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국내외 문화예술교육의 흐름과 현장, 연구자료를 소개합니다.

‘바로 그 지역’에서만 가능한 문화예술교육을 찾아서

지역성을 담은 일본의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지역 문화로 일본을 건강하게!” 12년 전, 일본 문화청에서 문화 정책 보고서를 발간하며 붙인 제목이다. 일찍이 일본은 지역성을 강조하는 문화 정책을 수립하며 지역 공동체의 가치 회복에 목소리를 높여 왔다. 문화예술교육이야말로 침체된 지역 사회를 활성화시키고 지역 구성원 간의 소통의 장을 마련해 주는 중요한 열쇠라고 보았기 때문이다. 동일본 대지진을 직접 경험한 지역 고등학생의 아픈 기억을 예술교육으로 치유하고자 했던 후쿠시마현 이와키 종합 고등학교의 연극 ‘블루 시트’, 마을 지역 주민들이 다 함께 기획한 효고현 오노시의 ‘우리 마을 전시’, 엑스포 개최 전후의 공간을 지역 아동의 예술교육의

‘뚝딱뚝딱’ 메이커 스페이스로 변화하고 있는 해외공간

기술과 예술이 어우러진 창의적 배움의 공간

흔히 도서관이라고 하면 책장 가득히 꽂혀 있는 온갖 책들과 ‘정숙’이라고 적혀 있는 안내문 등을 떠올릴 것이다. 이처럼 도서관은 책이나 신문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 보관하여 독서나 연구 등을 할 수 있도록 설립된 기관으로 생각되어 왔다. 그런데 해외의 공공 도서관 및 교내 도서관의 모습들이 점점 달라지고 있다. 3D 프린터, 레이저 커터 등의 기계들과 알록달록한 교구들이 도서관 안으로 들어오고 있는 것이다. 어떻게 된 일일까? 이는 바로 해외의 도서관들이 공공 도서관 및 교내 도서관을 ‘메이커 스페이스(Maker Space)’로 바꾸기 시작하면서 벌어진 일이다. 메이커와 메이커

필름 릴(Reel)을 통해 진짜(Real) 캐나다를 보다

캐나다 비영리 영화교육단체 ‘릴 캐나다(REEL CANADA)’

올해 건국 150주년을 맞이한 젊은 국가 캐나다. 이민으로 시작된 역사가 있는 만큼 캐나다 정부는 일찍이 다문화주의를 선언하며 문화적 개방성과 포용성을 확대해 왔다. 이는 캐나다의 교육 과정에도 반영되어, 캐나다 학생들은 어려서부터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타인에 대한 배려를 중요한 가치로 배우며 성장한다. 150여 개 국가에서 온 이민자와 난민 및 원주민이 어우러져 영어와 불어를 동등한 국가 공용어로 사용하고,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며 조화롭게 공존하고 있는 캐나다의 비결은 바로 그러한 교육에서 나온다. 한편, 캐나다는 미국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지리적 특성으로, 할리우드를 선두로 한 미국의 거대한

예술로 소통하고 예술의 힘을 느끼다

2017 예술꽃 씨앗학교 성과공유회 <예술꽃 씨앗학교, 숲이 되다>

2017 예술꽃 씨앗학교 성과공유회가 지난 10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2박 3일간의 일정을 마무리했다. 예술꽃 씨앗학교 사업은 재능이 뛰어난 몇몇 학생들만을 위한 교육이 아니라 전교생 모두가 함께 즐기는 문화예술교육이다. 이 사업을 통해 농·산·어촌의 소외된 지역 학교 학생들에게 문화예술교육 활동을 지원하여, 일상 속에서 예술과 하나가 되고 지역사회와 담장이 없는 학교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올해도 각 학교별로 다년간 쌓아온 문화예술교육 활동의 결실을 확인하는 공연제와, 각 학교의 예술 활동을 소개하고 체험해보는 교류 프로그램, 그리고 예술가와 함께 새로운 예술을 만나보는 공통 체험프로그램 등 다채로운 문화예술교육

예술교육, 그 후 SNAAP(Strategic National Arts Alumni Project)

장기적인 예술인들의 육성을 위한 전략 수립

미국 예술교육계의 각성제 뉴욕타임즈의 ‘줄리아드 효과’ 지난 2004년 12월 미국 예술계를, 정확하게는 예술교육계를 상당히 뜨겁게 달군 뉴욕타임즈의 기사가 하나 있었다. ‘줄리아드 효과, 10년 후(The Juilliard Effect: Ten Years Later)’라는 제목의 심층 르포 기사다. 데니얼 와킨(Daniel J. Wakin)과 문화와 여가(Arts & Leisure) 팀 기자들은 뉴욕 줄리아드 음대의 1994년 졸업생들을 추적하여, 그들이 졸업한지 10년 후인 2004년을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놀랍게도 줄리아드 음대의 동문 중 적지 않은 수가 음악과 전혀 관련 없는 직종에 속해 있거나, 비정규직 연주자로 음악계에 종사하는 등 다른 직업으로

우리는 왜, 만나야 하는가?

