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 경험,
개인적 가치 이상의 가치

 

존 듀이(John Dewey)는 그의 저서 〈경험으로서의 예술〉에서 예술교육의 목적을 예술경험을 통해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인간성의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정의했다. 이러한 논의가 아니더라도 어린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그 누구든지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해 본 사람이라면 그 진정한 힘을 체감할 것이다. 특히, 문화예술에 대한 구체적인 경험과 교육이 이루어지는 현장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중요성과 파급효과에 대한 공감대가 커지고 있다.
그렇다면 개인이 경험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종합적 결과를 어떻게 확인할 수 있을까?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개인적 차원의 변화 및 만족도 측정을 통해 그 영향 및 효과를 검증한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나, 이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사회 및 경제 전반에 있어 어떤 가치를 얼마만큼 지니고 있는지에 대한 정당성 논의를 이끌어내기에는 한계가 많을 수밖에 없었다. 문화예술교육이 개인의 성장과 발달이라는 개인적 가치 차원을 넘어 사회문화적 가치를 실천해나가는 것에 주목해본다.

 

문화예술교육 정책 10년,
사회‧경제적 가치를 객관적으로 확인해보고자 연구 시도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평가가 어떠한 방식에서 가능한지, 문화예술교육이 지닌 가치는 무엇인지, 그 가치를 정량화하여 제시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를 기획하였다. 이 연구는 국내 및 해외에서 개발된 다양한 가치평가 방법론의 검토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적‧경제적 가치 측정을 위한 지표를 도출하고 측정해봄으로써 일반 국민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정책적 당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시도되었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 가치 분석 연구〉(연구수행: 건국대학교)는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정의를 찾는 것에서부터 시작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에 대한 메타분석(체계적 문헌검토)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사회경제적 가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증적인 측정을 위하여 학교문화예술교육 참여 학생 및 사회문화예술교육 참여자를 대상으로 사회‧문화‧경제‧교육적 차원의 가치를 통합적 가치측정 모형을 토대로 조사하였다.
연구진은 사회경제적 가치 추정을 위해 문화예술교육 성과평가 연구(2011, 2012)를 분석하여 경제적 가치에는 문화예술교육 종사자의 경제적 여건 개선 및 경제적 가치 확대 기여도가, 사회적 가치에는 소외지역 문화예술 격차 해소 및 지역사회 문화역량 강화, 사회적 가치 확대 기여도 등이 포함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각 지원사업이 경제적‧사회적 가치에 기여했는지 여부에 대한 설문조사의 결과 자료를 분석하여 그래프로 제시하였다.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의 경우 사회적 가치에 비해 경제적 가치가 우세하게, 그 밖의 지원사업의 사회적 가치가 높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사회경제적 가치를 경험적으로 확인해보기에 앞서 지금까지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평가 연구는 어떤 내용이었는지를 파악해보는 이러한 과정은 이 연구에서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어디서 찾을 것인지에 대한 실마리이자 사회경제적 가치를 추정해 본 결과로써 눈여겨 볼만하다.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의 사회경제적 가치>
지원사업명 가치 항목 기여도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경제적 가치 A 84.05
사회적 가치 A 75.00
예술꽃씨앗학교 경제적 가치 A 66.02
사회적 가치 A 93.00
사회적 가치 B 93.00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경제적 가치 A 66.25
사회적 가치 A 95.00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경제적 가치 A 60.00
사회적 가치 A 80.94
* 경제적 가치 A : 문화예술교육 종사자의 경제적 여건 개선
* 사회적 가치 A : 소외지역 문화예술 격차 해소
* 사회적 가치 B : 지역사회 문화역량 강화

 

문화예술교육을 통한
삶의 질과 사회적 관계의 향상, 함께 느끼는 행복감

 

문화예술교육은 개인 삶의 질 향상과 행복감에 대한 가치와 문화소양적 태도 증대, 사회적 소통, 사회통합, 관계 형성, 지역 재생, 공동체성, 범죄예방, 사회적 형평성 등에 미치는 사회적 가치와 이로 인해 파급되는 가치들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소통과 관계형성을 바탕으로 측정치를 제시하고 삶의 질(경제생활 및 신체‧정신 건강), 행복감, 자아존중감, 사회관계, 사회적 형평성 등으로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문항을 구성하였다. 이 때 조사‧분석 방법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청소년과 노인을 대상으로 정책 참여집단-비참여집단 매칭분석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집단과 경험하지 않은 유사한 집단에 대한 비교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문화예술교육 경험이 있는 학생과 노인들이 경험이 없는 이들에 비해 행복감을 많이 느끼고, 사회적 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 및 노인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학생 및 노인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가치

 

문화예술교육 정책,
문화예술교육이 지닌 다양한 가치의 실천을 위하여

 

문화예술교육은 삶의 활력소가 되고 즐거움을 제공한다. 문화예술교육 경험은 행복감을 가져다 주며 사회적 증진에 큰 영향을 준다.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우리가 얻게 되는 가치와 편익은 점차 공감대를 확장해나가고 있다.
이 연구는 짧은 기간 동안 문화예술교육 정책 사업 중 일부를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실시했다는 점과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기에 문화예술교육 정책이 지닌 고유한 특성으로 인한 한계 등으로 아쉬움을 남겼다. 그럼에도 문화예술교육이 지닌 다양한 가치를 계량화하여 객관적인 수치로 도출한다는 것은 한계가 존재하는 동시에 10년에 걸쳐 제공되어 온 문화예술교육 정책을 또 다른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로써 의미가 있을 것이다.
전 국민이 일상적 삶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며 나아가 사회‧경제 전반에 문화예술교육이 확대해 나감에 있어,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사회경제적인 기여를 확인하는 과정에 도움이 되는 연구의 시작이길 바란다.

 

글_ 정책연구팀 류윤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