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아르떼진 예술강사 문화예술교육사'

최신기사

융합은 고전이다. ‘디자인’ 개념에 숨어 있는 르네상스 미술과 과학의 관계 _정수경 미술이론가

요즘은 디자인이 미술의 한 분야로 당연하게 인식되고 있는데요. 사실 디자인은 그 근원이 과학자들의 활동을 가리키는 개념이자 더 나아가서는 중세 기독교 신학의 자연관으로부터 시작 되었다고 합니다. 학문 간 ‘융합’이 시대정신의 키워드로 대두되고 있는 현 상황에 비추어 보면, 디자인은 이미 오래 전부터 신학과 과학 그리고 미술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는 ‘융합’의 영역에 속해 있다고 할 수 있을 텐데요. 오늘은 정수경 미술이론가와 함께 ‘디자인’ 개념 속에 숨어있는 ‘융합’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다양한 인간 활동들 사이의 ‘통섭’, ‘융합’이 우리 시대정신의 키워드로 여겨지고 있다.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 _ 조정미 시인,출판인

“참 잘했어요”는 교사가 학생에게 하는 대표적인 칭찬의 말입니다. 하지만 이 말이 학생들에게 꼭 긍정적인 영향만을 미칠까요? 관계 형성에 있어 대화는 중요하지만 우리는 대화 속에서 의도치 않게 상대방에게 상처를 주거나 혹은 상처를 입은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학생을 자발적 인격체로 성장하게 끔 돕는 교사의 대화방법은 어떤 것일까요? 오늘은 교실 안에서 일어 날 수 있는 선생님과 학생 사이의 대화를 조명하는 책,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를 소개합니다.   중학교 시절 미술시간의 일이다. 그 친구는 너무나 조용해서 있는지 없는지를 알 수도 없을만큼 내성적이었는데, 선생님께서 갑자기

이것은 관악기도 현악기도 아닌 _ 김병오 음악학자

무작정 음악이 듣고 싶을 때, 여러분은 음악을 어떻게 선택하시나요? 기존에 나눠진 명확한 범주에 속하지 않는 음악장르는 검색하기 어려워 지인의 추천이나 미디어의 홍보에 의지해 음악을 선택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는 않았나요? 하지만 오늘날 기술이 발전하면서 음악 감상에도 새로운 영역이 만들어졌는데요. 바로 개인의 음악적 발자취를 분석해 그와 비슷한 취향을 가진 이들이 선호하는 음악을 추천해 주는 기능을 말합니다. 사람들의 감성을 분석해 정보를 만들고, 그 정보를 또 다른 사람들에게 알려주는 이른바 기계와의 감성 공유. 오늘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더 풍요로워지고 있는 음악세계에 대해 김병오 음악학자와 함께

사랑이라는 소통 _ 김남시 문화예술이론가

사랑하는 사람과 영화를 보러 갔을 때, 상대방을 배려하다 결국 어느 누구도 원하지 않은 영화를 보게 된 적이 있나요? 이와 비슷한 맥락에서 사회학자 니클라스는 상대방의 내면을 이해하려는 태도가 현대인들의 사랑을 더욱 어렵고 복잡하게 만들었다고 말합니다. 어떻게 된 걸까요? 오늘은 사랑 속에 감추어진 소통에 대해 김남시 문화예술이론가와 함께 생각해봅니다.   어느 시대나 사랑이 있었다고 해서 늘 같은 방식으로 사랑을 했던 것은 아니다. 시대마다 서로 다른 도덕과 관습이 지배했으며, 사람들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던 소통방식이 달랐기 때문이다. 신분과 계층 등 눈에 보이는 사회적 기호가

노래는 어디에 – <그 여자 작사 그 남자 작곡>(2007)
최유준 음악평론가의 무지카시네마(5)

멜로디를 만드는 남자와 가사를 짓는 여자의 로맨스, 영화 는 그 이야기만큼이나 영화의 테마가 된 노래 ‘Way Back Into Love 사랑을 찾아가는 길’ 또한 많은 사람들의 기억에 남아 있을 텐데요. 이 노래가 지금도 여러분이 마음속에 남아 있다면 그것이 멜로디인가요, 아니면 가사인가요? 사실 영화 속에서 이 노래를 함께 완성해 간 주인공 알렉스와 소피도 이 문제로 한창을 티격태격합니다. 음악을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멜로디’라고 생각하는 알렉스와 진심이 담긴 ‘가사’라고 주장하는 소피.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음악을 완성하는 멜로디와 가사 사이의 묘한 긴장 관계에 대해

