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E 365

  • 비틀
  • 꿈틀
  • 움틀
  • 싹틀
  • 동틀
  • 현장소식
  • 아르떼365 영상
  • 주제별 전체기사
  • 전체기사
  • 독자게시판
  • 뉴스레터 신청
  • 아르떼365 소개
  • .
  • .

  • 비틀

    비틀어 보는 이슈

  • 꿈틀

    꿈꾸는 사람

  • 움틀

    움트는 현장

  • 싹틀

    싹트는 아이디어

  • 동틀

    동트는 리포트

  • 아르떼365

    아르떼365 소개

    현장소식

    아르떼365 영상

    주제별 전체기사

    공지사항

    독자게시판

    뉴스레터 보기

    뉴스레터 신청

    수신거부

    개인정보처리방침

통합검색

#추천키워드

  • #문화예술교육정책
  • #지역
  • #농산어촌
  • #인프라
  • #문화권리
  • #시각예술
  • #설치예술
  • #아르떼
  • #예술교육가
  • #생태
  • #기초단위
  • #문화예술교육사
  • #음악교육

#

비틀

새로운 10년을 위한 준비

2016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주요 어젠다 예고편

대외협력팀
2016.02.29. 댓글 1 조회수 3,767
mail
facebook twitter mail print print 폰트 사이즈 축소/확대 글골 변경 화살표 위
지난해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과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 설립 10주년을 맞이하면서 앞으로의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 과제를 논의하는 자리가 꾸준히 마련되어 왔다. 2015년 한 해를 마무리 하며 12월 16일 개최되었던 ‘문화예술교육, 한 걸음 더 나아가기’ 포럼에서는 전문인력 양성, 협력적 파트너십, 전략적 연구와 홍보 등 구체적인 과제들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2016년,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10년을 여는 첫 해가 시작되었다. 진흥원은 전국의 문화예술교육을 총괄하는 중앙기관으로서,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미래 환경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그 역할과 방향성을 재정립 하는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시작하였다.
그간의 논의를 바탕으로 보다 구체적인 변화를 꾀하기 위해 지난 1월 내부를 재정비하기 위한 대대적인 조직개편을 단행하였다. 1처 3본부 1사업단 1센터 10팀(사무처, 경영지원본부, 교육인력지원본부, 예술협력사업본부, 기획사업단, 교육개발센터, 전략기획팀, 교육개발팀, 대외협력팀, 경영관리팀, 총무회계팀, 교육운영1팀, 교육운영2팀, 사회교육팀, 가족문화팀, 지역활성화팀)으로 개편된 조직체계를 바탕으로 정책사업 추진과 운영에의 변화를 통해 문화예술교육 미래를 위한 준비를 다져가고 있다.

교육인력지원본부에는 교육운영1팀과 2팀이 학교 및 복지기관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등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을 현장과 잇는 정책사업을 총괄, 운영한다. 대상·분야별 구분을 넘어 큰 틀에서의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지원을 위해 새롭게 조직이 편재된 점이 가장 눈에 띄는 변화이다. 예술협력사업본부는 사회교육팀, 가족문화팀, 지역활성화팀이 정부 부처, 도서벽지·산간의 소규모 학교, 지역 문화거점·지역센터 등과 협력해 다양한 삶의 현장을 찾아가는 문화예술교육 정책사업을 다각적으로 운영, 총괄한다. 교육개발센터에서는 교육개발팀과 대외협력팀이 문화예술교육 전문인력 양성, 콘텐츠개발·보급과 더불어 국제교류와 대외홍보를 통해 문화예술교육의 가치와 중요성을 확산하고, 새로운 교류기반을 발굴·구축하는 사업들을 추진한다.

한편, 기획사업단에서는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를 비롯해, 문화예술 명예교사, 창의예술 캠프 우락부락 등 진흥원이 특화시켜 운영하고 있는 기획 사업들을 모여 새로운 추진체계를 바탕으로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 확산과 운영을 준비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전략기획연구팀이 신설되어 문화예술교육 정책수행의 보다 전문적 기반을 구축하고 효율적인 사업수행 환경을 만들어가기 위한 전방위적인 기관운영 및 정책사업 전략수립 업무를 정책연구 사업과 함께 맡게 된다.