2017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오픈수업&네트워킹

박웅현 감독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서 광고계 신예들의 대표적인 롤 모델로 꼽힌다. 그는 후배들이 어떻게 창의력을 키울 수 있는지에 대한 질문에 이렇게 답한다. ‘많이 보고, 많이 듣고, 많이 울고, 많이 웃어라. 남들이 웃지 않는 것에 웃어라. 남들이 울지 않는 것에 울어라. 남들이 흘려 지나가는 것에 걸음을 멈춰라.’ 사소한 물음에 걸음을 멈춰 다시 생각하고 작은 소리에도 귀 기울이며 관찰하는 사람. ‘2017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이하 복지기관 지원사업)’에 활동하는 예술강사가 이런 사람이지 않을까? 이번 오픈수업에 참여한 장애인 분야의 예술강사는 자신의 감각을 세포까지 열어 참여자들을 관찰했다고

모든 학생의 완전한 예술교육을 위해

미국 보스턴 예술교육 기관의 학교 예술교육 진흥 사례

미국 공립교육의 탄생지이자 세계적인 예술교육기관 및 다양한 문화예술 단체를 보유한 매사추세츠 보스턴. 이곳의 예술교육 기관들은 2000년대 미국 다수 도시의 예술교육계가 겪고 있던 예산 삭감, 교육의 질과 기회 격차에 대한 과제를 예술교육전문기관과 공립학교를 잇는 네트워크 구축, 예술교육 모델 개발, 소외지역 학교와 학생 지원의 체계화를 통해 극복하고 있다. 모든 학생의 완전한 예술교육을 위해 공교육 내 예술교육 진흥을 추구하는 보스턴 예술교육 기관의 노력을 살펴보자. 아츠러닝 네트워킹 ‘애드보커시 그룹’ 모든 학생을 위한 총체적 예술교육을 추구하는 매사추세츠의 예술교육 허브 무용, 미디어, 음악, 드라마, 시각예술을 포함한

학교에서 배우고 경험하는 문화예술교육

2014~2016년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아이들이 학교에서 배우고 경험하는 문화예술교육은 어떻게 운영되고 있을까? 이러한 궁금증을 가진 교사, 장학사,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 정책관계자라면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결과를 주목해보자. 본 조사는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기초 통계를 확보하고, 관련 정책 및 전략 수립을 위해 전국의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전수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사실 기존에도 학교 문화예술교육 관련 통계가 일부 있었으나, 산발적이거나 단발성으로 진행된 조사가 대부분이었고, 학교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연차별로 세밀히 다룬 연구는 드물었다.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은 지난 2014년부터 교육과정 안팎의 문화예술교육 현황을 파악하고 분석함으로써, 학교 문화예술교육 정책추진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변화를 이끄는 해외의 학교 문화예술교육

창의력 증진·신념을 기반으로 한 국가·정부의 정책 및 사업

지금 세계는 창의력 개발, 창의 교육 등 ‘창의(Creativity)’에 주목한다. 이에 부응하듯, 창의 교육에서의 ‘예술교육’은 그 효과와 정당성을 인정받았고, 특히 창의력 발달에 중요한 아동‧청소년기의 학교 안 예술교육의 양적인 면과 질적인 면이 제고되어야 한다는 점은 모두가 동의하고 있다. 교육 전문가 켄 로빈슨(Ken Robinson)은 TED 강의 ‘학교가 창의력을 죽인다(Schools kill creativity)*’에서 학생들의 창의력을 키우는 교육제도를 만드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 학교 교육현장의 변화를 이끄는 해외 정부 및 정부 산하기관 등의 주요 정책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학교가 창의력을 죽인다(Schools kill creativity):

영국 아동 청소년극 전용 극장,
‘유니콘 극장(Unicorn Theater)’

뾰족한 뿔이 달린 하얀 말의 모습을 하고 있는 환상의 동물 유니콘. 유니콘의 뿔에는 사악한 힘을 막고 어떠한 질병도 고칠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이 깃들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유니콘의 뿔을 손에 넣으려는 사냥꾼이 끊이지 않지만, 영리하고 경계심 많은 유니콘은 웬만한 방법으로는 절대 잡히지 않는다. 그런 유니콘이 유일하게 경계심을 푸는 존재가 있는데, 바로 순수한 마음을 가진 소녀다. 유니콘의 사랑을 받는 천진난만한 아이들이 마음껏 예술을 즐기는 공간, 영국의 ‘유니콘 극장’을 소개한다. 유니콘 극장 전경과 유니콘 모형 관련 URL https://www.unicorntheatre.com 영국의 아동청소년연극 분야는 21세기에

