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헤엄치는 고등어들, 바다를 만드는 어른들 2022.11.22. 댓글 0 조회수 4,743 # 기사가 좋았다면 눌러주세요! 96871 좋아요 0 냉정한 성찰을 바탕으로, 소통과 합의를 동력으로 냉정한 성찰을 바탕으로, 소통과 합의를 동력으로 칸에 갇힌 상상을 깨면 변화가 보인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Cancel reply *이 름 *이메일 비밀번호 댓글 남기기 이메일은 공개되지 않습니다. Cancel reply *이 름 *이메일 비밀번호 최신기사 꿈틀 미래사회 문화예술교육 가치 확산으로 새롭게 발돋움한다 박은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 올해는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2027)」이 시행되는 첫해다. 지난해 9월 취임한 박은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방향과 비전, 새롭게 발돋움하고자 하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의 발전 방향에 관해 들어보았다. 오랫동안 대학에서 문화예술경영을 가르치셨고, 문화예술 분야 여러 정책을 만들고 추진하는 데 관여해 오셨다. 문화예술교육과도 인연이 깊으신 것으로 안다. 예중·예고를 거쳐 미대 졸업 이후 유학에서도 예술학교에 다녔으니, 평생 예술교육을 배우고 가르치면서 살아왔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했을 당시 우리나라에는 예술경영이라는 게 없었던 시기여서 방송사에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인터넷과 IT 기업이 태동하는 시기여서 새로운 사고와 미래를 이선철_감자꽃스튜디오 대표‧본지 편집위원 2023.02.27. 움틀 뭣도 아닌 일상에서 뭐라도 되는 일상으로 니트생활자가 추구하는 느슨한 관계망의 힘 니트(NEET :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는 무직 상태이면서 직업 훈련도 받지 않고 학교도 다니고 있지 않은 이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15~34세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므로, 경제인구로 진입할 나이임에도 비경제인구로 남아있는 청년들을 겨냥한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청년 백수다. 니트를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선은 참 한결같다. 늘어진 츄리닝을 입고 방구석에만 처박혀 있는 낙오자, 집안의 골칫거리,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적 존재. 그들은 연민의 대상으로 여겨지거나 조롱과 비난의 대상이 되어 씹히기 일쑤다. 그러나 여기, 누가 뭐래도 니트의 무한한 가능성을 굳게 믿는 단체가 있다. 박유미_미술작가·효창서담 운영자 2023.02.27. 싹틀 기억을 기억해주는 것들 예술가의 감성템⑪ 조각도, 나무작품, 붓 초심(初心)을 기억하기란 참 어렵다. 그동안 빼곡히 쌓아왔던 날들을 가끔 동경할 때가 있다. 가만히 눈을 감고 떠올려야 지나간 장면들이 기억되지만 사실 부지런하게 움직였던 손은 이미 기억하고 있는 것 같다. ‘예술가’의 꿈을 위해 처음 만난 4절 도화지를 시작으로, 입시 미술을 거쳐 ‘공예학’을 전공했을 때는 세상의 모든 물질이 나의 화폭인듯했다. 마치 세상의 ‘연결자(連結者)’가 된 느낌이었다. 다음 전공이었던 ‘서양화’ 또한 그 느낌을 담아 자유로운 작품활동을 해왔던 것 같다. <LIVE> 작업과정 <LIVE> 갤러리 올, 2020 새로운 작품을 시작할 때마다 언제나 긴장과 설렘이 공존한다. 구름 같은 하태웅_공예작가·예술교육가 2023.02.27. 꿈틀 싸우는 예술, 조율하는 힘 정은혜 생태예술가·미술치료사 전염병의 대유행은 삶의 풍경을 바꿨다. 이제는 일부 장소를 제외하고는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벗어도 된다고 하지만 실외에서도 여전히 마스크를 쓰고 있는 사람들을 만난다. 아마 마스크가 없는 풍경이 현실에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같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전염병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코로나19 이후 다른 사람과 관계 맺는 방법을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관계의 단절은 사람들을 외롭게 만들었고 우울과 무기력에 빠지게 했다. 우울하고 무기력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하다 보니 예술이 무엇인가를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생태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정은혜 작가를 만나 김연주_문화공간 양 기획자 2023.02.20. 싹틀 인간이 피라미드 꼭대기에서 내려올 때 오늘부터 그린⑯ 지구 시간 걷기 내가 몸담은 단체에서는 해마다 ‘야생동물 탐사단(야탐단)’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사람이 다니지 않는 깊은 산을 사람들과 꼬박 일주일 넘게 걸으며 야생동물 흔적을 기록하는 프로그램이다. 