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우리들의눈'

최신기사

철학과 예술을 구원할
알록달록한 질문

실패한 인문학자가 되는 즐거움

나는 실패했다. 사실 몇 해 전부터 알고 있었다. 내가 구상한 프로그램은 작동하지 않는다는 걸. 2008년 시작된 현장 인문학에 관한 이야기다. 현장 인문학이란 넓은 의미에서 ‘가난한 사람들’, 이를테면 빈민, 재소자, 홈리스, 장애인 등과 인문학을 공부하는 프로그램이다. 가난한 사람들 곁을 지켜온 활동가들과 몇몇 인문학자들이 의기투합해서 만들었다. 활동가들은 무기력한 채로 고립된 사람들에게 시급한 것은 삶의 의지와 욕망을 살려내는 일이라고 했다. ‘빵’만 던지는 것이야말로 한가한 짓이라고, 정말로 절실한 것은 ‘빵’이 아니라 ‘장미’라고. 2008년 나를 찾아온 노들장애인야학(이하 노들야학)의 활동가도 똑같은 이야기를 했다. 이 학교에는 “뛰어내리려고

본다는 것을 탐구하는 원대한 여정

엄정순 작가 · (사)우리들의 눈 디렉터

#1. 어느 때부터인가 생텍쥐페리의 소설 <어린 왕자>의 첫머리를 읽으면서 투시하지 않은 보아구렁이 뱃속의 코끼리 그림을 우리는 알아챌 수 있었을까 하는 생각을 한다. 결국 그림 제2호를 보아야만 뱃속의 코끼리를 알게 되지 않았을까. #2. ‘장님 코끼리 만지기’라는 옛날 속담이 있다. “앞이 안 보이는 사람들이 코끼리를 만져 보는데 저마다 다른 부분을 만지고서는 자기가 알고 있는 것이 코끼리라고 우긴다”라는 내용이다. 다 알지 못하면서 전부 아는 것처럼 행동할 때 우리가 사용하는 속담이다. 속담 자체로는 부정적 뉘앙스를 띤다. 그런데 조금만 달리 생각하면, 단순히 눈이 아닌, 오감(여기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