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은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방향성을 고민하고 한 단계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는 한 해였다.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하여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 등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가운데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는 논의의 장이 펼쳐졌다. 아울러, 매년 5월 넷째 주에 개최되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에서는 학술·전시·네트워킹 등 프로그램의 생산 구조를 열어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주체의 능동적 참여를 유도하였다.
문화예술교육 매개자를 위한 프로젝트도 대거 마련되었다. 글로벌 문화예술교육 탐방 프로젝트 <A-round> 사업으로 국내 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 역량 강화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연구를 통해 개발된 KCP(KACES Certificate Program, 우수 교육 프로그램 수료과정)는 대상과 방법을 다각화하고 보다 전문적인 교육 방법론을 도입하여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우수 교육 프로그램 수료과정을 시범 운영하였다. 생생한 문화예술교육 현장이 담긴 정책사업 사례집부터 진지한 공론의 장을 담은 포럼 자료집까지. 2016년 문화예술교육의 발자취가 담긴 발간물을 한눈에 정리해보았다.
2016년 문화예술교육 한눈에 보기
아르떼 인포그래픽은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전문적이고 복합적인 내용을 누구나 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매년 새로운 정책 및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기획·제작하여 문화예술교육 연구 결과와 가치를 전달하고 있다. 2016년에는 ‘문화예술을 통해 마을과 사람을 연결하는 지역 기반 문화예술교육’을 시작으로 ‘교사와 예술강사가 함께 만드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대화가 필요한 우리 가족 문화예술교육으로 소통합니다’ 등을 발행하였다. 2016년 발행한 지역, 장애인, 학교, 가족, 근로자 등 문화예술교육 수혜자 중심의 정책사업 8편과 해외 문화예술교육 사례 2편으로 구성된 ‘2016 아르떼 인포그래픽’을 자료집으로 모았다.
문화예술교육 정책, 현장, 인물을 조명하고, 다양한 정보를 전달하는 웹진 [아르떼365]는 매년 발행된 기사를 기록으로 남기고 보존하고자 기사모음집을 발간하고 있다. 올해도 ‘아르떼, 새로운 10년을 말하다’, ‘한국 문화예술교육의 변화와 전망’ 등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변화와 흐름을 볼 수 있는 특집, 칼럼, 인터뷰를 비롯해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만나고, 보고, 그린 총 70건의 기사를 모아 「2016 아르떼365 기사모음집」을 발행했다.
정책사업별 사례와 결과 살펴보기
주5일 수업이 시행된 2012년부터 시작된 학교 밖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꿈다락 토요문화학교’는 아동·청소년, 가족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중 2014년부터 시작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문화여행’은 예술가와 함께 첫 번째 만남을 통해 여행을 준비하고 두 번째 만남에 여행을 떠나보는 프로그램이다. 2016년에는 미술, 음악, 무용, 사진, 문학 등 각 분야의 예술가와 함께 9월부터 11월까지 진행되었다. ‘그림으로 기록하는 여행’(드로잉), ‘다같이 땅그지’(공예), ‘장롱에서 꺼낸 악기와 함께 떠나는 여행’(음악) 등 총 6개 프로그램의 여행이야기를 워크북으로 담았다.
2016년 처음 시작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도서관 연계 프로그램 ‘작은도서관 기획사업’의 자세한 내용을 사례집으로 엮었다. 생활 속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전국 16개 작은도서관에서 5회차에 걸쳐 327명의 아동·청소년, 가족이 만나 문화예술을 통해 문학적 상상력을 키운 ‘작은도서관 기획사업’을 담은 「작은 속삭임, 큰 울림」에는 현장을 탐방하고 16개의 키워드로 정리한 ‘작가탐방 에세이’와 작은도서관별 프로그램 내용이 담겨있다.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은 어린이들이 방학 동안 일상을 벗어나 낯선 공간에서 예술가와 함께 놀며 예술작업 하는 행위를 통해 문화적 격차를 해소하고 예술적 감성을 발견하는 캠프이다. 2016년에는 ‘오즈’(강원), ‘무지개가 떴다’(경남), ‘우리들의 예술아지트: 문명을 만들다’(충남), ‘괜찮아? 괜찮아, 괜찮아!’(전북) 등 지역의 문화와 지리적 특성에 맞춘 캠프가 열렸다. 결과자료집에는 우락부락 시즌 11의 각 지역별 프로그램과 현장리뷰를 담았다.
