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배움의 화요일'

최신기사

삶은 여행_정수경 미술이론가

바야흐로 바캉스 계절이다. 퇴근 무렵 라디오에서 연이어 들려오는 기차 여행 노래들을 듣노라면 휴가 여행 생각이 절로 굴뚝같아진다. 후텁지근한 날씨도 한 몫 거들며, 지친 일상을 떠나 시원한 계곡물에 발이라도 담그라고 부추긴다. 열심히 일한 당신, 떠나라!   온 카와라의 대표작 시리즈 휴가가, 여행이 특별한 까닭은 그것이 일상을 벗어나기 때문이다. 혹은, 일상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행이 길어지다 보면, 일상과 여행의 간극은 좁아진다. 혹은, 여행은 일상의 부분이 된다. 여기 여행이 극단적으로 길어져 여행이야말로 일상이 된 예술가가 있다. 온 카와라(On Kawara, 1933~ ).  

기술복제시대의 음악 – <피아니스트의 전설>
최유준 음악평론가의 무지카시네마(2)

20세기 초반 벤야민이 영화라는 새로운 복제예술에서 가능성을 발견한 것은 크게 두 가지 이유에서였다. 영화는 ‘진품명품’의 아우라(aura)가 없다는 것, 즉 서울의 극장에서나 미국 할리우드의 극장에서나 어디서건 질적으로 전혀 차이가 없는 영화가 상영될 수 있다는 민주적 특성이 첫째요, 특유의 편집을 거쳐 움직이는 몽타주 화면이 관객들의 새로운 감각적 체험을 이끌어낸다는 것이 둘째 이유였다. 음악도 그럴까? 음악이 음반이나 라디오로 무한 복제되어 청중에게 전달될 때, 벤야민이 영화에서 기대한 그러한 잠재력이 실현될 수 있을까?   실상 20세기의 음악은 복제기술에 지배당했고, 장르를 불문한 ‘음반의 시대’가 되었다. 영화

애국가(愛國歌),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_김병오 음악학자

영화를 보기 위해서는 ‘애국가’를 먼저 감상해야 했던 시절이 있었다. 1990년대 이전의 일이었는데, 헐리웃영화를 보든 성인영화를 보든 영화가 시작되기에 앞서 관람객들은 일제히 기립하여 ‘애국가’ 앞에 경의를 표해야만 했다. 해질녘 태극기를 내릴 때, 거리에서 걸음을 멈추고 가슴에 손을 올려야 했던 것도 마찬가지. 행여 좋은 의도였다 하더라도 사람들에게 그다지 유쾌한 경험을 주지는 못한 제도였다. 개인 양심의 문제를 공개적으로 드러내도록 강제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1970년대, 서울시청앞 국기 하기식 풍경 [출처: 경향신문]   아직도 우리는 스포츠 경기 시작 전이나 각종 민간 행사에서 ‘애국가’를 부르는 경우가

작가와 예술가들이 전쟁 발발에 열광했던 이유
김남시 문화예술이론가_세계 1차 대전과 예술가들

1914년 여름, 전쟁이 선포되었을 때 독일 작가 토마스 만은 이런 글을 발표했다.   “전쟁 발발 소식에 시인의 가슴이 얼마나 크게 타오르는가? 우리는 전쟁을 믿지 않았다. 우리의 정치적 통찰력은 유럽 파국의 필연성을 인식하지 못했다. 하지만 도덕적 존재로서 우리는 가슴 깊은 곳에서 지금의 세계, 지금 우리의 세계로는 더 이상 안 된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 평화의 세계를 우린 너무도 잘 알고 있었다. 이 세계는 구더기와 정신의 해충들로 들끓고 있지 않던가? 썩어가는 문명의 물질들이 발효해 악취를 풍기고 있지 않던가? 이 지긋지긋한 평화의 세계가 붕괴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