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인문학'

최신기사

‘나’와 ‘나의 영역’을 확장하는 기회

아르떼 아카데미(AA)는 문화예술교육 매개자 및 협력자, 예비 인력에게 필요한 연수를 제공하는 연수 프로그램입니다. 올해도 아르떼 아카데미의 하반기 교육과정이 시작되었습니다. 과연 이 연수에 참여하는 예술강사에게 아르떼 아카데미가 어떤 기회이자 시간이었을까요? 오광열 예술강사와 함현경 예술강사를 만나 직접 들어보았습니다.

고전의 주체적인 글쓰기에 대하여
_인문고전비평가 유헌식②

고전의 저자들은 자기의 호흡에 충실하다. 독자의 호흡을 고려하지 않는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그래서 어렵다. 자기 호흡에 충실하기 때문에 독자는 낯설게 느끼지만, 바로 그 이유로 인해 작품에는 독창성과 깊이가 생겨난다. 자기만의 생각에 철저하다는 것, 그것은 저자에게는 안거할 방을 보장하지만 독자에게는 가혹한 벽으로 다가온다. 고전의 의미와 독해 사이에서 벌어지는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고전의 글쓰기는 객관적이지 않고 주관적이다. ‘객관적’일 경우 기존의 사유 관행에 의지하게 되어 자기만의 목소리를 내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자기 생각의 고유성을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생각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개발하거나 새로운

시야를 열다
_명예교사 추천시리즈① 광고인 박웅현

광고는 아이디어의 산물이다. 광고에 쓰이는 글귀와 장면은 어느 것 하나 허투루 삽입되는 것이 없다. 짧은 순간에 인간의 내면을 쥐었다 놓는 절실함이 필요하다. 그렇기에 인간이 보편적으로 갖고 있는 감정의 급소를 강력하게 혹은 부드럽게 타격할 줄 알아야 한다. 누군가의 가슴에 들어갔다 나온 것도 아닌데, 감성의 맥을 탁탁 짚어내는 힘. 그것이 무엇일까. 박웅현은 그것을 ‘인문학’이라고 말한다. 그리고 그 중심에는 ‘책’이 있었다고 말한다.   여기, 그의 시야를 여는데 큰 도움을 준 두 권의 책이 있다. 손철주의 『인생이 그림 같다』와 오주석의 『옛 그림읽기의 즐거움』. 그가

인문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 인문키움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에 대해 알아보는 그 세 번째 만남! 오늘은 인문학적 시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인문키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주로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기관 ∙ 단체 실무자 등 문화예술교육 ‘현장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아마 많은 현장 실천가분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학생들과 호흡하며 치열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계시겠지요. 그 하루하루가 쌓여 너무 많은 시간이 흘러가버리기 전에 잠시 숨을 고르고 ‘왜 문화예술교육을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인문키움’은 인문학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강사님들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