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문화'

최신기사

지금, 통의동보안여관 11호실에는
ㅡ2012 일맥아트프라이즈 수상작가전

  통의동보안여관 11호실, 그 남자   종로의 한복판, 더 이상 투숙객을 받지 않는 이 여관에 머무는 사람이 있습니다. 여관에 투숙하는 것이 뭐 그리 대단한 일이겠어요. 하지만 통의동보안여관이 특별하고, 11호에 머무는 ‘그 사람’이 특별한 데에는 이유가 있습니다.   그 남자의 꿍꿍이   예부터 예술인들과 문학인들이 모여들던 통의동보안여관. 여관은 한 사람이 겨우 다리 뻗을 수 있을 정도의 좁고 작은 여러 갈래의 방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그는 각 방마다 ‘그’를 불러모으기 위해 방을 수리하고 청소를 하고 이부자리를 정리하고 창문가에 꽃을 키우며 편지를 씁니다.  

해외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자료 찾기

  문화예술교육 데이터베이스 구축 국제 프로젝트 소개   국가별 문화예술교육 정책 현황을 보다 상세하게 알고 싶다면, 세계 각 권역별 NGO 및 정부기관 주도로 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정보를 소개하는 웹사이트를 방문해보자. 모두 영어로 제공되고 있지만, 언어의 장벽만 살짝 극복한다면 체계적인 정보들을 복잡한 로그인 절차 없이 무료로 내려 받을 수 있다. 지금부터 소개하는 사이트들은 해외 주요 문화예술교육 관련 사이트로, 양질의 자료들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길.   유럽연합   Compendium of Cultural Policies and Trends in Europe : www.culturalpolicies.net     “유럽

다양한 문화와 소통하는 방법
: 문화예술교육ㅡ국경없는마을 RPG

  다양한 문화와 소통하는 방법: 문화예술교육 “다양성이 없이는 인류가 진정으로 살아갈 수 없다” -레비스트로스(Lévi-Strauss)-   꿈다락토요문화학교의 국경없는마을 RPG에 대해서 알아보는 세 번째 시간입니다. 이번에는 최근 우리나라의 다문화정책 및 다문화교육에 관한 열풍 속에 국경없는마을 RPG 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의미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원곡동 미션을 수행하기 위한 회의 중   다문화사회   법무부 자료에 따르면 2012년 8월 국내에 체류 중인 외국인의 수는 1,437,576명으로 전체인구의 2.8% 정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교육과학기술부에서는 2012년 9월 17일, 다문화가정 학생이 2006년(9,389명)보다 5배 늘어난 수치이고, 조사

글쓰기의 기본은
플롯의 이해에서 시작된다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   – 로널드 B. 토비아스 저 – 김석만 역 – 풀빛 – 2007.07.25   너무나 당연한 이야기라 뻔하고 지루한 책들이 있다. 그렇지만 그런 책은 하나같이 기본을 다루는 매뉴얼과 같아 그냥 지나칠 수 없는 것이 대부분이다. 글을 쓰거나 비평을 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 스무 가지 플롯’이 바로 그런 책이다.   플롯은 (진부하지만) 대단합니다. “플롯이 뭐야? 난 그런 거 안 써.” 하시는 분들의 글조차, 이 책에 설명된 핵심 플롯은 꼭 들어갑니다. 당신이 ‘플롯’에

낭만주의와 숭고의 그림
_미술평론가 강수미③

괴테가 1774년 출간한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에서 주인공 베르테르는 이성보다 감성을 중시하고, 사회 통념이나 외적 논리보다 자신의 내면에 더 귀 기울이는 청년이다. 그런 그가 자연의 품에서 우울증을 치료하고자 시골 마을을 찾는데, 거기서 베르테르는 이미 약혼자가 있는 여인 로테를 사랑하게 된다. 그리고 소설이 전개되는 내내 로테를 향한 정열과 번민, 희열과 고뇌, 자책감과 희망 사이를 왕복운동하며, 쾌락의 이미지와 규범의 현실 사이를 떠돌다 결국 권총 자살로 생을 마감한다. 마치 그의 몸이 고향을 떠나 이곳저곳을 방랑했듯이 영혼 또한 방랑했던 것이다. 또 어느 날 귀족들의

