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예술가의감성템'

최신기사

기억을 기억해주는 것들

예술가의 감성템⑪ 조각도, 나무작품, 붓

초심(初心)을 기억하기란 참 어렵다. 그동안 빼곡히 쌓아왔던 날들을 가끔 동경할 때가 있다. 가만히 눈을 감고 떠올려야 지나간 장면들이 기억되지만 사실 부지런하게 움직였던 손은 이미 기억하고 있는 것 같다. ‘예술가’의 꿈을 위해 처음 만난 4절 도화지를 시작으로, 입시 미술을 거쳐 ‘공예학’을 전공했을 때는 세상의 모든 물질이 나의 화폭인듯했다. 마치 세상의 ‘연결자(連結者)’가 된 느낌이었다. 다음 전공이었던 ‘서양화’ 또한 그 느낌을 담아 자유로운 작품활동을 해왔던 것 같다. <LIVE> 작업과정 <LIVE> 갤러리 올, 2020 새로운 작품을 시작할 때마다 언제나 긴장과 설렘이 공존한다. 구름 같은

내일은 무엇을 찍어야 할까

예술가의 감성템⑩ 카메라, 이북리더기, 스마트워치

기분이 좋아도 좋지 못해도, 날씨가 맑아도 흐려도 매일 촬영하고 싶다. 내가 서 있는 장소의 분위기 속에서 느낀 것을 촬영하고 사람들한테 보여준다. 대다수가 공감하지 못해도 단 한 명만이라도 같은 걸 느껴준다면 그걸로 만족하고자 한다. 내일은 무슨 사진을 찍어야 할까. 사진은 나의 앞에 있는 것을 담아내는 것이다. 먼저 몸을 어디에 둘 것인가 고민해야 했다. ‘평소에는 볼 수 없는 것을 볼 수 있는’ ‘익숙하면서도 생소한’ ‘사진을 촬영하기 좋은 환경을 가진’, 이 조건을 모두 만족하는 곳인 국경도시 나콘파놈(Nakhon Phanom)으로 떠났다. 나콘파놈은 태국 동쪽 끝에

관계가 주는 다채로운 사물들

예술가의 감성템⑧ 노드 트리 하우스, 향수, 수집사물

리듬과 이야기가 뒤엉켜지는 어떤 지점에 노드(node)가 생겨납니다. 그 순간을 시각화하기 위해 디지털 장비를 장착하고 호기심으로 마음을 부풀려 내뻗는 발걸음으로 풍경을 채집하는 우리를 ‘노드 트리(NODE TREE)’라고 명명했습니다. 우리는 정강현, 이화영이면서 까레이와 들판이라고 불리는 것에 더 익숙합니다. 정강현은 부산광역시 대신동에서 태어나 자랐고 25살이 되던 해 작곡가가 되기 위해 서울에 도착했습니다. 작은 아이가 감당하기에는 너무 크고 어두웠던 공간에서 끼니를 거르며 헤비메탈 음악과 함께 일상을 보낸 어떤 시절에 꾸던 꿈이었습니다. 중학교 2학년 때 드라마 <까레이스키>가 방영되었는데 강현이라는 이름과 찰떡이었는지 그때부터 까레이로 불렸고 지금도 그

정답 없는 질문을 품고, 살아있는 경험을 담아

예술가의 감성템⑦ 나무, 요리, 공동체

손바닥 너비의 작은 책으로부터 시작된 계기였다. 그 책은 우연히 눈앞에 나타나 예술이 주는 즐거움만을 추구하던 나에게 멈추어 생각해 볼 질문을 던져주었다. 1902년 독일, 카푸스라는 열아홉 살의 젊은 학생은 입대를 앞두고 대시인 릴케에게 자신이 쓴 시를 보내며 비평해 줄 것을, 자신의 앞날에 대한 조언을 청한다. 그리고 릴케는 답장을 보내온다. 이렇게 시작된 서신 왕래는 1908년까지 이어졌고 『젊은 시인에게 보내는 편지』는 문학도들뿐 아니라 수많은 젊은이에게 영감을 주었다. 편지라는 형식은 당시 나에게 마음속 뒤편으로 미뤄두었던 답답함과 굳이 끄집어내어 고민하고 싶지 않던 현실의 상황을 살피는데

그 자체로 충실하게, 전혀 낯설게

예술가의 감성템⑥ 돌, 돌, 그리고 돌

문득 특별한 감정에 휩싸여 이상한(?) 것을 줍거나 구입하거나 괜한 수고를 들여서 구하는 경우가 있다. 생활공간에 훌쩍 쌓여버린 그 이상한 것들을 마주할 때면 당시에 느꼈던 특별함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지고, 마치 모르는 이와 마주 앉아있는 것처럼 난처한 기분이 들기도 한다. 그럴 때면 당시의 주변 상황과 환경을 상기하거나, 당시의 감정에 작용했을 여러 자극들을 떠올려서 그 의미를 다시 찾아보려고 시도한다. 이상한 것들을 폐기하지 않고 여기에 계속 두어야 할 마땅한 가치를 찾는 것이다. 그런데 그 일련의 되새김질 과정에서 당시의 추상적이고 모호했던 감정들이 현재의 시점에서 구체화 되고,

우리를 지탱하는 ‘반짝이는’ 일상의 조각

[독자설문결과] 여러분의 감성템은 무엇인가요?

