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은 문화예술교육 10년의 성과를 이어나가는 새로운 변화와 성장의 출발점에 선 해이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을 둘러싼 미래 환경 변화와 시대적 요구에 맞추어 그 역할과 방향성을 재정립 하는 움직임을 적극적으로 시작하고 있다. [아르떼365]에서는 새롭게 재정비된 정책사업의 추진체계와 방향 등을 보다 자세히 들어보기 위해 총 4주에 걸쳐 ‘아르떼, 새로운 10년을 말하다’를 주제로 특집을 연재한다. 본격적으로 2016년 정책사업 현장을 만나기에 앞서 진흥원이 고민하고 있는 현재와 미래에 대해 살피고 공유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특집] 아르떼, 새로운 10년을 말하다
- ① 예술협력사업본부
- ② 교육개발센터
- ③ 교육인력지원본부
- ④ 기획사업단
그 첫걸음으로서 오는 5월 넷째 주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기념하기 위한 행사를 기획 중이다. 행사기획 과정에서 제일 먼저 던져진 질문은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행사의 전 과정을 관통해야 할 문화예술교육의 핵심적 가치는 무엇인가?’였다. 문화예술교육은 예술적 역량을 넘어 문화적으로 다양한 학습자들을 포용하고 학습자 간 형평성과 가족·지역사회·학교 간의 긍정적인 상호협력을 촉진한다. 또한 세계, 문화, 예술의 다양성을 교육 내용에 포함하고 이를 통해 학습자들의 학습동기를 부여하며 도전의식을 고취시킨다. 현재 기획사업단은 이러한 문화예술교육의 지향점을 개방, 소통, 공유, 협력이라는 가치 추구를 통해 어떻게 구현할 것인지 고민하고 있다. 관 주도의 행사 기획 및 추진체계를 개방하여 현재 문화예술교육 현장과 학계에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이해관계자들의 자발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촉진하고자 한다. 전시성 행사를 지양하고 지속가능한 대표 프로그램으로 안착시킴으로써 문화예술교육 관계자들이 매년 함께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을 기다리고 준비하는 문화예술교육계의 축제가 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기획사업단의 다음 과제는 주어진 사업 및 세부사업들의 정체성을 재확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각각의 단위 사업들이 전체적인 문화예술교육 정책의 구조 속에서 어디에 위치하고 있으며 무엇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 살피고 앞으로 어떤 태도와 관점으로 접근할 것인지 고민하여야 한다. 문화예술 명예교사 ‘특별한 하루’ 프로그램, 창의예술캠프 ‘우락부락’,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고3 수험생 문화예술교육 ‘상상만개’ 등은 독자적인 브랜드를 갖고 전문 대행업체에 위탁하여 추진해 온 사업들이다. 사업을 추진할 당시에는 합목적성과 정당성을 인정받아 장기적 지속사업으로 출발했다고 하더라도 정책 및 사업 환경과 여건이 변화된 현재 시점에서는 새로운 모색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개혁적 모색을 하기 위해서는 해당 사업의 피상적 상황보다는 그 내부의 구조와 작동 시스템을 면밀하게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현재 문화예술교육계는 지난 10여 년간 정책·사업의 양적 성장에 비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합리적 제도와 시스템적 성장이 그에 미치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로 진통을 겪고 있다. 소규모 단위사업에서의 고민이라고 해서 관련 법령이나 제도적 장치와 별개일 수는 없다. 기획사업단 직원들은 진흥원 내에 이러한 도전적 조직이 생겨난 이유와 의미를 ‘지금, 여기’가 아니라 보다 깊은 맥락 속에서 이해하고 성찰하기 위해 오늘도 즐겁게 그리고 진지하게 업무에 임하고 있다.
- 정연희 _ 기획사업단장
- artnote@arte.or.kr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코너별 기사보기
비밀번호 확인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