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E 365

  • 비틀
  • 꿈틀
  • 움틀
  • 싹틀
  • 동틀
  • 현장소식
  • 아르떼365 영상
  • 주제별 전체기사
  • 전체기사
  • 구독신청
  • 아르떼365 소개
  • .
  • .

통합검색

#추천키워드

  • #문화예술교육정책
  • #지역
  • #농산어촌
  • #인프라
  • #문화권리
  • #시각예술
  • #설치예술
  • #아르떼
  • #예술교육가
  • #생태
  • #기초단위
  • #문화예술교육사
  • #음악교육

#

  • 비틀

    비틀어 보는 이슈

  • 꿈틀

    꿈꾸는 사람

  • 움틀

    움트는 현장

  • 싹틀

    싹트는 아이디어

  • 동틀

    동틀 무렵 리포트

  • 아르떼365

    아르떼365 소개

    현장소식

    아르떼365 영상

    주제별 전체기사

    공지사항

    독자게시판

    뉴스레터 보기

    뉴스레터 신청

    수신거부

    개인정보처리방침

동틀

2016 세계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주제들

2016년 상반기 국내외 주요 행사

양혜진 _ 대외협력팀
2016.02.01. 댓글 0 조회수 5,265
facebook twitter mail print print 화살표 위
이맘때면 세계 각지에서는 문화예술교육과 관련한 어떤 행사들이 펼쳐지는지 궁금해 할 분들을 위해 정리했다. 작년 하반기부터 분주한 움직임을 보이며 이미 1월부터 행사를 개최한 곳들도 있다. 현장에 직접 가보지 못하더라도 필요한 정보와 자료를 수집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 관심 있는 행사는 달력에 표시 해 두는 것도 방법! 2016년 상반기 세계 곳곳의 문화예술교육 행사들을 살펴보자.

1월

캄보디아 | 제3회 아태문화교육연구네트워크 컨퍼런스

‘제3회 아태문화교육연구네트워크 컨퍼런스(ANCER 2016 Conference)’가 사전‧후 행사를 포함하여 1월 14일부터 19일까지 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열렸다. 문화예술 분야 현장 전문가, 연구자, 교‧강사들이 모여 동남아, 아태지역 문화적 정체성에 기반한 문화예술 분야의 정책과 교육 분야의 도전과제, 비전, 전략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네 개의 컨퍼런스 테마 중 하나인 ‘참여자의 역량강화(Audience development)’에서 아시아 문화예술의 국제적 인식 제고와 참여자의 역량 강화를 위해 교육이 어떻게 활용되어야 할지 다뤄졌다는 점이 눈여겨 볼만하다.

  • 제3회 아태문화교육연구네트워크 컨퍼런스 하이라이트
    [관련링크] http://www.cambodianlivingarts.org
호주 | 국립 시각예술교육 컨퍼런스

새로운 방향: 실천+혁신+학습(New Directions: practice+innovation+learning)을 주제로 학문 및 실무적 지식·역량을 강화 기회의 장을 마련하기위해 시각예술분야 교사, 예술가, 박물관·미술관 교육가를 대상으로 호주 국립미술관이 ‘국립 시각예술교육컨퍼런스 (National Visual Art Education Conference)’를 1월 20일부터 22일까지 3일 간 개최 하였다. 호주 시각예술교육계의 떠오르는 키워드인 감성 문해력(Emotional literacy), 학교미술교육에서 남학생이 맞이하는 비극, 서호주 원주민 커뮤니티 학교의 예술프로젝트 인 ‘디지털 자기표현’ 등 논문발제 주제들이 흥미롭다.

