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한 해는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있었다. 예술행사가 취소되는 등 코로나19는 예술계에 큰 영향을 미쳤고, 예술업계 종사자들은 행사 취소와 연기의 반복에 따른 불안감과 생존 위기를 느꼈다. 또한 ‘언택트’라는 예술의 장이 부상함에 따라 예술 환경도 변화했다. 정부는 예술 분야의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예술현장 점검 및 긴급 예산지원 등 정책을 발표했다. 기존의 꽉 짜인 규칙에는 조금씩 틈이 생겨났고, 예술의 본질을 질문하는 시간이었다. 코로나19에 대응해서 새롭게 진행한 비대면·온라인·전환 관련 담론을 형성하고자 했던 행사·자문·연구들과, 실용적인 가이드를 제시해보고자 했던 신규사업·모델연구 그리고 그러한 이슈 속에서 현장의 고군분투를 담은 사업의 결과는 자료집에 담겨 있다. 한 해 동안 이루어진 공론의 장, 연구와 실험, 문화예술교육 현장과 문화예술교육자의 이야기가 담긴 2020년 발간자료를 소개한다.
코로나19, 전환을 위한 공론화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온라인 방식의 문화예술교육 수요의 확대와 더불어 미래 기술 융·복합, 디지털 활용 확산 등 정부 정책에 따른 문화예술교육 접근성 향상을 위한 지원방식의 전환 및 신규 정책 발굴이 요구되었다. 이에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정책 방향을 설정하고 신규 정책과제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2020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정책자문단 정책 방향 및 과제 결과보고서」에는 수요자 중심 인프라 구축, 매개자 지원, 공공플랫폼 구축 등의 세부 정책과제 내용과 단·중기 정책사업의 단계별 로드맵이 담겨 있다. 2020년에는 문체부와 7개 예술기관이 주최한 <코로나19 예술포럼>이 열렸다.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주제로 한 논의를 담은 「제6회 코로나19 예술포럼 자료집」에는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예술교육의 새로운 구상 전략에 관한 내용이 담겨 있다. 한 해의 이슈를 모은 「2020 문화예술교육 이슈 분석 통합본」에서도 코로나19 시대, 대내외 환경에 대응하기 위한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이슈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 지원방안, 현황과 과제 등 이슈 분석과 주요 정책 동향을 일별할 수 있다.
매년 문화예술교육 관계자 및 전문가의 깊이 있는 논의의 장과 다양한 행사가 진행되었던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온라인 토론회로 진행되었다. 미래 온라인 문화예술교육 생태계 구축과 활성화 방안, 정책부터 현장까지 문화예술교육 전반에 걸친 논의가 진행되었다.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에 ‘문화예술교육 공론화 추진단’의 일환으로 진행된 온라인 토론회를 기록한 「문화예술교육 전환을 위한 특별대담 기록집」은 향후 공론화가 필요한 문화예술교육 미래 이슈에 대한 대담을 담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공론화 추진단은 문화예술교육 정책 15년 이후, 최근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정책 및 사회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문화예술교육의 가치 공유 및 확산을 위해 구성·운영한 민관협의체이다. 「문화예술교육 공론화 추진단 결과보고서 – 문화예술교육 전환을 위한 공론화 이슈」에서는 협치를 위한 상설 거버넌스 체계 구축, 담론과 인식 확산을 통한 법·제도 개선, 정책 지원체계 개편과 다각화, 지역 현장 중심의 생태계 활성화, 인력 현장 활동 지원 기반 체계화, R&D 강화 및 정보화 고도화 등 공론화 이슈를 담고 있다.
수요에 기반한 정책설계와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분석을 위한 연구와 조사도 진행되었다. 「2020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보고서」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문화예술적, 개인심리적, 대인관계적 차원의 지표로 구분해 변화를 살펴보고, 생애주기별 양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20 문화예술교육단체 분류체계 및 실태조사 지표개발 연구보고서」는 문화예술교육 현황 파악과 실태조사에 대한 사전 설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20 기초 단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작동 시나리오 분석 연구보고서」는 기초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지정 관련해서 2020년 거점 구축 지원을 시작으로 본격화하면서 지역별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연구를 담았다.
프로그램 개발과 연구 : #생애주기 #유아 #학교 #꿈의오케스트라
학교 문화예술교육도 변화하는 환경에 대응해 온라인과 융복합에 초점을 맞춘 연구와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진행되었다. 「2020 학교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 학교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함께하는 첫걸음’」은 예술강사의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 역량 제고를 위한 온라인 연수 프로그램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2020 학교 융복합 문화예술교육 시범운영사업 결과자료집」은 기존 틀을 탈피한 모델 구축과 새로운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유형을 교과과정과 연계한 결과를 담았다. 또한 학교 밖 자원의 유기적 연계 및 활용을 중심으로 예술강사가 통합 예술교육 과정을 기획·운영할 수 있도록 연수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시범운영한 결과를 「2020 지역 연계 학교 문화예술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에서 살펴볼 수 있다.
