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지역다시읽기'

최신기사

나고 자란 지역을 배움터로, 지속 가능한 교과서로

충북 교사자율연구회 ‘리얼월드러너’의 로컬크리에이팅 수업

“그래서, 진로는 생각해 봤니?” 사실 학생들과 첫 상담에서 물어보고 싶었던 질문은 아니었다. 요즘 주로 어떤 생각을 하는지,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지, 의미 있었던 경험은 무엇인지 이야기 나누고 싶지만, 대학 입시를 준비해야 하는 고등학교의 상담 시간은 너무 짧았다. “의사가 되고 싶어요.” “그래? 왜? 언제부터 의사가 되고 싶었어?” “모르겠어요.” “그럼, 어떤 의사가 되고 싶어? 의사가 되어서 해보고 싶은 일이 있어?” “음… 모르겠어요.” 의사, 간호사 아니면 반도체공학과, 화학공학과, 경영학과 등 말하는 직업이나 학과만 달라질 뿐, 학교 안에서 늘 반복되는 대화였다. ‘모르겠어요’라는 말에는 아이들의 가슴에

로컬로 향하는 행복한 반전이 필요하다

[대담] 지역의 현재와 가능성, 미래를 위하여

대담 개요 일 시 : 2024. 6. 7.(금) 오후 3시 장 소 : 무수책방 참석자 : 정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교수, 김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선임연구위원(본지 편집위원) 김규원  요즘 지역이 화두다. 지역 소멸, 인구 소멸 등 지역이 위기라는 얘기가 나오는데, 이제 우리가 생각하는 지역의 의미를 바꿔야 지역이 좀 달라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교수님이 생각하시는 지역이란 무엇인가? 정 석  지방, 지역, 로컬이라는 단어가 있다. 처음에는 지방이라는 말을 썼던 것 같다. 서울도 지방이지 않은가. 서울지방경찰청, 서울지방병무청, 서울지방국세청. 그런데 어느 순간 서울, 경기, 인천은 수도권이고, 나머지는 주변,

우선과 우월을 벗어나 고유하며 조화하기

지역 절대주의의 오류를 바로잡으려면

문화예술계에는 지역문화 절대주의자가 많다. ‘우리 지역, 우리 역사, 우리 예술, 우리 문화’를 절대 선(善)으로 놓고, 교육하고 기획하고 실행하는 사람들이 지역문화 절대주의자들이다. 이 문맥의 ‘사람들’에는 예술가, 교육자, 매개자, 기획자, 연구자, 행정공무원, 정치가 등이 속한다. 이들에게 ‘우리 공간’은 선(善)이고 다른 공간은 타자일 뿐이다. 이것은 분명한 오류다. ‘우리 지역문화’만 중요한 것이 아니고 민족문화, 다른 지역의 문화, 세계의 보편문화도 중요하다. 대한민국 「지역문화진흥법」 2조 1항이 규정하는 지역문화란 ‘「지방자치법」에 따른 지방자치단체 행정구역 또는 공통의 역사적·문화적 정체성을 이루고 있는 지역을 기반으로 하는 문화유산, 문화예술, 생활문화, 문화산업 및

경계를 넘어서 :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지평

지역을 위한 창조와 혁신 전략

창의적인 도시의 탄생과 부활: 진도와 전주의 사례 창의적인 도시는 어떻게 탄생하고 성장할까? 또한 왜 정체되며 어떻게 부활할 수 있을까? 오늘날 많은 지역이 경제적·사회적 변화 속에서 정체성을 잃고 위기에 직면해 있다. 하지만 문화예술교육은 이러한 지역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전라남도 진도와 전라북도 전주의 사례를 통해 이 주제를 탐구해 보고자 한다. 진도는 문인화, 소리, 춤 등 전통 문화예술이 꽃피는 곳이다. 초등학생부터 예술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지만, 현재 진도가 창의적인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는지는 의문이다. 전주 역시 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