웹진 [아르떼365]는 2016년 시작을 준비하며 새롭게 재정비된 정책사업의 추진체계와 방향 등을 보다 자세히 들어보기 위해 오는 3월 2주부터 5주까지 총 4주에 걸쳐 ‘아르떼, 새로운 10년을 말하다’를 주제로 한 특집을 연재할 예정이다. 이번 특집은 교육인력지원본부, 예술협력사업본부, 교육개발센터, 기획사업단를 이끌고 있는 본부장, 센터장, 단장의 기고문을 통해 2016년 정책사업 현장들을 본격적으로 만나기에 앞서 진흥원이 고민하고 있는 현재와 미래에 대해 살피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아르떼, 새로운 10년을 말하다’ 연재 순서
① 3월 8일(화) 노준석 _ 예술협력사업본부장
② 3월 15일(화) 김세린 _ 교육개발센터장
③ 3월 22일(화) 김재경 _ 교육인력지원본부장
④ 3월 29일(화) 정연희 _ 기획사업단장

arte365
대외협력팀

아르떼365

#

예술강사 포럼 연구 협력 파트너십 정책사업 교류 확산 전문인력 전략 개편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49621

좋아요

0

질적 강화와 내실화를 통한 선순환체계 구축

질적 강화와 내실화를 통한 선순환체계 구축

예술교육의 확산, 새로운 방식의 협력으로

1 Comments
  • author avatar
    신상규 2016년 06월 06일 at 1:34 AM
    댓글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Cancel reply

1 Comments
  • author avatar
    신상규 2016년 06월 06일 at 1:34 AM
    댓글

    감사합니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Cancel reply

최신기사

꿈틀

미래사회 문화예술교육 가치 확산으로 새롭게 발돋움한다

박은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

올해는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2027)」이 시행되는 첫해다. 지난해 9월 취임한 박은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방향과 비전, 새롭게 발돋움하고자 하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의 발전 방향에 관해 들어보았다. 오랫동안 대학에서 문화예술경영을 가르치셨고, 문화예술 분야 여러 정책을 만들고 추진하는 데 관여해 오셨다. 문화예술교육과도 인연이 깊으신 것으로 안다. 예중·예고를 거쳐 미대 졸업 이후 유학에서도 예술학교에 다녔으니, 평생 예술교육을 배우고 가르치면서 살아왔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했을 당시 우리나라에는 예술경영이라는 게 없었던 시기여서 방송사에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인터넷과 IT 기업이 태동하는 시기여서 새로운 사고와 미래를

이선철_감자꽃스튜디오 대표‧본지 편집위원
2023.02.27.
움틀

뭣도 아닌 일상에서 뭐라도 되는 일상으로

니트생활자가 추구하는 느슨한 관계망의 힘

니트(NEET :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는 무직 상태이면서 직업 훈련도 받지 않고 학교도 다니고 있지 않은 이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15~34세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므로, 경제인구로 진입할 나이임에도 비경제인구로 남아있는 청년들을 겨냥한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청년 백수다. 니트를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선은 참 한결같다. 늘어진 츄리닝을 입고 방구석에만 처박혀 있는 낙오자, 집안의 골칫거리,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적 존재. 그들은 연민의 대상으로 여겨지거나 조롱과 비난의 대상이 되어 씹히기 일쑤다. 그러나 여기, 누가 뭐래도 니트의 무한한 가능성을 굳게 믿는 단체가 있다.

박유미_미술작가·효창서담 운영자
2023.02.27.
싹틀

기억을 기억해주는 것들

예술가의 감성템⑪ 조각도, 나무작품, 붓

초심(初心)을 기억하기란 참 어렵다. 그동안 빼곡히 쌓아왔던 날들을 가끔 동경할 때가 있다. 가만히 눈을 감고 떠올려야 지나간 장면들이 기억되지만 사실 부지런하게 움직였던 손은 이미 기억하고 있는 것 같다. ‘예술가’의 꿈을 위해 처음 만난 4절 도화지를 시작으로, 입시 미술을 거쳐 ‘공예학’을 전공했을 때는 세상의 모든 물질이 나의 화폭인듯했다. 마치 세상의 ‘연결자(連結者)’가 된 느낌이었다. 다음 전공이었던 ‘서양화’ 또한 그 느낌을 담아 자유로운 작품활동을 해왔던 것 같다. <LIVE> 작업과정 <LIVE> 갤러리 올, 2020 새로운 작품을 시작할 때마다 언제나 긴장과 설렘이 공존한다. 구름 같은

하태웅_공예작가·예술교육가
2023.02.27.
꿈틀

싸우는 예술, 조율하는 힘

정은혜 생태예술가·미술치료사

전염병의 대유행은 삶의 풍경을 바꿨다. 이제는 일부 장소를 제외하고는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벗어도 된다고 하지만 실외에서도 여전히 마스크를 쓰고 있는 사람들을 만난다. 아마 마스크가 없는 풍경이 현실에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같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전염병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코로나19 이후 다른 사람과 관계 맺는 방법을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관계의 단절은 사람들을 외롭게 만들었고 우울과 무기력에 빠지게 했다. 우울하고 무기력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하다 보니 예술이 무엇인가를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생태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정은혜 작가를 만나