사랑의 부재에 대처하는 하나의 자세 _정수경 미술이론가

뉴욕 시내 곳곳에 헝클어진 2인용 침대의 모습이 담긴 펠릭스 곤잘레즈-토레스의 작품은 많은 이들에게 부재에 대해 다시금 생각하는 시간을 안겨줬습니다. 연인이 생을 마감하는 순간과 그 이후 작가가 내놓은 작품들은 상실과 부재에 대한 의미를 부여해주는 과정이었다고 합니다. 이러한 과정들 속에서 그가 어떤 위안을 받았을까요? 사랑의 부재에 대처하는 하나의 자세에 대하여 펠릭스 곤잘레즈-토레스의 작품을 통해 정수경 미술이론가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992년 5월 16일, 뉴욕시내 곳곳의 빌보드 24곳에는 누군가 막 자고 나간듯한 새하얀 2인용 침대의 헝클어진 모습이 담긴 커다란 사진이 전시되었다. 아무런 설명 없이

위로의 디자인 _조정미 시인, 출판인

힘들고 지친 일상 속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건 따뜻한 위로가 아닐까요? 때로는 영감을 주고 때로는 미소 짓게 하며 사람과 사람, 자연과 자연을 평화로운 방법으로 전달하는 디자인이 우리를 위로 해줄 수 있다고 하는데요. 틀에 박힌 삶 속에서 즐거운 일탈을 경험하게 해주는 ‘위로의 디자인’ 을 만나볼까요?   지난 5개월간의 연구 프로젝트는 지독히도 무더웠던 올해 여름만큼이나 힘들었다. 23명의 심층인터뷰, 138명의 설문조사, 방대한 자료조사를 기반으로 했으며, 최종 인쇄본까지 편집해서 제출해야 했기에 마지막 인쇄본을 손에 받아드는 순간까지 긴장을 늦출 수가 없었다. 모든 일정이 마무리된 그런 순간에

사운드스케이프, 소리의 고향을 찾아 떠나는 길 _김병오 음악학자

환경운동이 1960년대 이후 본격화되면서 음악 세계에서도 여러 음악인들이 그 대열에 함께 하는 움직임이 생겨났는데요. 바로 자연과 환경에 대한 적극적인 음악인들의 대답 ‘사운드스케이프’ 운동입니다. 사운드스케이프 운동을 하는 음악인들은 지금 당장 문을 열고 귓가에 들리는 다양한 소리들이 곧 음악이라고 말합니다. 자연을 닮은 음악을 넘어 도시를 닮은 음악, 소음 환경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한 이 아름다운 운동에 대해 김병오 음악학자와 함께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까요?   한해 가운데 가장 풍성한 절기인 한가위, 이 때가 되면 많은 사람들은 고향을 찾아 길을 나설 바쁜 채비를 한다. 조상들

다른 세상을 향한 사랑, 미메시스(mimesis) _김남시 문화예술이론가

듣고 있는 음악, 눈 앞의 그림, 읽고 있는 소설 장면에 빠져들어 마치 그것과 하나가 된 것 같은 느낌 가져본 적 있나요? 무엇인가 모방하는 것을 넘어 그것에 나를 맡김으로 하나가 되고자 하는 것 – 철학자 아도르노는 ‘미메시스(mimesis)’를 이렇게 설명합니다. 마치 우리가 사랑에 빠졌을 때와 비슷하지 않나요? 김남시 문화예술이론가는 예술도 미메시스의 영역으로 설명합니다. 예술은 자신의 목적과 이해관계에 갇혀 바동거리던 우리를 다른 사람, 다른 사물, 지금까지 나와 관련도 없던 다른 세상을 향해 열어 놓기 때문이죠. 오늘 칼럼을 통해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볼까요?  