[관련링크] http://nga.gov.au/NVAEC/
영국 | 미술교육자 연례심포지엄

영국미술교육협회(National Association for Fine Art Education, NAFAE)가 주관하는‘미술교육자 연례심포지엄(Annual Symposium for Fine Art Educators)’이 1월 22일 런던에서 개최되었다. 2015년 9월 폴란드 포즈난에서 있었던 패러독스 컨퍼런스(Paradox Conference) 테마 중 하나인 ‘숨은(은폐된) 교과과정(The Hidden Curriculum)’을 집중적으로 다루기 위해 다시 한 번 심포지엄 주제로 선정했다. 1970년대 이후 미술교육의 변화된 모습에 따라 실제 교육 현장에서 드러나는 부분 외에 커리큘럼 안에 잠재된 내용까지 면밀히 짚어보며 미술교육의 본질을 되짚어보는 자리를 갖고자 하였다.

[관련링크] http://www.nafae.org.uk/

2월

온라인 | STEAM & 예술통합 연계 온라인 컨퍼런스 (2.6~2017.2.6.)

앉은 자리에서 손쉽게 참여할 수 있는 온라인 컨퍼런스도 눈에 띈다. 모두에게 양질의 정보에 대한 접근이 가능하게 한다는 취지로 2012년부터 에듀케이션 클로짓(Education Closet)은 ‘STEAM과 예술통합 연계 온라인 컨퍼런스(Connectivity STEAM & Arts Integration Online Conference)’를 개최하고 있다. 2015년 [스쿨아츠매거진(SchoolsArts Magazine)] 독자들이 뽑은 ‘놓쳐선 안 될 컨퍼런스(Can’t miss conference)’에 선정되기도 했다. 컨퍼런스에 생생한 라이브 참여는 행사 당일인 2월 6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EST)이며 2017년 2월 6일까지 일 년 동안은 언제라도 접속하여 원하는 부분만 재 시청이 가능하다. 주제는 행사명 그대로 ‘예술통합과 STEAM‘이다.

  • [관련링크] http://artsintegrationconference.com/

3월

미국 | 아츠 애드보커시 데이 (3.7~3.8)

3월 7일부터 8일까지 워싱턴D.C.에서는 미국예술인연합(Americans for the Arts, AFTA)이 주관하는 연례행사 아츠 애드보커시 데이 (ARTS ADVOCACY DAY: the National Arts Action Summit)가 개최된다. 예술분야 공공정책의 발전과 공공지원에 대한 인식 제고를 위해 유관기관 관계자, 풀뿌리 문화예술기관 옹호자 500여명이 모여 예술교육 정책, 국립예술기금(NEA) 후원 등과 관련된 의견을 자유롭게 공유한다. 미국 전역에서 참가자들이 모이는 만큼 네트워킹과 정보 공유(Networking, Learning, Strategizing)의 장이라는 것 자체만으로 짧지만 유익한 자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관련링크] http://www.americansforthearts.org/events/arts-advocacy-day
태국 | 제2회 국제 예술, 커뮤니케이션 교육 연구 석박사 컨퍼런스 (3.11~3.12)

말레이시아를 주축으로 주변지역 국가들과 다양한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말레이시아 석박사 컨퍼런스 네트워크(Malaysian Postgraduate Conference Network, MPCN)가 매년 2월부터 8월에 개최하는 행사의 일환으로 제2회 국제 예술, 커뮤니케이션, 교육연구 석박사 컨퍼런스(International Postgraduate Conference on Arts, Communication and Educational Studies)를 태국 남부에 위치한 해양도시 끄라비에서 3월 11일부터 12일까지 이틀간 진행한다. 미발표(발행) 논문을 컨퍼런스에서 발표하고 행사 마지막날 최우수 논문을 선정, 시상한다. 채택된 모든 논문은 학술지에 게재될 예정이다.

[관련링크] http://ipcaces2016.weebly.com
미국 | AERI 연례심포지엄 (3.15)

예술교육에 대한 양질의 연구와 연구자를 위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2014년에 설립된 예술교육연구소(Art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AERI)에서는 올 해를 시작으로 매 년 AERI 연례심포지엄(AERI Annual Symposium)을 개최하기로 했다. 그 첫 번째 행사는 3월 15일 하루 간 노던일리노이대학교에서 진행될 예정인데, 현재 작업 중인 연구 논문을 제출하면 특별 멘토링을 받을 수 있는 이벤트가 마련된다.