김연주_문화공간 양 기획자
2023.02.20.
싹틀

인간이 피라미드 꼭대기에서 내려올 때

오늘부터 그린⑯ 지구 시간 걷기

내가 몸담은 단체에서는 해마다 ‘야생동물 탐사단(야탐단)’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사람이 다니지 않는 깊은 산을 사람들과 꼬박 일주일 넘게 걸으며 야생동물 흔적을 기록하는 프로그램이다. 코로나19 이후 잠정 휴업상태로 들어가 좀처럼 참여할 기회가 없었는데 작년 11월, 행사를 기획하던 동료 활동가의 제안으로 함께하게 되었다. 1박 2일이라는 짧은 일정, 동료 활동가는 평소와 다르게 둘째 날에 ‘딥타임워크(Deep Time Walk, 지구 시간 걷기)’를 넣어보고 싶다고 했다. 딥타임워크는 46억 년 지구의 역사를 4.6km의 거리로 환산하여 지구의 탄생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주요한 사건들을 설명하는 프로그램이다. 녹색연합 야생동물 탐사단 “글쎄. 두

이다예_녹색연합 활동가
2023.02.20.
동틀

변화를 읽고 방향을 모색하는 공론장을 연다

「제1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 : 문화를 통한 자유와 연대, 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프리뷰

미래 사회 변화의 큰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를 모색하고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2027)」 수립을 계기로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을 개최한다. 그간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으나, 미래 사회 변화의 큰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를 짚어보는 자리는 처음이다. 더 많은 관계자의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고, 담론을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제1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문화를 통한 자유와 연대, 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을 주제로 2월 27일부터 28일까지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1일 차] 급변하는 미래,

전략사업팀
2023.02.20.
비틀

매일의 순환이 주는 선물

문화예술교육가 5인의 창조적 습관

예술가의 창조성은 어디서 비롯될까? 꾸준히 작업하는 습관이 몸에 배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022 후기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상상만개+ ‘친구가 예술가’에 참여한 5인의 문화예술교육가가 밝히는 소소하고도 개인적인 일상 속 루틴을 들어보고, 우리 자신의 예술적 회복이자 창조성의 근원이 되어줄 ‘창조적 습관’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여정을 준비하는 일상여행자 김원익_연극연출가·작가 눈을 뜬다. 익숙하고 편안한 내 방에 빛이 가득하다. 하루가 시작됐다. 하지만 왜 난 시작하지 못하고 있지? 침대에 누워 엄지손가락이 폰 위에서 춤추는 걸 보느라 시작이 계속 미뤄진다. 때때로 시작을 미루고 미루다 멀어지는 하루와 작별하고, 또 다른

김원익·김준수·문해주·송한얼·황호빈
2023.02.13.
싹틀

새내기의 호기심으로 베테랑의 배짱으로

어쩌다 예술쌤⑱ 예술교육가의 배움과 성장

내 예술교육 경력을 들으면 사람들은 대부분 “꽤 오래 하셨네요. 뭐, 이제 베테랑이네!”라고 말한다. 하지만 난 그때마다 ‘베테랑’이라는 말과 ‘예술교육가’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라고 생각했다. ‘예술’에 담긴 의미처럼 ‘예술교육’ 또한 다양하고 늘 새롭기에 베테랑이기보다는 새로운 도전 앞에서 벌벌 떠는 새내기였던 기억이 더 많기 때문이다. 물론 수업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데 15년 경력이 가진 힘은 언제나 나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지만 베테랑이 아닌 새내기의 위치에 있을 때 오히려 더 많은 성장과 배움을 얻게 되었다. 그래서 끊임없이 나 자신을 새내기 예술교육가의 위치로 내몰았던 건지도 모르겠다.

이윤미_예술교육가(연극 분야)
2023.02.13.

비밀번호 확인

TOP
아르떼365 소개 공지사항 독자게시판 뉴스레터 보기 뉴스레터 신청 수신거부 개인정보처리방침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행인 : 박은실 담당부서 : 디지털콘텐츠팀

주소 : (03926) 서울특별시 마포구 상암산로 76(상암동, YTN 뉴스퀘어) 11~12층 전화 : 02)6209-5991

Copyright 2023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All Rights reserved.
web award 19 winner
arte365 영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