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백남준'

최신기사

스틱스 강을 건너듯, 교차하고 횡단하기

안유리 미술작가

지금의 청소년들이 성인이 되는 미래에는 우리 삶이 어떻게 바뀔까? 2000년대를 전후로 해서 우리 사회에는 이주노동자, 결혼이주민 등 여러 나라의 이주민 유입이 늘어나서 최근 300만 명이 넘었다. 우리 인구의 5%가 넘은 것이다. 또한 우리도 해외에 나가서 생활하거나 일을 하는 상황이 빈번해졌다. 국제이해교육(Education for International Understanding)은 문화적 충돌을 최소화는 소극적 다문화 정책 차원을 넘어서 청소년 세대가 마주해야 하는 미래를 보다 국제적으로 사고하게 하는 중요한 토대가 된다. 활발한 창작활동과 함께 코리안 디아스포라를 추적하고 청소년들과 문화다양성 프로그램을 기획한 안유리 작가를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봤다. 지난해

사이버네틱스, 삶의 변화를 예견하는 예술

예술로 읽는 미래② 시각예술

“사이버네틱 예술도 매우 중요하지만 사이버네틱스화한 삶을 위한 예술이 더욱 중요하다.” – 백남준 ‘사이버네틱스 예술’(1965) 중 4차 산업혁명은 정보통신 기술이 우리 사회에 혁신적인 변화를 야기할 것이라는 기대를 그대로 대변하는 용어이다. ‘혁명’이란 과감한 단어를 우리 사회가 큰 거부감 없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에서 이를 느낄 수 있다. 물론 이 4차 산업혁명이 진정 우리의 삶을 송두리째 바꿀 진정한 혁명일지, 아니면 과장된 명명론일지는 아직 모른다. 다만 테크놀로지가 우리의 삶과 예술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 그리고 그 영향력이 더 강해질 것이라는 것을 우리는 피부로 느끼고

미디어와 함께 나아가는 문화예술교육

2017 학교 예술강사 지원사업 기획사업 <프로젝션 맵핑 – 미디어파사드> 수업현장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은 말했다. “다른 것을 맛보는 것이 예술이지 일등을 매기는 것이 예술이 아니다.” 이는 단지 예술 분야에 국한된 얘기가 아니다. 교육 또한 일등을 매기기 위한 수단이나 방법이 될 순 없다. 문화예술교육 분야에선 어떠한가. 수많은 교육기관에서 다양한 대내외 활동을 통해 문화예술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연극, 무용, 음악, 미술 등 순수예술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 대부분이다. 탈장르, 융·복합으로 대변되고 있는 복합문화의 시대. 문화예술교육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경기도 광주에 있는 한 고등학교에서 작지만 큰 변화의 움직임이 포착됐다. 테크놀로지와 예술의 현장에 가다 지난 8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