  • [관련링크] http://www.aerinstitute.org/
미국 | 2016 전미 미술교육협회 컨벤션 (3.17~3.19)

‘리더로서의 예술교육자 (Lead! Share Your Vision for Art Education)’를 주제로 3월 17일부터 19일 시카고에서는 2016 전미 미술교육협회 컨벤션(NAEA National Convention)이 열린다. 학교, 대학, 박물관, 커뮤니티, 예술 기관 등 다양한 곳에서 교사이자 예술가이며 연구가, 커뮤니티 개발자, 중재자 그리고 리더인 예술교육자(art educators)의 다양한 역할과 리더십을 집중 조명한다.

[관련링크] http://www.arteducators.org/news/national-convention/national-convention
말레이시아 | 2016 ALIA 국제심포지엄 (3.25~3.27)

15개국 17개 예술대학 총장과 예술계 대표로 구성된 아시아예술교육기관연맹(Asian League of Institute of the Arts, ALIA)이 쿠알라룸푸르에 위치한 말레이시아의 대표 예술대학 아스와라(ASWARA)에서 2016 ALIA 국제심포지엄 (ALIA 2016 International Symposium)을 3월 25일부터 3일간 개최한다. 인적자본(학자, 실무자, 학생, 교육자)의 교류, 문화(예술과 평화) 플랫폼으로써 ALIA의 질적 보증을 위한 체계 구축, 아시아 전통예술 보존을 위한 방안을 주요 테마로 꼽았다.

[관련링크] http://alia2016.aswara.edu.my

4월

이집트 | 제1회 InSEA 아프리카 중동지역 의회 국제회의 (4.3~4.6)

유네스코 산하의 비정부기구인 국제예술을통한교육협회(International Society of Education through Art, InSEA)는 4월 3일부터 6일까지 ‘제1회 InSEA 아프리카·중동지역 의회 국제 컨퍼런스(InSEA Africa and Middle East Regional Congress International Conference)’를 개최한다. 난민, 이주, 인터넷과 무한한 정보 등 최근 세계적 이슈가 예술과 예술교육에 미친 영향을 진단하고 떠오르는 도전과제와 기회를 살펴보고자 한다. ‘문화의 창조성과 다이얼로그’라는 주제아래 예술의 교수학습, 비주얼 리터러시를 위한 예술교육의 역할, 교육학(pedagogy)과 예술교육(arts education)에 대한 비평, 기초과학 분야에서의 창조적 예술, 동기유발, 자기몰두로서의 예술 등의 세부 주제로 구성된 ‘교수와 학습(Teaching and Learning)’ 테마를 눈여겨보자. 아프리카·중동지역의 새로운 움직임에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링크] http://www.amesea.org/index.php/en/welcome-in-amesea-international-confrance.html
미국 | 미주리 예술교육협회 춘계 컨퍼런스 (4.7~4.9)

예술을 이해하는 능력과 창조성은 모두에게 있음을 신뢰하고 ‘모두에게 의미 있는 예술 경험’을 슬로건으로 내건 미주리 예술교육협회 춘계 컨퍼런스(Art Education Association Spring Conference)가 4월 7일부터 9일까지 열린다. ‘탐색, 창조, 영감: 예술가처럼 사고하기(Explore, Create, Inspire:Thinking like an artist)’라는 주제아래 예술적 행동 교육(Teaching for Artistic Behavior, TAB), 선택기반수업(choice-based instruction), 예술교육자에 대한 관리감독과 평가, 예술수업에서 영재와 특수교육 대상 학생의 협업, 사회적 변화의 매개자로서의 예술 등 다양한 주제가 다뤄질 예정이다.