교육진흥원은 생애 초기 맞춤형 문화예술교육 기반을 구축하고 지역 자원을 연계한 차별화된 유아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왔다. 2019년부터 2년간 전국 문화기반시설에서 개발된 콘텐츠 중 비대면 수업이 가능한 콘텐츠를 선정하고 유형 분류와 사례 분석을 담은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반 비대면 수업 사례 및 체계 개발 연구보고서」「아이와락 비대면 수업 개발 노트(가이드북)」(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콘텐츠 기반 비대면 수업 사례 및 체계 개발-수업 개발 노트)를 제작했다. 「2020 유아 문화예술교육 현황 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연구보고서」에는 유아교육기관, 지원사업, 국립 문화기반시설 및 소속기관의 유아 문화예술교육 운영실태가 담겨 있다.
「2020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변화연구 보고서」는 2019년부터 시작된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변화연구 2단계 패널의 2차년도 연구로 2016년부터 연구에 참여한 1단계 패널과 2단계 패널의 변화를 확인하며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가치와 의미를 도출하고 사업의 발전방안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했다. 한국형 엘시스테마인 ‘꿈의 오케스트라’는 10주년을 맞아 예술의전당 음악당에서 무관중 공연을 열고, 이를 유튜브로 생중계했다.
정책사업별 사례와 결과 : 돌아보고 내다보기
코로나19에 대응해 디지털로 전환한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는 온라인으로의 전환 역량 개발, 기획 방식의 전환 등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변화를 환기한다. 연수 관련 좌담과 칼럼을 담은 「2020 아르떼 아카데미 성과집 ‘예습(藝習)’」은 연수의 정성적 결과 집적 및 연수 내용 분석을 담았다. 「2020 아르떼 아카데미 연수 프로그램 모음집」은 예술강사, 교원, 기획자, 행정인력 등 대상별 연수의 주요내용과 프로그램을 담고 있다. 예비 문화예술교육사를 위해 현장 문화예술교육사의 ‘꿀팁’을 담은 자료집과 역량강화와 진로 개발 지원 프로그램을 담은 자료집도 참고할 수 있다.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컨설팅 결과자료집 ‘전환’」에는 한 해 동안 교육진흥원과 5개 시·도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가 진행한 사업과 컨설팅 내용, 현장에서 오갔던 다양한 질문이 Q&A로 재구성되어 담겨있다. 문화예술치유 참여인력이 아이디어와 고민,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해 라디오 방식으로 진행된 현장사례 공유워크숍 ‘마음치유 라디오’는 워크숍의 오디오 콘텐츠를 「마음치유, 라디오 봄,봄,봄 대본집」으로 제작했다. 2020년 12월 온라인으로 진행한 「2020 지역 연계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통합결과공유회 ‘문화예술교육계(契)’ 결과자료집」에는 지역 연계사업 관계자 및 다양한 주체들이 공유한 사업의 가치와 한 해의 결과가 담겨 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고군분투를 담은 사업 결과자료집에서도 팬데믹 시기를 지나며 문화예술교육으로 소통하기 위한 예술가들의 고민, 시도의 과정이 담겨 있다.
급변하는 21세기는 우리의 삶의 가치와 세계를 바라보는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아시아 최초로 서울에서 개최된 ITAC5를 비롯해 리서치 프로젝트는 서구 유럽에서 고개를 돌려 아시아의 지역성과 보편성을 주목하게 했다. 「ITAC5 백서」에는 제5회 국제예술교육실천가대회의 ‘예술은 어떻게 세상의 눈을 바꾸어 가는가: 예술가와 예술교육가의 사회 속 실천과 도전’을 주제로 한 디지털 컨퍼런스를 기록했다. 아시아의 사회 실천-참여적 예술활동 연구조사 랩 「2020 아시아 공동 리서치 프로젝트 자료집」, 베트남과 인도네시아를 중심으로 문화예술교육 ODA 사례와 경험을 공유한 「2020 문화예술교육 ODA 사업 온라인공유회 결과자료집」 도 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정책사업의 생생한 현장 기록과 결과를 볼 수 있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경험과 지식이 담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간물은 ‘arte라이브러리’(lib.arte.or.kr)에서 누구나 자유롭게 열람 가능하다.
프로젝트 궁리
정리_프로젝트 궁리 최순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