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대안교육'

최신기사

아이들에게 침윤의 시간을 허하라

학교와 교육, 그 안에서의 예술

라면과 수필 감히 말하건대, 유기농법은 풀과의 전쟁이고, 기숙형 대안학교는 라면과의 전투다. 아이들이 생활관 규칙을 새로 개정해 나가던 2019년 어느 틈새에 야식 규정이 느슨해진 때가 있었다. 매일 밤 11시 생활관 건물 전체는 라면 스프 냄새가 진동했다. 일부 아이들과 교사회 전체는 ‘이건 아니지 않냐’는 정서가 부글부글 끓어오르고 있었다. 금요일 오전. 103명의 학생과 스무 명 넘는 교사가 한자리에 모인 ‘가족회의.’ 나는 강당 무대에 걸터앉아 아래와 같은 대목 한 구절을 천천히 읽어 내려갔다. “그걸 알면서도 라면을 먹으면서 김밥을 또 주문하니. 슬프다, 시장기의 근원은 어디에

새로운 교육 실험과 전망을 모색하는 긍지

강내희 지식순환협동조합 대안대학 학장

창조적인 문화예술 교육은 규율보다는 자율을, 정보적 지식보다는 깨달음의 지혜를 중시해야 한다. 경쟁을 중심으로 배치된 제도교육 시스템은 ‘더디 가는 시간’을 견뎌내지 못한다. 규율을 통해 학생들을 통제하고, 답이 정해져 있는 정보의 습득을 학생들에게 강제하려 한다. 대안교육은 지배적 이데올로기를 거스르면서 학생들이 스스로 성장하도록 기다리는 ‘인내하는 교육’이다. 한국 사회의 대안교육은 고등학교에만 머물러 있다. 하지만, 조그만 변화가 2015년에 시작되었다. ‘지식순환협동조합(이하 ‘지순협’) 대안대학’은 2년제 비인가 대학이다. ‘경쟁사회, 경쟁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협력사회, 협력교육’을 내걸고 과감한 교육실험을 현재 진행형으로 실천하고 있다. 강내희 학장을 만나 지순협 대안대학의 교육실험, 문화예술교육의

오늘의 배움을 그리고 쓰고 붙이면

아카이브 예술놀이, ‘레지오 에밀리아 접근법’

학교는 청소년 시기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공간 중 하나입니다. 여러분에게 학교는 어떤 공간이었나요? 이탈리아 북부에 위치한 소도시 레지오 에밀리아(Reggio-Emilia)의 어린이들은 스스로 놀이를 만들어내고, 함께 프로젝트를 설계하며, 자율적으로 자신이 던진 질문의 답을 찾아 나갑니다.

문화예술교육 전문성의 근원을 찾아서

문화예술 NGO 예술과 시민사회 ‘2016 부처 간 협력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2005년 문화예술교육 지원법 제정 이후 지난 10년간 우리는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유형의 교육프로그램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그만큼 문화예술교육에 종사하는 강사도 늘어났고, 방과 후 학교는 물론, 지역의 다양한 문화시설, 교육시설 등을 활용한 연계프로그램도 많아졌다. 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양적으로 늘어난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성장이나 예술교육 종사자들의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전문 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필요성도 대두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