[관련링크] http://www.maea.net/spring_conference_2016

5월

한국 |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 제4회 한중일 문화예술교육포럼

2011년 대한민국 정부 주도로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이 선포된 이래 매년 5월 넷째 주에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작년 부산에 이어 올해는 서울 곳곳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행사와 프로그램으로 가득 채워질 예정이다. 더불어 한중일 3국 장관 간에 합의한 문화협력 액션플랜에 따라 매년 3국 순회 개최 중인 ‘한중일 문화예술교육포럼’ 네 번째 자리가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와 함께 마련될 예정이다.

6월

이탈리아 | 2016 국제교육 컨퍼런스 (6.5~6.9)

6월 5일부터 9일까지 베니스에서는 2016 국제교육컨퍼런스(2016 International Education Conference)가 열린다. 교육에 포함되는 모든 혁신적인 교수법을 공유하는 자리인 만큼 예술과 인간, 블랜디드 교육(Blended Education), 커리큘럼, 원격교육(Distance Education), 전문성 강화, 교사 교육, 교수법 등을 포함한 스물여섯가지의 주제를 다룬다. 프레젠테이션을 할 수 있는 방법은 총 네 가지인데 발표자가 현장 참석을 하지 않고도 웹상 혹은 동영상 발표 자료를 제출하는 가상 프레젠테이션(virtual presentation), 핸즈온(hands-on)성격이 강화된 워크숍 프레젠테이션, 일반적인 스탠다드형, 포스터를 해당공간에 부착하여 1시간동안 자료를 노출시킬 수 있는 포스터형 중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색다르다.

  • [관련링크]

     http://www.cluteinstitute.com/education-conferences/2016-international-
    education-conference-venice-italy-iecvenice16/

미국 | 예술통합 컨퍼런스: 교수 접근법에 대한 탐색 (6.27~6.29)

케네디센터는 교사 및 학교장, 지방 교육청 관계자, 예술기관 종사자, 예술강사 대상 연례행사인 ‘예술통합 컨퍼런스: 교수 접근법에 대한 탐색 (Arts Integration Conference: Exploring an Approach to Teaching)’을 6월 27일부터 29일까지 3일 간 개최한다. 케네디센터만의 전문인력 양성에 대한 30년의 노하우와 어떠한 교수법이라도 적용이 가능한 예술통합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관련링크] http://www.kennedy-center.org/education/ceta

7월

한국 | 국제문화정책연구 컨퍼런스 (7.5~7.9)

격년 개최되는 ‘국제문화정책연구 컨퍼런스(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ultural Policy Research, ICCPR)’가 7월 5일부터 9일까지 숙명여자대학교에서 열린다. 연구자료 발표와 토론이 주된 페이퍼세션(Paper Sessions), 주제별 전문가들이 모여 심층토론을 이어가는 테마세션(Thematic Sessions), 총회세션(Plenary Sessions)으로 구성된다. 테마세션 중 예술, 예술교육 인프라와 예술지형(Infrastructures of the arts, arts education and arts landscapes), 문화정책과 예술교육/예술 중재 (Cultural policy and arts education / mediation of arts), 예술정책(Artist policy) 등의 주제가 주목할 만하다.

스코틀랜드 | 제32회 세계음악교육 컨퍼런스 (7.24~7.29)

일반교육의 통합적 분야로서의 음악교육 증진을 위해 1953년 형성되고 현재 호주에 국제사무소를 두고 있는 국제음악교육협회(International Society for Music Education, ISME)가 7월 24일부터 29일에 ‘제32회 세계음악교육 컨퍼런스(World Conference On Music Education)’를 개최한다. 모두를 위한 양질의 음악교육의 실현과 음악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을 논의하는 장이 마련될 예정이다. 특별연사로는 2012년 영국 문화교육위원회 회장이자 예술위원회 대표인 대런 헨리(Darren Henley)와 조앤 아마트레이딩(Joan Armatrading), 애블린 글래니(Evelyn Glennie) 등 세계적인 아티스트도 포함되어있어 개최 전부터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 [관련링크] http://www.isme2016glasgow.org/
스코틀랜드 | 제3회 국제예술강사 컨퍼런스 (8.3~8.5)