한글아 놀자 Let’s play Hangeul

무용가를 꿈꾸는 핀란드의 학생들 사이에 한국에서 불어오는 바람이 불었습니다.   요즘 지구촌 이곳 저곳에서 불고 있는 그런 바람들과는 조금 다릅니다. 음악 속에서 그녀들이 표현하고 있는 것은, 바로 ‘한글’입니다.   자음과 모음을 몸으로 표현하며 한글의 형상과 의미를 자연스럽게 익히고, 나아가 한국이라는 나라와 그 나라의 문화에 마음을 열어갑니다.   핀란드 미래 무용가들이 만들어가는 것은 세계의 중심에서 피어나고 있는 한국의 향기입니다.     * 이번 기사에서 다룬 ‘한글춤’은 연세대 언어정보연구원 이정화 박사가 「핀란드 무용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한글춤 교육프로그램 체험 사례」를 연구한 논문으로

버스는 문화예술교육을 싣고
ㅡ세계의 이동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리뷰

  눈에서 멀어지면 마음에서도 멀어진다고 했던가. 대중의 마음에서 멀어지지 않기 위해, 그들이 손 내밀면 닿는 곳으로 직접 이동하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이 세계 각국에서 운영되고 있다. 대상과 지역에 맞는 악기와 음향․영상장비, 책과 미술도구, 아이들의 예술작품, 그리고 예술가를 싣고 참가자를 찾아가는 이동식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 이른바 「문화예술교육버스」. 미국, 코스타리카, 홍콩, 한국 등에서 바쁘게 달리고 있는 버스를 만나보자! 부릉부릉-   미국 「존 레논 교육투어버스」: 움직이는 최첨단 스튜디오   존 레논 교육투어버스는 사실 존 레논이 만든 버스는 아니다. 미국의 한 비영리 문화단체에 의해 만들어져 1998년 활동을

인문학을 통한
문화예술교육의 재발견, 인문키움

  문화예술교육 아카데미에 대해 알아보는 그 세 번째 만남! 오늘은 인문학적 시각으로 문화예술교육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 볼 수 있는 인문키움에 대해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주로 예술강사, 교육기획자, 기관 ∙ 단체 실무자 등 문화예술교육 ‘현장 실천가‘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아마 많은 현장 실천가분들이 주어진 환경 속에서 학생들과 호흡하며 치열한 하루하루를 보내고 계시겠지요. 그 하루하루가 쌓여 너무 많은 시간이 흘러가버리기 전에 잠시 숨을 고르고 ‘왜 문화예술교육을 하는지’에 대한 근원적인 질문을 해볼 필요가 있지 않을까요? ‘인문키움’은 인문학 각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교육강사님들과의

묵자는 과연 음악을 부정했을까?
_동양철학자 신정근②

춘추시대의 제자백가는 하나같이 개성 있는 인물들이다. 그 중에서 주장과 행동이 두드러지게 돋보여서 제자백가 사이에서도 주목을 받은 인물이 있다. 다름 아니라 묵자(墨子)이다. 그는 성을 두고 벌이는 전투에서 공격과 수비용 무기를 만들기도 하고 약소국이 침략을 받으면 용병으로 전쟁에 개입하기도 했다. 그는 전쟁, 제작, 학술 등 다양한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 내부적으로 절대 복종과 신용을 생명같이 여기는 철의 규율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러한 특성을 반영하는 말로 묵수(墨守)라는 고사성어가 있다. 묵자 집단이 무슨 일을 하겠다고 한번 약속을 하게 되면 목숨을 걸지언정 계약을 위반하지 않았던 것이다.  

예술강사,
교육자의 기술과 예술가의 지식

  지난 8월 29일부터 31일까지 노르웨이 오슬로에서 제1회 예술강사 컨퍼런스 1st International Teaching Artist Conference가 개최되었다. 이번 컨퍼런스는 3년 전 노르웨이에서 에릭 부스가 예술강사에 대해 기조 발제를 한 것에 대해 노르웨이 정부가 관심을 갖고 서로 지속적으로 연락하며 교류한 것을 기반으로 열리게 되었다.   교육자의 기술과 예술가의 지식을 사용하는 ‘예술강사’   예술강사 teaching artistry라는 단어는 오랫동안 여러 나라에서 다른 단어로 사용되어 왔는데, 이번 컨퍼런스의 기조발제자 에릭 부스는 예술강사를 단순히 예술가 혹은 교육자가 아니라, 특별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교육자의 기술과 예술가의 지식을

문화예술교육, 새로운 꿈을 품다.