코로나19 이후 잠정 휴업상태로 들어가 좀처럼 참여할 기회가 없었는데 작년 11월, 행사를 기획하던 동료 활동가의 제안으로 함께하게 되었다. 1박 2일이라는 짧은 일정, 동료 활동가는 평소와 다르게 둘째 날에 ‘딥타임워크(Deep Time Walk, 지구 시간 걷기)’를 넣어보고 싶다고 했다. 딥타임워크는 46억 년 지구의 역사를 4.6km의 거리로 환산하여 지구의 탄생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주요한 사건들을 설명하는 프로그램이다. 녹색연합 야생동물 탐사단 “글쎄. 두 이다예_녹색연합 활동가 2023.02.20. 동틀 변화를 읽고 방향을 모색하는 공론장을 연다 「제1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 : 문화를 통한 자유와 연대, 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프리뷰 미래 사회 변화의 큰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를 모색하고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2027)」 수립을 계기로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을 개최한다. 그간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으나, 미래 사회 변화의 큰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를 짚어보는 자리는 처음이다. 더 많은 관계자의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고, 담론을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제1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문화를 통한 자유와 연대, 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을 주제로 2월 27일부터 28일까지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1일 차] 급변하는 미래, 전략사업팀 2023.02.20. 비틀 매일의 순환이 주는 선물 문화예술교육가 5인의 창조적 습관 예술가의 창조성은 어디서 비롯될까? 꾸준히 작업하는 습관이 몸에 배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022 후기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상상만개+ ‘친구가 예술가’에 참여한 5인의 문화예술교육가가 밝히는 소소하고도 개인적인 일상 속 루틴을 들어보고, 우리 자신의 예술적 회복이자 창조성의 근원이 되어줄 ‘창조적 습관’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여정을 준비하는 일상여행자 김원익_연극연출가·작가 눈을 뜬다. 익숙하고 편안한 내 방에 빛이 가득하다. 하루가 시작됐다. 하지만 왜 난 시작하지 못하고 있지? 침대에 누워 엄지손가락이 폰 위에서 춤추는 걸 보느라 시작이 계속 미뤄진다. 때때로 시작을 미루고 미루다 멀어지는 하루와 작별하고, 또 다른 김원익·김준수·문해주·송한얼·황호빈 2023.02.13. 싹틀 새내기의 호기심으로 베테랑의 배짱으로 어쩌다 예술쌤⑱ 예술교육가의 배움과 성장 내 예술교육 경력을 들으면 사람들은 대부분 “꽤 오래 하셨네요. 뭐, 이제 베테랑이네!”라고 말한다. 하지만 난 그때마다 ‘베테랑’이라는 말과 ‘예술교육가’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라고 생각했다. ‘예술’에 담긴 의미처럼 ‘예술교육’ 또한 다양하고 늘 새롭기에 베테랑이기보다는 새로운 도전 앞에서 벌벌 떠는 새내기였던 기억이 더 많기 때문이다. 물론 수업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데 15년 경력이 가진 힘은 언제나 나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지만 베테랑이 아닌 새내기의 위치에 있을 때 오히려 더 많은 성장과 배움을 얻게 되었다. 그래서 끊임없이 나 자신을 새내기 예술교육가의 위치로 내몰았던 건지도 모르겠다. 이윤미_예술교육가(연극 분야) 2023.02.13. 비밀번호 확인
꿈틀 미래사회 문화예술교육 가치 확산으로 새롭게 발돋움한다 박은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 올해는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2027)」이 시행되는 첫해다. 지난해 9월 취임한 박은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원장과의 인터뷰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교육의 정책적 방향과 비전, 새롭게 발돋움하고자 하는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하 진흥원)의 발전 방향에 관해 들어보았다. 오랫동안 대학에서 문화예술경영을 가르치셨고, 문화예술 분야 여러 정책을 만들고 추진하는 데 관여해 오셨다. 문화예술교육과도 인연이 깊으신 것으로 안다. 예중·예고를 거쳐 미대 졸업 이후 유학에서도 예술학교에 다녔으니, 평생 예술교육을 배우고 가르치면서 살아왔다. 유학을 마치고 귀국했을 당시 우리나라에는 예술경영이라는 게 없었던 시기여서 방송사에서 문화예술 프로그램을 기획했다. 인터넷과 IT 기업이 태동하는 시기여서 새로운 사고와 미래를 이선철_감자꽃스튜디오 대표‧본지 편집위원 2023.02.27.