2년에 한 번 전 세계 6개 대륙, 20개 이상 국가 예술강사들이 한 자리에 모여 예술교육 발전을 위한 규모 있는 ‘토론의 장’을 여는 제3회 국제예술강사 컨퍼런스(ITAC3: The Third International Teaching Artist Conference)’가 8월 3일부터 5일까지 열린다. 2012년 8월 노르웨이를 시작으로 2014년 7월 호주에 이어 올해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에서 열린다. 이번 컨퍼런스는 참여형 예술의 실천(BEST, NEXT and RADICAL PRACTICE IN PARTICIPATORY ARTS)에 대해 집중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 [관련링크] http://itac3.com/about-itac
[2016 상반기 국내외 주요 행사]
[2016 상반기 국내외 주요 행사]
월 국가 행사명 일정 관련링크
1월 캄보디아 제3회 아태문화교육연구네트워크 컨퍼런스 1.14 ~ 1.19 http://www.cambodianlivingarts.org
호주 국립 시각예술교육 컨퍼런스 1.20 ~ 1.22 http://nga.gov.au/NVAEC/
영국 미술교육자 연례심포지엄 1.22 http://www.nafae.org.uk/
2월 온라인 STEAM & 예술통합 연계 온라인 컨퍼런스 2016.2.6 ~ 2017.2.6 http://artsintegrationconference.com/
3월 미국 아츠 애드보커시 데이 3.7 ~ 3.8 http://www.americansforthearts.org/events/arts-advocacy-day
태국 제2회 국제 예술, 커뮤니케이션 교육 연구 석박사 컨퍼런스 3.11 ~ 3.12 http://ipcaces2016.weebly.com
미국 AERI 연례심포지엄 3.15 http://www.aerinstitute.org/
말레이시아 2016 ALIA 국제심포지엄 3.25 ~ 3.27 http://alia2016.aswara.edu.my
4월 이집트 제1회 InSEA 아프리카 중동지역 의회 국제회의 4.3 ~ 4.6 http://www.amesea.org/index.php/en/welcome-in-amesea-international-confrance.html
미국 미주리 예술교육협회 춘계 컨퍼런스 4.7 ~ 4.9 http://www.maea.net/spring_conference_2016
5월 한국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제4회 한중일 문화예술교육포럼 5월 http://www.arteweek.kr/xe/index.php?mid=about
6월 이탈리아 2016 국제교육 컨퍼런스 6.5 ~ 6.9 http://www.cluteinstitute.com/education-conferences/2016-international-education-conference-venice-italy-iecvenice16/
미국 예술통합 컨퍼런스: 교수 접근법에 대한 탐색 6.27 ~ 6.29 http://www.kennedy-center.org/education/ceta
7월 한국 국제문화정책연구 컨퍼런스 7.5 ~ 7.9
스코틀랜드 제32회 세계음악교육 컨퍼런스 7.24 ~ 7.29 http://www.isme2016glasgow.org/
8월 스코틀랜드 제3회 국제예술강사 컨퍼런스 8.3 ~ 8.5 http://itac3.com/about-itac

정책연구팀
양혜진 _ 대외협력팀
hyejinyang@arte.or.kr

#

영국 이탈리아 예술가 미술 미국 유네스코 음악 박물관 한국 호주 해외 토론 컨퍼런스 미술관 역량강화 디지털 발제 행사 온라인 심포지엄 연합 말레이시아 국제예술 원주민 캄보디아 태국 이집트 아프리카 스코틀랜드

학교 교육과정 안팎의 문화예술교육을 살피다

학교 교육과정 안팎의 문화예술교육을 살피다

함께 사는 세계로, 문화예술교육ODA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Cancel reply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Cancel reply

