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별 전체 기사
아르떼365 기사들을 주제별로 분류해놓았습니다.
예술가의 책방
예술(교육)가의 교류와 확장, 창작의 거점이 되는 책방의 이야기를 살펴본다.
회복과 전환 – 포스트코로나 시대, 예술교육의 역할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가치를 모색하고 현장과 실천 사례를 살펴본다.
존재하는 위험, 그 속에서 예술교육을 한다는 것
문화예술교육 활동이 활발해지고 신선한 움직임이 약동해야 할 이 시기에,
존재하는 위협 속에서 무엇을 향해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
비틀
돌아보고 되새기고 준비하기
[좌담] 존재하는 위험, 그 속에서 예술교육을 한다는 것
정리_프로젝트 궁리 2022.04.25 -
움틀
예측할 수 없어도 본능적으로,
그게 춤이야!비접촉 시대를 건너는 프로젝트 곳곳의 모험
이려진_시각예술 작가 2022.04.25 -
비틀
머물고 그리며 환대하라
마을의 기도하는 예술가가 되어야 할 시간
조한혜정 _ 할머니, 문화인류학자, 연세대학교 명예교수 2022.04.18 -
움틀
재난의 시간, 가족의 클리셰와 터부를 깨다
만물작업소 <유연하고, 단단한 발자국>
윤영욱_프로젝트그룹 번지 기획자 2022.04.11
쌓이는 것, 흘러가는 것
한국문화의 속성과 전통적 흐름에 기반을 두고 활동하는 문화예술교육의 현장과 사례를 짚어본다.
예술, 예술가의 본질과 마주하며
한 해의 시작, 예술가가 자신의 예술 작업이자 과정으로서 자연스럽게 결합하며 활동하는 문화예술교육 현장과 사례를 살펴본다.
-
꿈틀
서로의 곁을 지키고 돌보는 소리와 진동
‘노래하는 옥수수’ 김주혜 음악가
조은아_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2022.01.24 -
비틀
절지천통 시대-격동하는 예술을 위하여
예술의 본질에 관한 서론
김남수 _ [몸] 편집장 2022.01.24 -
비틀
예술은 어떻게 삶을 흔들고 갈망하게 하는가
빼뻘에서 마주한 예술의 질문
김현주_시각예술가·아티스트커뮤니티 클리나멘 대표 2022.01.17 -
싹틀
바닷길 따라, 지속가능한 예술의 미래를 향해
스칸디나비아 ‘기후를 위한 행동’의 예술적 실천
박지선_프로듀서 그룹 도트 크리에이티브 프로듀서 2022.01.17
2021-2022, 문화예술교육 결산과 전망
문화예술교육 참여자의 이야기를 통해 2021년 문화예술교육계 주요 이슈를 꼽아보고,
2022년 주목해야 할 흐름을 짚어본다.
-
비틀
길 끝에서 새 길을 튼다
2021-2022 문화예술교육 결산과 전망② 2022 도전과제
정리_프로젝트 궁리 2021.12.27 -
싹틀
새로운 꿈을 꾸듯,
예술의 기운을 전합니다2022년 예술가의 새해 소망
구지민·방영경·이승연·이영연·최제헌 2021.12.27 -
비틀
비대면-초연결, 새로운 시대의
첫 장을 열며2021-2022 문화예술교육 결산과 전망① 2021 이슈와 평가
정리_프로젝트 궁리 2021.12.20 -
싹틀
금쪽같은 문화예술공간
“문세권에 삽니다”평범한 일상을 반짝이게 하는 동네 예술공간
프로젝트 궁리 2021.12.20
시민의 활동력을 북돋는 문화예술교육
시민이 주도하는 다양한 현장과 사례를 통해 짚어본다.
문화예술교육 분권의 길 찾기
문화예술교육의 지역화 시대, 참여와 분권의 의미를 생각하며 지역주체 ‘누구나’ 함께하는 문화자치의 실현 가능성을 모색해본다.
-
동틀
신뢰의 에너지가 흐르는
안전한 공간 ‘거점’지역이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⑨
김정이_비커밍 콜렉티브 대표 2022.01.03 -
동틀
어제와 오늘을 새기고 이어갈 문화예술교육의 내일
지역이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⑧
백령 _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연구위원 2021.12.20 -
동틀
골목에서, 동네와 지역에서,
서로를 연결하는 실험지역이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⑦
임진아 _ 문화기획자 2021.11.29 -
동틀
울퉁불퉁한 현장에서 뿌리내리는 발견의 가치
지역이 만들어가는 문화예술교육⑥
원향미_부산문화재단 정책연구센터 선임연구원 2021.11.22
학교문화예술교육
-
꿈틀
학교 안 예술가 작업장의 실험
이호동 놀이예술가, 광주 야호문화센터 상주작가
천윤희 _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2020.04.27 -
동틀
사회문제에 대응하고 미래사회에 대비하는 학교예술교육 활성화
학교문화예술교육 관련 정책 동향
기획 _ 지식정보R&D센터 2020.04.27 -
비틀
아이들의 목소리에서 답을 찾는다
학교에 뿌리내리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이호재 _ 명진초등학교 교사 2020.04.20 -
움틀
‘스스로, 서로, 넘나들며’
배움의 원리가 작동한다공간민들레 오디세이민들레학교 ‘프로젝트 활동’
김경옥 _ 공간민들레 대표 2020.04.20
더 가까이 일상적 삶의 장소에서
생활권역에서 작동하는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가치, 그리고 해결해야 할 과제에 대해 살펴본다.
장벽 없는 문화예술교육
모든 사람의 자리를 인정하는 사회적 감수성, 환대하는 문화예술교육을 논의해본다.
새롭게 마주하는 감각
다시금 ‘포스트 코로나’ 논의가 뜨거운 지금, 만남과 연결에 대한 창의적 접근과 실행에 대해 질문해본다.
당사자성을 탐구하는 방법
-
비틀
어린이의 ‘무한한’ 세계와 만나려면
어린이 문화예술교육이 놓치지 않아야 할 것
김소영_작가 2021.06.28 -
싹틀
삶을 배우고 꿈을 응원하는
전환의 시간드라마 <나빌레라>가 일깨운 노인 문화예술교육
조은아_피아니스트,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2021.06.28 -
움틀
느긋이 함께, 꾸물거리며 꿈꾸다 보면
꾸물꾸물문화학교의 관계 맺기
최보연_상지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조교수 2021.06.28 -
싹틀
자기 이야기가 생겨나는 자리
스스로 주인공이 되는 『자연에서 노는 아이』
탁동철 _ 양양 조산초등학교 교사 2021.06.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