움틀 뭣도 아닌 일상에서 뭐라도 되는 일상으로 니트생활자가 추구하는 느슨한 관계망의 힘 니트(NEET : Not in Education, Employment or Training)는 무직 상태이면서 직업 훈련도 받지 않고 학교도 다니고 있지 않은 이들을 일컫는 말이다. 이는 일반적으로 15~34세에 해당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므로, 경제인구로 진입할 나이임에도 비경제인구로 남아있는 청년들을 겨냥한다.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청년 백수다. 니트를 바라보는 우리 사회의 시선은 참 한결같다. 늘어진 츄리닝을 입고 방구석에만 처박혀 있는 낙오자, 집안의 골칫거리, 사회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적 존재. 그들은 연민의 대상으로 여겨지거나 조롱과 비난의 대상이 되어 씹히기 일쑤다. 그러나 여기, 누가 뭐래도 니트의 무한한 가능성을 굳게 믿는 단체가 있다. 박유미_미술작가·효창서담 운영자 2023.02.27.
싹틀 기억을 기억해주는 것들 예술가의 감성템⑪ 조각도, 나무작품, 붓 초심(初心)을 기억하기란 참 어렵다. 그동안 빼곡히 쌓아왔던 날들을 가끔 동경할 때가 있다. 가만히 눈을 감고 떠올려야 지나간 장면들이 기억되지만 사실 부지런하게 움직였던 손은 이미 기억하고 있는 것 같다. ‘예술가’의 꿈을 위해 처음 만난 4절 도화지를 시작으로, 입시 미술을 거쳐 ‘공예학’을 전공했을 때는 세상의 모든 물질이 나의 화폭인듯했다. 마치 세상의 ‘연결자(連結者)’가 된 느낌이었다. 다음 전공이었던 ‘서양화’ 또한 그 느낌을 담아 자유로운 작품활동을 해왔던 것 같다. <LIVE> 작업과정 <LIVE> 갤러리 올, 2020 새로운 작품을 시작할 때마다 언제나 긴장과 설렘이 공존한다. 구름 같은 하태웅_공예작가·예술교육가 2023.02.27.
꿈틀 싸우는 예술, 조율하는 힘 정은혜 생태예술가·미술치료사 전염병의 대유행은 삶의 풍경을 바꿨다. 이제는 일부 장소를 제외하고는 실내에서도 마스크를 벗어도 된다고 하지만 실외에서도 여전히 마스크를 쓰고 있는 사람들을 만난다. 아마 마스크가 없는 풍경이 현실에서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을 것 같다. 문제는 이러한 현상이 전염병 때문만은 아니라는 점이다. 코로나19 이후 다른 사람과 관계 맺는 방법을 잊어버렸기 때문이다. 관계의 단절은 사람들을 외롭게 만들었고 우울과 무기력에 빠지게 했다. 우울하고 무기력한 삶에서 벗어나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할지 생각하다 보니 예술이 무엇인가를 할 수 있을 것 같았다. 그래서 생태예술가이자 미술치료사인 정은혜 작가를 만나 김연주_문화공간 양 기획자 2023.02.20.