최신기사

움틀

다시 도는, 문화예술교육 수레바퀴

지역 문화예술교육 포럼 ‘모여보계(契)’

새로운 일의 시작과 마무리가 교차하는 1월, 작은 쉼표를 그려야 할 사무실의 공기가 예년과는 달리 숨 가쁘게 돌아간다. 재난시대가 불러온 변화의 바람은 문화예술 현장의 담론과 분위기를 완전히 바꿔놓았다. 사업 담당자들은 기존의 고착화된 사업의 틀을 해체하여 변화하는 문화환경에 대응할 수 있는 형태로 재편하는 데 여념이 없다. 춘천문화재단에서도 지난해 ‘더 문화로, 더 지역으로’ 향하는 비전 재수립을 통해 문화예술이 단순히 지원 영역이 아닌, 지역 문화안전망으로 가동될 수 있는 기반 조성을 위한 준비에 착수했다. 지금까지 추진해온 모든 일에 대한 관점과 태도가 재검토되는, 그야말로 전환이 요구되는

강정지 _ 춘천문화재단 문화예술교육팀 과장
2021.01.25.
비틀

온택트에서 예술의 본질을 탐구하다

2021년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③

신축년 새해가 밝았다. 지난해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문화예술교육 분야 역시 큰 도전의 시간을 보냈지만, 그와 동시에 근본적인 질문이 이어지고 관점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제 새로운 10년을 만들어갈 2021년을 열며 [아르떼365]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연속 좌담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변화와 전환을 모색하고 새로운 도전 과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① 아르떼365 편집위원      ② 학교‧사회 예술강사      ③ 교육연수센터 신규 코스워크 개발자 좌담 개요 • 일 시 : 2021년 1월 12일(화) 오후 6시 • 장 소 : 온라인(Zoom) •

정리 _ 프로젝트 궁리
2021.01.25.
동틀

현장을 묵묵히 응원하며, 더 넓고 깊게

2020년 [아르떼365] 독자 설문조사 결과

2020년 [아르떼365]는 다각도로 변화하는 현장의 목소리를 정확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하기 위해 크고 작은 변화와 노력의 시간을 지나왔다. [아르떼365]의 움직임을 독자들은 어떻게 바라보고 인식하고 있을까? 길고 차분한 마음으로 일 년의 시간을 톺아보고 독자의 의견에 귀 기울여 2021년을 내다보기 위해 콘텐츠 만족도를 포함한 ‘2020 독자 만족도 설문조사’를 2020년 12월 8일부터 20일간 실시했다. 설문조사 개요 • 조사기간 : 2020.12.8.(화) ~ 12.27.(일)까지 (20일간) • 조사대상 : [아르떼365] 독자 • 응답자수 : 516명 • 조사방법 : 온라인 설문조사 • 조사내용 : [아르떼365] 2020년 콘텐츠 만족도

정리 _ 프로젝트 궁리
2021.01.25.
움틀

예술의 텃밭에 싹튼 거대한 질문

『예술텃밭 예술가 레지던시-기후변화』

2019년 11월 홍콩에서 아시아 프로듀서 플랫폼 캠프(APP Camp)가 열렸다. 우리는 여러 주제를 거쳐 ‘지속가능한 삶’에 대한 토론을 이어갔고, 호주의 프로듀서 동료는 그들이 당면한 문제로 ‘환경’을 이야기했다. 당시 호주는 9월부터 시작된 화재가 진행 중이었다. 이후 2020년 2월까지 6개월간 이어진 대재난으로 호주 전체 숲의 20%가 잿더미가 되었고, 10억 마리의 야생동물이 죽음을 당했다. 호주 동료는 창작과 교류를 위해 탄소를 배출하며 이동하는 것이 과연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것인지 의문과 우려를 나타냈다. 과학자들에 따르면 기후변화로 고온 건조한 이상 기후 조건이 만들어질 확률이 최소 30%

박지선 _ 프로듀서 그룹 도트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2021.01.18.
비틀