박물관에서 나를 만나다

치매 노인을 위한 박물관·미술관의 문화예술교육

고령화 사회가 진행되면서 어떻게 건강하고 의미 있는 노후를 보낼 것인가는 전 세계적인 과제가 되었다. 고령사회를 앞서 경험하고 있는 구미시에서는 ‘창의적 노년’ 등을 화두로 다양한 문화예술활동 운영에 힘을 쏟고 있다. 또한 한걸음 더 나아가 치매 노인을 위하여 문화예술이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 다양한 실천을 모색하고 있다. 전세계 치매 환자는 4천4백만 명, 2030년도에는 7천5백만 명, 2050년도에는 1억3천5백만 명으로 급증하고 있다고 한다. 문화예술이 갖는 치유의 힘을 활용해 치매 노인들과 그 가족들에게 다가가는 서구 박물관·미술관의 문화예술교육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덴마크 야외민속박물관의 ‘기억의 집’

문화예술교육 정보공유·소통의 장을 향한 한걸음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정보관 일반인 개방 예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은 문화예술교육의 자원공유를 위해 8월 중 진흥원 내부 정보관(A.Library)을 일반 시민들과 문화예술교육 분야 종사자 및 관련 전공 대학생 등에게 개방하고자 한다. 지난 2016년 8월에 시범 개관한 정보관은 현재까지 문화예술교육 관련 전문서적, 저널, 연구 보고서, 사업 자료집 등 다양한 전문 자료 수집과 데이터화, 공간조성을 통해 문화예술교육 관계자들의 접근성을 높이고 자료를 공유하기 위한 준비를 계속해오고 있다. 정보관은 문화예술교육을 주제로 한 전문 도서관을 콘셉트로 하고 있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의 국내·외 서적들을 포함하여 교과서 및 인문, 교양도서 등 3,700여권의 단행도서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3,500여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변화 연구

개인의 변화를 넘어 가정과 지역사회에 미치는 효과

‘꿈의 오케스트라 아동변화 연구’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진행하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장기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3년 종단연구 설계를 수립하여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아동과 가족 및 교육강사 등을 대상으로 생태체계적 관점에 근거하여 꿈의 오케스트라 참여자, 가정, 지역사회 등에 미치는 개인적·사회적 효과를 증명하고자 하였다. 꿈의 오케스트라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 심리적 측정, 생리적 측정, 심층 인터뷰 등의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여러 영역에서 나타나는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의 효과성을 입증하고자 하였다.   3개년 연구 계획   신뢰성·타당성 확보한 측정 도구 개발 및 표집

2017년 하반기 해외 문화예술교육 주요행사

풍성하고 다채로운 문화예술교육의 향연

2017년 하반기 세계 각국의 주목할 만한 문화예술교육 행사를 정리하였다. 세계 각 국에서 준비하고 있는 컨퍼런스, 심포지엄 등 주요 행사를 알아보자. ▼ 개최 순 [미국] 2017 링컨센터 에듀케이션 여름 포럼(Lincoln Center Education Summer Forum) 7월 10일부터 28일까지 ‘2017 링컨센터 에듀케이션 여름 포럼(Lincoln Center Education Summer Forum)’이 개최된다. 링컨센터는 매년 3주간 예술가, 교육자, 그리고 예술, 교육 및 지역 사회에 관심이 있는 전 세계 참가자들에게 참여의 장을 마련한다. 이번 포럼은 전문가대상 체험형 워크숍과 기조연설, 종합토론 및 공연으로 구성된다. 주제는 ‘예술가와 교육자를 위한 교육랩(Learning

참여하는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현대 미술관

세계 각국의 미술관 교육 프로그램

최근 미술관에서는 다양한 일들이 펼쳐지고 있다. 영화나 공연을 관람할 수도 있고, 토론회에 참가할 수도 있으며, 작가들과 식사를 하면서 수다를 떨 수도 있다. 더불어 작가의 창작 활동에 참여할 수도 있다. 이처럼 미술관이 전시를 감상하기 위한 전통적인 개념에서 벗어나 여러 사람들이 드나들며 소통하는 마당으로 변해가고 있다. 이는 소위말해 ‘플랫폼으로서의 미술관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다양한 이들이 미술관 프로그램을 다채로운 형태로 참여하며 관계를 확장하고 있다. 이러한 미술관의 변화를 제대로 느끼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살펴보면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해외

예술경험의 행복으로 세상을 채우다

2017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 포토리뷰

2017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이 5월 24일부터 27일까지 4일간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와 블루스퀘어 등지에서 열렸다. 올해 주간행사에선 예술경험의 행복으로 세상을 채우는 국내외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국제 심포지엄을 시작으로 컨퍼런스, 워크숍 등 다채로운 문화예술교육 교류.학습의 장이 펼쳐졌다.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교육가, 시민이 함께 문화예술교육의 가치를 나눈 지난 4일간의 여정을 사진으로 만나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