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노트
주제의 기획 의도와 방향을 공유하여 독자의 폭넓은 이해를 돕는 편집위원의 글을 제공합니다.
균열과 재구성
최근 급격한 학교예술강사 예산 삭감과 여러 사업의 지방 이양에 관한 소식을 들으면서 왜 그날 밤이 떠올랐을까? 아마도 순간 나를 일으켜 세웠던 작은 진동이 만들어낸 각성(awakening)의 느낌 때문일 것이다. 지난 20여 년 동안 정부 주도 문화예술교육의 확장은 흔들리지 않는 견고한 기반을 다지는 과정이었다. 이제는 제법 익숙해진 문화예술교육의 틀이 다시 한번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작은 파열음에 귀 기울이며 각성한 마음으로 문화예술교육 정책, 실행 체계, 현장을 되돌아볼 시점이다.
11월, 12월의 [아르떼365]는 한 해를 마무리함과 동시에 ‘균열과 재구성’을 주제로 문화예술교육이 서 있는 현재의 위치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실행 주체의 관점에서 정책의 생애주기를 재검토함으로써 긴장과 충돌의 틈새에서 조정과 이해의 접점을 찾는 대화를 시작한다. 지역으로 파고 들어가는 기초단위의 움직임을 포착하는 한편, 시선을 돌려 유네스코 문화예술교육 국제규범, K-문화예술교육 등 국제적 차원의 확장성을 모색한다. 균열에 대한 민감한 의식이 내일의 문화예술교육을 만드는 출발이 될 것이다. 김선아_3기 편집위원장·한양대학교 응용미술교육과 교수
-
이슈 2024.12.30
오늘에 도전하고 미래를 가늠하는 비판적 성찰
-
이슈 2024.12.30
흔들림에 지지 않는 서로를 응원하며
-
리포트 2024.12.30
국제적 관점을 이해하며 재구성해가는 미래
-
이슈 2024.12.23
변화의 틈바구니에 뿌리는 실천의 씨앗
-
사람 2024.12.23
경계 없는 빠키의 세계
-
아이
디어 2024.12.23답 없는 질문을 품고 다시 카메라를 든다
-
현장 2024.12.16
작은 씨앗으로 어느새 꽃을 피운 ‘우리’
-
아이
디어 2024.12.16사람을 걱정하지 않으면 ‘시’가 아니다
-
리포트 2024.12.16
2024년 10·11월 해외동향
-
사람 2024.12.09
엉뚱하고 재밌게, 무지개 너머로
-
현장 2024.12.09
아이들과 함께 꿈꾸는 지역 문화예술 공동체
-
리포트 2024.12.09
꿈의 예술단이 만들어갈 새로운 세계
-
이슈 2024.12.02
자치와 분권, 지역이 주체로 서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현장 2024.12.02
현장의 생생한 질문들로 채워진 소통의 장
-
리포트 2024.12.02
다른 국적도 문화도 공기처럼 감싸는 예술의 기운
-
이슈 2024.11.25
양적 팽창이 멈춘 뒤, 전환의 가능성
-
이슈 2024.11.25
흔들림 속에도 놓치지 않을 가치와 신념
-
리포트 2024.11.25
더 나은 내일을 위한 실천과 모색
-
이슈 2024.11.18
변화에 발맞춰 미래를 준비하는 끝없는 도전
-
아이
디어 2024.11.18세월에도 변함없는 편안한 친구처럼
-
리포트 2024.11.18
문화예술교육의 큰 물결은 어디로 향할까
-
이슈 2024.11.11
미래 세대가 차별 없이 누려야 할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
현장 2024.11.11
달이 모양을 바꾸듯, 새로운 마음으로
-
아이
디어 2024.11.11무심한 공생을 위해, 초록은 생각하지 마?
-
이슈 2024.11.04
참여하고 누릴 권리, 출발점은 여전히 유효한가
-
사람 2024.11.04
게임오버? 함께 새 판을 짜자!
-
리포트 2024.11.04
전환과 실천을 위한 탐구의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