다가온 변화에 당당히 도전하기

2021년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②

신축년 새해가 밝았다. 지난해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문화예술교육 분야 역시 큰 도전의 시간을 보냈지만, 그와 동시에 근본적인 질문이 이어지고 관점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제 새로운 10년을 만들어갈 2021년을 열며 [아르떼365]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연속 좌담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변화와 전환을 모색하고 새로운 도전 과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① 아르떼365 편집위원      ② 학교‧사회 예술강사      ③ 교육연수센터 신규 코스워크 개발자 좌담 개요 • 일 시 : 2020년 12월 28일(월) • 장 소 : 온라인 (Zoom) • 좌

정리 _ 프로젝트 궁리
2021.01.18.
싹틀

사회적 약자의 글쓰기, 소수자로서의 시선

책으로 읽는 문화예술교육

“약자가 없어야 강자가 없다.” 선뜻 이해하기 어려운 말이다. 강자가 사라져야 약자가 사라질 거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믿음을 도발적으로 뒤집는 『그냥, 사람』의 저자의 말이다. 2015년 서른일곱의 나이에 스페인 산티아고 순례길을 걸었고 막상 종착지에 도착했을 때는 정작 가야 할 길을 잃어버려 ‘몹시 당황했다’는 저자. 어디로 갈지를 몰랐던 게 아니라 ‘어디로도 갈 수 없는 상태’였다고 고백하는 그는 『그냥, 사람』을 통해 그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온몸으로 퍼진 통증에 어디로도 갈 수 없는 상태, 그것은 곧 약자의 삶이었고 그 약자란 온갖 차별과 감금을 당해 온 장애인을

고길섶 _ 문화비평가
2021.01.18.
비틀

가지 않은 낯선 길을 느리게 걷기

2021년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①

신축년 새해가 밝았다. 지난해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문화예술교육 분야 역시 큰 도전의 시간을 보냈지만, 그와 동시에 근본적인 질문이 이어지고 관점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이제 새로운 10년을 만들어갈 2021년을 열며 [아르떼365]는 각 분야 전문가들의 연속 좌담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변화와 전환을 모색하고 새로운 도전 과제를 짚어보고자 한다.   ① 아르떼365 편집위원      ② 학교‧사회 예술강사      ③ 교육연수센터 신규 코스워크 개발자 좌담 개요 • 일 시 : 2020년 12월 17일(목) • 장 소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A.Library • 참석자

정리 _ 프로젝트 궁리
2021.01.11.
싹틀

기록된 기억의 쓸모

예술교육과 기록

기억과 기록 우리는 자신이 경험한 것을 잊지 않고 축적하여 다음에 활용하고자 기억을 떠올린다. 하지만 인간은 같은 일을 경험해도 저마다 고유한 방식으로 기억을 저장하거나 폐기한다. 유동적이고 개별적이며 주관적인, 언제나 현재를 기준으로 재해석 되는 기억의 특성으로 조직이나 단체일수록 어딘가에 경험을 고정시켜 신뢰성 있고 이용 가능한 기록행위를 필요로 한다. 예술교육단체의 기록에는 예술교육 행위 그 자체와 예술교육 행위를 하는 과정에서 생산하거나 획득한 (전자)문서, 시청각 자료, 박물(博物) 등이 있다. 이러한 기록에는 현재의 업무에 활용·참조하는 것도 있고, 지금 업무에 활용하지는 않지만 역사적 가치, 업무의 증거, 행정적

안정희 _ ㈔한국국가기록연구원 책임연구원, 아키비스트
2021.01.11.
TOP
아르떼365 소개 공지사항 독자게시판 뉴스레터 보기 뉴스레터 신청 수신거부 개인정보처리방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행인 : 이규석 담당부서 : 국제협력팀

주소 : (03926)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상암동, YTN 뉴스퀘어) 11~12층 전화 : 02) 6209-5952

Copyright 2021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ll Rights reserved.
web award 19 winner
arte365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