늙어버린 클래식에게 – 영화 <콰르텟 Quartet>
최유준 음악평론가의 무지카시네마(4)

음악이란 명예와 자존심을 위한 것이라 믿어왔던 왕년의 프리마돈나 진. 그녀가 머무는 양로원에서 기획하는 작은 음악회를 준비하면서 음악이란 것이 완벽하지 않더라도 서로의 호흡과 감정을 함께 나누기 위한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아 갑니다. 그리고 자신의 전성기 시절 목소리를 녹음한 음반만을 반복해 들으며 늙고 초라해진 자신의 모습을 거부하던 그녀는 마침내 현재의 시간으로 뛰어들며 늙은 성악가로 당당히 무대에 오릅니다. 은퇴한 음악가들의 삶을 다룬 영화 , 최유준 음악평론가의 칼럼으로 함께 만나볼까요?   2010년 독일 체펠린 대학에서 수행한 한 조사연구에 따르면 클래식연주회에 참석하는 청중의 연령은 평균적으로 55세에서

공유의 비극을 넘어서_조정미 시인, 출판인

한사람보다 여러 사람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하면 더 나은 방법이 나오지 않을까요? 개인의 이기심으로 사유지만큼 공유지는 애써 가꾸지 않는다는 정설과 다르게, SNS와 첨단 과학기술이 만나며, 위키피디아, 소셜펀딩 등의 이른바 ‘집단지성’이 꽃을 피우기 시작했습니다. 2009년 여성 최초 노벨경제학상 수상자 엘리너 오스트롬이 말하는 ‘공유의 비극을 넘어’ 그 대안에 대해 함께 살펴볼까요?   양과 가축을 키우는 농가들이 모여 사는 공동체 공간에 사유지와 공유지가 함께 존재한다면 공유지는 반드시 황폐화된다는 게 정설이었다. 개인의 이기심은 자신의 사유지만큼 공유지를 가꾸지 않게 만들기 때문이다. 공유된 초지에 너무 많은 양과

공간의 유희, 리움에서 무한도전을 찍는다면_정수경 미술이론가

미술관은 무엇을 위한 곳일까요? 많은 사람들에게 이렇게 물으면 ‘미술작품을 보고 즐기기 위한 곳’이 라고 답할 것입니다. 그런데 꼭 조용히, 침묵 속에 사색하며 작품을 바라보는 것이 가장 좋은 감상 방법일까요? 오늘은 정수경 미술이론가와 미술관이라는 ‘공간의 유희’에 대해 함께 생각해봅니다.   리움에서 무한도전을 찍는다면? 이 무슨 생뚱맞은 질문인가. 사실 정말로 리움에서 무한도전 촬영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건 아니다. 다만, 읽는 순간 참 안 어울린다고 생각했기를 바랐을 뿐. 미술관에서 예능프로그램을 촬영하며 시끌벅적, 왁자지껄 웃고 뛰는 장면이 자연스럽게 떠오른다면, 당신은 정말로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다. 물론,

철새가 사라진 자리, 눈먼 민요의 존재론_영화 ‘천년학’과 전통음악
최유준 음악평론가의 무지카시네마(3)

임권택 감독의 대표적인 영화 ‘서편제’와 ‘천년학’ 하면 떠오르는 것은 바로 ‘소리’라고 우리가 흔히 말하는 전통음악입니다. 그런데 이 두 영화가 판소리와 민요에 대한 미학적 은유보다는 역사적 은유를 좇는다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최유준 음악평론가의 칼럼으로 함께 알아볼까요?   임권택 감독의 영화 ‘서편제(1993)’는 이청준의 연작소설 ‘남도 사람’ 에서 ‘서편제’와 ‘소리의 빛’ 두 작품을 원작으로 삼고 있다. ‘남도 사람’은 ‘서편제’, ‘소리의 빛’, ‘선학동 나그네’로, 각각 독립적이면서도 서로 내용적 연관을 이루는 세 편의 단편소설이다.   주인공 동호가 어렵사리 찾은 눈먼 누이 송화의 소리에 눈물을 흘리며

우리 안에 내재된 소통에 대한 갈망, 대중문화로 생각해보기
김연수 문화평론가

과학과 기술의 발달로 우리의 생활과 문화에는 급격한 변화가 일어났습니다. 디지털 문화에서 자라나 모든 것이 익숙한 세대와, 아날로그 문화에서 디지털문화로 바뀐 것을 습득한 다른 세대 간에 태생적 차이가 생겨났지요. 대중문화도 마찬가지로 똑같은 현상을 세대별로 전혀 다르게 받아들이고, 주로 소비하는 콘텐츠도 각자 다릅니다. 이처럼 세대별 문화의 차이를 좁히고 다른 세대 문화에 대한 편견을 버리고 이해하는 일, 바로 소통의 첫 걸음인데요. 김연수 문화평론가의 글로 함께 알아볼까요?   작년말, 문화계를 총정리하면서 여러 매체들이 문화평론가인 저에게 물었습니다. ‘다가올 2013년 대중문화에서 가장 핫한 이슈는 무엇이 될까?’라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