싹틀 인간이 피라미드 꼭대기에서 내려올 때 오늘부터 그린⑯ 지구 시간 걷기 내가 몸담은 단체에서는 해마다 ‘야생동물 탐사단(야탐단)’이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사람이 다니지 않는 깊은 산을 사람들과 꼬박 일주일 넘게 걸으며 야생동물 흔적을 기록하는 프로그램이다. 코로나19 이후 잠정 휴업상태로 들어가 좀처럼 참여할 기회가 없었는데 작년 11월, 행사를 기획하던 동료 활동가의 제안으로 함께하게 되었다. 1박 2일이라는 짧은 일정, 동료 활동가는 평소와 다르게 둘째 날에 ‘딥타임워크(Deep Time Walk, 지구 시간 걷기)’를 넣어보고 싶다고 했다. 딥타임워크는 46억 년 지구의 역사를 4.6km의 거리로 환산하여 지구의 탄생부터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주요한 사건들을 설명하는 프로그램이다. 녹색연합 야생동물 탐사단 “글쎄. 두 이다예_녹색연합 활동가 2023.02.20.
동틀 변화를 읽고 방향을 모색하는 공론장을 연다 「제1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 : 문화를 통한 자유와 연대, 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프리뷰 미래 사회 변화의 큰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를 모색하고 문화예술교육 패러다임을 전환하고자, 「제2차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23-2027)」 수립을 계기로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을 개최한다. 그간 문화예술교육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왔으나, 미래 사회 변화의 큰 흐름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사회적 역할과 의미를 짚어보는 자리는 처음이다. 더 많은 관계자의 정책 공감대를 형성하고, 담론을 지속적으로 활성화하기 위한 첫걸음이 될 「제1회 미래 문화예술교육 포럼」은 ‘문화를 통한 자유와 연대, 예술교육의 사회적 의미와 영향’을 주제로 2월 27일부터 28일까지 한국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에서 열린다. [1일 차] 급변하는 미래, 전략사업팀 2023.02.20.
비틀 매일의 순환이 주는 선물 문화예술교육가 5인의 창조적 습관 예술가의 창조성은 어디서 비롯될까? 꾸준히 작업하는 습관이 몸에 배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2022 후기청소년 문화예술교육 상상만개+ ‘친구가 예술가’에 참여한 5인의 문화예술교육가가 밝히는 소소하고도 개인적인 일상 속 루틴을 들어보고, 우리 자신의 예술적 회복이자 창조성의 근원이 되어줄 ‘창조적 습관’은 무엇인지 살펴보자. 여정을 준비하는 일상여행자 김원익_연극연출가·작가 눈을 뜬다. 익숙하고 편안한 내 방에 빛이 가득하다. 하루가 시작됐다. 하지만 왜 난 시작하지 못하고 있지? 침대에 누워 엄지손가락이 폰 위에서 춤추는 걸 보느라 시작이 계속 미뤄진다. 때때로 시작을 미루고 미루다 멀어지는 하루와 작별하고, 또 다른 김원익·김준수·문해주·송한얼·황호빈 2023.02.13.
싹틀 새내기의 호기심으로 베테랑의 배짱으로 어쩌다 예술쌤⑱ 예술교육가의 배움과 성장 내 예술교육 경력을 들으면 사람들은 대부분 “꽤 오래 하셨네요. 뭐, 이제 베테랑이네!”라고 말한다. 하지만 난 그때마다 ‘베테랑’이라는 말과 ‘예술교육가’는 어울리지 않는 단어라고 생각했다. ‘예술’에 담긴 의미처럼 ‘예술교육’ 또한 다양하고 늘 새롭기에 베테랑이기보다는 새로운 도전 앞에서 벌벌 떠는 새내기였던 기억이 더 많기 때문이다. 물론 수업을 기획하고 진행하는 데 15년 경력이 가진 힘은 언제나 나에게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주지만 베테랑이 아닌 새내기의 위치에 있을 때 오히려 더 많은 성장과 배움을 얻게 되었다. 그래서 끊임없이 나 자신을 새내기 예술교육가의 위치로 내몰았던 건지도 모르겠다. 이윤미_예술교육가(연극 분야) 2023.02.13.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