‘움직이는 예술정거장’은 농어촌 등 평소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접하기 힘든 지역에 살고 있는 아동 및 어르신들을 위해 찾아가는 이동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다. 실내외를 전면 개조한 45인승 버스 2대와 의료시설을 갖춘 병원선을 예술선으로 활용하여 2016년 7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소규모 학교와 분교, 경로당, 마을회관 등을 방문했다. 「2016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사례집」은 미술, 음악, 무용, 공예, 사진 등 7개 프로그램을 맡아 진행한 예술가들의 참여후기와 프로그램 내용을 생생한 현장 사진과 함께 만나볼 수 있다. 수험생들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스트레스를 풀고, 새로운 일상을 스스로 준비하는 ‘고3·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상상만개’의 주요 내용과 결과를 엮은 보고서도 발행되었다.
국내 문화예술교육 매개인력의 해외탐방 지원을 통해 교육콘텐츠 개발 및 교수법 관련 역량을 강화하고자 2015년부터 시작된 글로벌 문화예술교육 탐방 프로젝트 <A-round>는 2016년 사업과정과 결과를 자료집으로 엮었다. 7팀 17명이 다녀온 미국, 유럽, 아시아 권역 7개 지역 문화예술교육 현장 탐방 리포트, 현지 인터뷰와 함께 참가자들의 준비과정과 활동수행에 대한 소회 등 다음 참가 희망자들이 참고할 만한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
주요 행사, 포럼, 토론회, 콘퍼런스 들여다보기
문화예술교육 관련 주요 행사, 포럼, 토론회, 콘퍼런스를 놓쳤다면 발간 자료를 살펴보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2016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은 5월 21일 사전행사를 시작으로 7일간 상암디지털미디어시티 일대에서 열렸다. ‘예술, 스스로 피어나 서로를 물들이다’를 슬로건으로 문화예술체험·전시, 아르떼 펠로우, 현장이야기마당 마음탁자, 커튼콜 온스테이지 등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가,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의 장으로 펼쳐졌다. 또한, 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5월 24일 개최된 2016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에서는 한국, 중국, 일본의 문화예술교육 관계자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예술가와 예술교육’을 주제로 예술교육에서 예술가의 역할과 관련한 근원적 질문부터 각국의 장르별 현장사례, 한중일 교류와 협력방안 등 굵직한 이슈가 포괄적으로 다루어졌다.
한해의 성과와 앞으로의 방향을 논의하는 자리도 있었다. 12월 7일에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개선방향을 토론하는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 토론회’가 열렸다. 12월 9일에는 ‘2016 유아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 성과를 공유하고 우수한 해외 사례를 소개한 ‘2016 유아 문화예술교육 콘퍼런스’에서는 국내 유아 문화예술교육이 나아가야할 방향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한편, 예술 분야별 전문가들이 집중토론 방식으로 각각의 예술장르가 가지고 있는 특성과 교육적 가치에 대해 논의하는 콜로퀴엄을 2016년 4차에 걸쳐 진행했고, 그간의 논의를 바탕으로 예술 현장에서 바라보는 문화예술교육을 살펴보고 예술가의 교육적 자기철학과 의미에 대해 탐구하는 ‘예술의 가치와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을 올해 2월 24일 개최했다.
이밖에도 다양한 연구보고서, 자료집 등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간물을 모바일 앱 아르떼북(artebook)과 아르떼 아카이브에서 열람할 수 있다.
정리 _ 대외협력팀, 상상놀이터
정리 _ 대외협력팀, 상상놀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