  KT와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이 함께 기획하고 지역아동센터협의회와 (사)문화예술사회공헌네트워크가 파트너십을 이뤄 진행하고 있는 ‘I-Dream’입니다. ‘I-Dream’은 음악, 미술, 연극, 영상, 무용의 5개 장르 예술강사가 장르의 벽을 허문 통합 문화예술교육을 시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일반 문화예술교육과는 조금 차이가 있다는 ‘I-Dream’의 교육 현장, 그 차이점이 무엇인지, 영상으로 만나볼까요?   Video문화예술교육, 새로운 꿈을 품다. [youtube_sc url=http://youtu.be/CM_HAFk9VgM class=”media_video”]   미술시간에는 배경으로 쓰일 그림을 채색하고, 연극시간에는 자신의 노래 파트와 자리를 점검합니다. 미술시간에 연극 선생님이 색칠을 돕고, 연극시간에 미술 선생님이 아이들을 다독입니다. 아이들은 과목의 벽이 허물어진 이 수업에 어쩐지 더

어린이 국악놀이 App 출시

  [어린이 국악놀이 App]이 출시되었다. (T-store / 9월 19일 출시)   이 App은 학교 예술 강사로 활동하고 있는 한유미 국악강사와 예술단체 화타가 함께 기획하고 개발한 App로, 새로운 감각의 국악악기의 콘텐츠(안드로이드) 서비스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이 App은 그림책 같은 이미지로 거문고, 단소, 해금 연주기법을 제공하여, 스스로 연주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동요와 민요를 직접 연주하도록 개발되어 국악과의 친밀감을 높일 수 있으며, 화면을 터치할 때 들리는 국악기 소리는 화타 단원들이 직접 연주하여 실제 연주하는 것과 같은 생생함을 느낄 수 있다.   서양

묵직한 지식보다 발랄한 느낌으로
『미학 오디세이』다시보기

딱딱한 현실에서 가벼워 지는 방법, ‘낯설게 하기’   예술가들은 작품을 통해 자신이 갖고 있는 철학적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고민합니다. 어떠한 방식으로, 어떻게 표현하는가에 따라 그림이 갖는 의미는 달라지기 마련이기 때문입니다. 마그리트는 사물을 통한 ‘낯설게 하기’ 기법을 활용합니다. 대상이 전혀 생각지 못한 곳에 놓여있다든지, 혹은 예측할 수 없는 행위를 하고 있는 등의 표현으로 그 사물을 낯설어 보이게 합니다. 그것은 사물에 더욱 주목할 수 있는 효과를 내고, 더 큰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것입니다. 우리가 너무나 당연하고 익숙하게 여기던 것들이 낯설어지는 순간, 우리는

표현, 신체, 예술_ 철학자 이정우③

인간의 삶에서 ‘표현(expression)’이 차지하는 의미는 매우 크다. 우리는 여러 맥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을 표현하면서 살아간다. 표현하지 않는 삶이란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런데 이 ‘표현’이란 정확히 무엇일까? 표현하는 것은 어떤 존재이고 표현되는 것은 어떤 존재일까? 표현이 우리 삶에서 중요한 근본적인 이유, 존재론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그리고 표현과 예술의 관계는 무엇일까?   세계의 가장 기본적인 성격은 생성(becoming)에 있다. 세계는 정지해 있는 것이 아니라 단 한 순간도 쉼 없이 생성하고 있다. ‘존재’한다는 것은 사실상 ‘생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모든 생성이 우리에게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우리에게

모두의 마음에 둥근달 하나 떠올랐습니다.

    어렸을 적엔 ‘은진이보다 키가 더 크게 해주세요.’라고 빌었고, 학창 시절엔 ‘언어영역 10점만 더!’라고 빌었습니다. 작년엔 ‘어머니의 건강이 더 좋아지시길.’이라고 빌었구요.   올해에는 어떤 소원을 빌고 싶으세요?   캘리그라퍼 강병인 명예교사의 그림 속 둥근달처럼, 그 어느 때보다 크고 환한 달이 떠올라 당신의 소원이 닿을 수 있길 아르떼도 기원할게요.   둥근달에 띄우는 소원 한 자락과 오손도손 나누는 이야기들로 마음 넉넉한 한가위 되시길 바랍니다.        * 본 페이지에 게재된 이미지의 출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강병인 캘리그라피연구소 「술통」 주소 http://www.sooltong.co.kr/pure/pure01.php?page=51 아르떼365는

예술교육과 적극적 학교생활의
상관관계

  유럽 문화전문가 네트워크(유럽위원회의 교육․문화부서 (European Commission Directorate General for Education and Culture)에 의해 2010년 개설)는 지난 3월, 학교에 관심을 갖게 함에 있어 예술교육의 역할 (The Role of Arts Education in Enhancing School Attractiveness)을 주제로 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오스트리아의 문화연구기관인 에듀컬트 (Educult)의 대표 미하엘 빔머 (Michael Wimmer)와 영국 윔블던대학교의 예술교육 연구가인 앤 뱀포드 (Anne Bamford)가 이 연구의 연구원으로 참여했다. 연구는 학생, 부모, 교사, 학교 행정가, 지역사회 등의 관점에서 학교에 대한 호감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요소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연구에서 내린 결론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