르떼진 테마기획에서 만나 보시기 바랍니다.       문화예술교육 실행공동체를 말하다 김정이 퍼실리테이터 기고   이야기 하나 문화예술교육의 애매~한 부분 우리가 직접 해 보고 정해 드립니다~!

서울시 교육청 혁신학교 TF 김정만 교사 인터뷰

  지금 우리나라 교육계의 중요한 키워드는 바로 문화예술교육이다. 창의성을 키우고 인성을 높이는 교육 해법을 문화예술교육으로부터 찾고자 하는 바람이 불고 있는 것이다. 내신과 입시 위주의 삭막한 교육과 이에 따른 사교육 열풍이 공교육 현장을 피폐하게 한다는 자성의 소리도 높다. 이에 서울시 교육청 문화·예술·체육(이하 문·예·체) 활성화를 위한 혁신학교 TF(태스크포스: 어떤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 임시로 만들어진 전문가 조직) 김정만 교사를 만나 이야기를 들어 보았다.   ‘연극쟁이’ 선생님, 두 팔을 걷어붙이다   창덕여중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김정만 교사는 한국교사연극협회 고문이며, 교육연극을 전공한 ‘연극쟁이’ 국어 교사. 과거

헌책 왕국 ‘헤이온와이’ 창시자 리처드 부스 간담회

  책+문화 현장을 가다 ① 부산 보수동 책방골목 다시보기   세계적인 책 마을인 영국 웨일스의 ‘헤이온와이(hay-on-wye)’를 창시한 리처드 부스(Richard Booth)씨가 아시아 최대 규모 책 축제인 ‘파주북소리 2011’ 특별강연을 위해 내한했다. 부스 씨는 지난 10월 1일 파주북소리 빅토크(Big Talk) 첫 번째 강연 ‘헌책방 왕국 헤이온와이 이야기’에서 지식의 보고로서의 헌책의 가치, 그리고 책에 대한 자신의 열정 등을 밝혔다. 10월 아르떼진 테마기획 두 번째 이야기는 ‘헌책왕’ 리처드 부스 씨와의 만남을 전한다.   지성과 지식을 대변하는 존재span>   런던에서 출발하는 기차를 타고 하루 종일

지역문화 컬처펍 참가자를 만나다

  2011년 교육진흥원은 ‘지역문화의 지속가능한 재생’을 모토로 다양한 지역문화 활성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역문화 아카데미, 전문가 양성과정, 공감포럼 등 다채로운 활동 중 젊음의 활기가 돋보이는 사업으로는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지역문화 예비인력 양성과정이 있다.   젊음의 힘, 다리가 되다   ‘컬처펍Culture PUB‘이라 명명된 대학(원)생 예비인력 양성과정. ‘컬처’는 문화, ‘펍’은 Power, Passion, Participation의 P, Up, Union, You의 U, Bridge의 B를 따서 만들어졌다. ‘힘과 열정으로 함께하며 문화로 가는 다리가 되자’는 뜻이 담긴 것이다.   올 6월부터 9월까지 총 4개월 간 활동하는 컬처펍

문화예술교육분야 사회적 기업의 방향은? 전문가 대담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기꺼이 그 해결에 대한 대가를 지급하고자 하는 수요로 인해 수익을 창출하는 기업이다. 해결책의 제시는 물론, 해결책을 통해 수익을 창출한다는 것은 결코 만만한 일이 아니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에 대한 이해와 이를 통한 조직의 체질개선, 혁신이 일어나는 대신, 한쪽에서는 정부의 지원제도와 사회적 기업들의 취약한 재정기반이 만나 또 다른 병리 현상을 낳기도 하고 있다. 지난 5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도 문화예술교육 분야 사회적 기업 지원사업을 시작했다. 사회의 새로운 요구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이 본질을 다시 묻고 진화할 수 있는 기회가 될지, 아르떼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