예술교육가는 어디에서 영감을 받고 휴식을 얻을까? [아르떼365]는 ‘예술가의 감성템’ 연재를 통해 예술교육가의 일상을 예술적으로 충동하는 물건, 공간 등 예술교육 활동의 아이디어가 되는 아이템을 소개하고 있다. 연재에 참여 중인 예술교육가뿐 아니라 누구에게나 자신의 삶을 지탱하고 일상 속 감성을 자극하는 ‘감성템’을 갖고 있지 않을까? 지난 7월 5일부터 24일까지 진행한 ‘여러분의 감성템은 무엇인가요?’ 설문조사를 통해 [아르떼365] 독자 156명이 자신의 소중한 아이템을 꺼내놓았다. 추억을 되새기고 삶을 살아갈 힘을 주는 독자들의 감성템을 만나보자. 사진_김도빈 사진_조명훈 기억을 담는 – 음악과 스피커 우리는 통화 연결음이나 개인 페이지의

나를 나답게 만드는, 작고 다정한 것들

예술가의 감성템⑤ 연필과 수첩, 사람, 배지 

나의 창작 욕구를 자극하거나 나에게 영감을 주는 물건을 주제로 원고를 청탁받았을 때, 몸을 매개로 하는 예술교육실천가인 나는 어떠한 물건으로 나를 소개하고 나의 활동을 연결해야 할지 난감하기도 했지만 스스로 마주하는 시간을 가지며 나와 늘 함께하는 것, 나를 이루는 것들을 떠올려보았다. 나와 오랜 시간을 함께 보내며 나의 거울이 되어준, 동료 같은 아이템 세 가지를 소개한다. 연필과 수첩-기록하는 습관 내가 그동안 활동하며 꾸준히 반복했던 것은 무엇인지 돌이켜보니 기록하는 일과 그 기록을 통한 성찰이 있었다. 수많은 대안을 준비해 놓아도 삶은 계획대로 흘러가지 않음을 수백

창작에 자극을 주는 뜻밖의 물건들

예술가의 감성템④ 제품 사용설명서, 프라모델, 3D프린터

인간이 다른 동물과 차별되는 여러 지점 중 하나는 필요에 의해 새로운 물건을 생각해내고 만드는 것이다. 나의 작업 결과들도 일종의 발명품이라 생각한다. 그리고 그 물건들이 만들어진 궁극적인 목적은 전혀 실용적이지 않다. 개인적으로 일상에서 느끼는 사람과 그들의 이야기, 멀리는 사람과 사회에 관해 다소 씁쓸하고 냉소적인 시선으로 담아내는 것들이 많다. 그래서 가상의 기업(혼자산업 또는 혼자전자라고 부른다)을 만들어 페르소나로 활용하거나 프로젝트 중심으로 활동해 왔다. 또 작업을 시작한 이래 상당 기간 여러 작가, 기획자와 함께 세운상가에서 ‘스페이스바’라는 공간을 운영하며 공동 혹은 개인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또

감각 교차를 채집하는 도구와 장소

예술가의 감성템③ 피에조, 루페, 실상사

조각을 공부하고 그 뒤 사운드아트와 사운드 설치미술, 필드레코딩에 대한 공부를 더 하고 난 뒤부터 나의 활동의 폭은 더욱 넓어지게 되었다. 시각적인 영역과 청각적인 영역을 오가기도 하고 그 둘의 영역의 교차지점에 서 있기도 하면서 소리를 매개로 한 다양한 형태의 과정과 결과물을 경험하고 소개하며 시간을 보내왔다. 2017년 가을이 지나가는 시기에 ‘깡깡이마을’이라고 불리는 부산시 영도구 대평동으로 작업실을 옮기고, 전자공학과 인공지능 그리고 예술학을 공부한 다른 작가와 둘이서 작업실을 운영하고 있다. 깡깡이마을은 부산 자갈치 수산물 시장이 맞은편에 보이는 영도의 해안가 선박수리 공업지역이다. 마을 전체가 선박을

나의 창작을 이루는 것들

예술가의 감성템② 레고, 스타워즈, 리벳건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영등포 문래동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노정주 입니다. 2011년 무렵 홍대에 있는 작업실 임대료를 감당하기 힘들어져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 고민하던 때에 우연히 문래동이라는 동네를 알게 되었고 집에서도 가까워 이곳으로 옮겨 오게 되었어요. 당시에는 임대료도 저렴했고, 무엇보다 조금 거칠게(?) 써도 된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저는 주로 설치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레고를 쓰기도 하고 아두이노(arduino, 인터랙티브 객체들과 디지털 장치를 만들기 위한 도구)를 이용한 전자부품을 활용하기도 하고, 현재는 주로 알루미늄을 활용한 가구나 프로젝트를 위한 조형물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제가 소개하고자 하는 아이템 세 가지는 레고,

사물에 담긴 마음의 흐름

예술가의 감성템① 연필깎이, 콤파스, 도토리

프랑시스 퐁주라는 사람은 비누를 25년간 관찰하고 책 한 권을 썼다. 조약돌의 일종, 마법의 돌, 하늘빛을 띤 안개의 핵, 황홀의 발레, 매혹적인 연출과 그 뒤로 사라지는 기억, 굳어지고 갈라진 이마, 무기력하지만 민첩하며 수다스럽고 열정적인 돌…. 그는 아마도 매일 아침 단단한 비누를 비비고 주무르고 미끄러운 거품을 느끼고 녹는 것을 보면서 계속해서 부풀어 오르고 사라지는 마음을 바라보았을 것이다. 퐁주처럼 나도 흩어지는 감정과 어지러운 생각 사이에서, 미끄러지지만 잡아야만 하는, ‘그 무언가’를 잡기 위해 노력했던 것 같다. 시시각각 변하는 내 마음을 사물에 담아 표현하거나 행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