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기획연재'

최신기사

끊임없이 변모하며 고요한 황홀을 잇다

예술가의 책방④ 책방이음

2008년 2월 서울 대학로에 사무실을 둔 시민단체 ‘나와우리’로 직장을 옮기자마자, 좋아하는 책을 살 수 있는 서점이 어디 없을까 싶어 찾아보았다. 큰 통행로에서 살짝 비켜난 곳에 ‘이음아트’가 나왔다. 지하 1층으로 계단을 조심스럽게 내려가는데 브람스 교향곡 3번이 흘러나왔다. 문을 열고 들어서니 사십 걸음을 걸어도 끝나지 않는 책방의 서가마다 책이 가득 꽂혀 있었다. 막 나온 새 책뿐만 아니라 중고 책도 있었고, 턴테이블에 LP가 돌아가고 있었다. 주인은 손님 온 것도 모르고 책에 심취해 있었다. 사무실에서 연락이 와서 급히 나왔지만, 지하에서 펼쳐지고 있던 고요하면서도 황홀한

한 뼘 자란 모습으로 “우리 만나요”

어쩌다 예술쌤⑪ 예술교육 기획

내가 영화를 보고 만들고 공부한 이유는 즐거워서다. 우리가 예술을 교육하는 이유도 문화로 그들의 삶이 즐겁기를, 예술로 다채로워지기를 바라서가 아닐까. 나는 수업 시작과 끝인사를 “반갑습니다”와 “또 만나요”로 한다. 이는 교육 참여자들이 조금이나마 영화 수업을 반겨주고 다시 만나기를 희망하면 좋겠다는 생각에서 약속한 인사이다. 영화 예술강사로서 영화교육을 연구하고 실행하면서 ‘예술을 즐기는 문화시민’을 목표로 설정했다. 이는 참여자뿐만 아니라 예술강사도 포함하는 목표다. ‘교육과 강의장’을 넘어서 영화를 함께 이야기하고 만들고 즐기는 ‘작업실과 공론장’이 되기를, 나와 함께하는 참여자가 영화라는 예술을 통해 행복할 수 있기를 바라며 노력해왔다. 수업

나의 창작을 이루는 것들

예술가의 감성템② 레고, 스타워즈, 리벳건

안녕하세요. 저는 서울 영등포 문래동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노정주 입니다. 2011년 무렵 홍대에 있는 작업실 임대료를 감당하기 힘들어져서 어떻게 하면 좋을까 고민하던 때에 우연히 문래동이라는 동네를 알게 되었고 집에서도 가까워 이곳으로 옮겨 오게 되었어요. 당시에는 임대료도 저렴했고, 무엇보다 조금 거칠게(?) 써도 된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저는 주로 설치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레고를 쓰기도 하고 아두이노(arduino, 인터랙티브 객체들과 디지털 장치를 만들기 위한 도구)를 이용한 전자부품을 활용하기도 하고, 현재는 주로 알루미늄을 활용한 가구나 프로젝트를 위한 조형물을 제작하고 있습니다. 제가 소개하고자 하는 아이템 세 가지는 레고,

물왕멀296엔 이야기가 물결친다

예술가의 책방② 물결서사

2022년 3월 15일 화요일 저녁 6시. 메일 수신확인란에 ‘읽음’ 표시가 하나둘 늘 때마다 뱃살이 1mm씩 줄어드는 듯한 기쁨과 고통을 동시에 느끼며 책방을 빠져나왔다. 5월 31일까지 계속될 연재 프로젝트 ‘주간 봐라물왕멀296’은 3개월간 구독료 3만 원을 내면 매주 화요일 저녁 6인의 창작물(그림·시·소설·희곡·노래·비보잉 영상)을 메일로 받아볼 수 있는 유료 구독 서비스다. 일찍이 이슬아 작가가 발명한 [일간 이슬아](2018~현재)의 구독형 메일링 연재 시스템을 그대로 옮겨왔다. 무엇보다 ‘창작물 직거래 메일링 구독 서비스(=선불)’로 정리되는 두렵고도 매력적인 거래 방식을 통해 새로운 동력을 얻고 싶었다. 2년 넘는 코로나 시국

사물에 담긴 마음의 흐름

예술가의 감성템① 연필깎이, 콤파스, 도토리

프랑시스 퐁주라는 사람은 비누를 25년간 관찰하고 책 한 권을 썼다. 조약돌의 일종, 마법의 돌, 하늘빛을 띤 안개의 핵, 황홀의 발레, 매혹적인 연출과 그 뒤로 사라지는 기억, 굳어지고 갈라진 이마, 무기력하지만 민첩하며 수다스럽고 열정적인 돌…. 그는 아마도 매일 아침 단단한 비누를 비비고 주무르고 미끄러운 거품을 느끼고 녹는 것을 보면서 계속해서 부풀어 오르고 사라지는 마음을 바라보았을 것이다. 퐁주처럼 나도 흩어지는 감정과 어지러운 생각 사이에서, 미끄러지지만 잡아야만 하는, ‘그 무언가’를 잡기 위해 노력했던 것 같다. 시시각각 변하는 내 마음을 사물에 담아 표현하거나 행위를

혼자가 아닌, 슬기로운 협업

어쩌다 예술쌤⑨ 학교 예술강사 프로젝트 공동개발

대학원 시절 생계를 위해 낮에는 문화센터 강사를, 밤에는 작품활동을 하며 알바 아닌 알바 같은 직업을 갖고 있었다. 대학원 마지막 학기에 도전한 학교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은 나에게 한 줄기 빛과 같았다. 이른 아침 출근하고 교과 시간에 아이들을 만날 수 있다는 점과 나를 선생님으로 불러주고 따라주는 아이들이 나에겐 너무나 큰 행복이었다. 대학원에서 만난 친구들에게도 학교 문화예술교육을 추천할 정도로 ‘예술강사’라는 직업을 사랑했고 자부심도 있었다. 하루 이틀이 쌓여 13년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학교 예술강사 워크숍 날이었다. “선생님은 전공이 어떻게 되세요?” “그 학교는 어때요?” “저는 이런저런 문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