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정민룡'

최신기사

[제주 센터] 2018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성과공유 워크숍 개최

제주문화예술재단에서는 2018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의 주요 성과를 공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기 위해 오는 12월 19일(수) 오후 3시 리젠트마린더블루호텔 1층 더블루홀에서 2018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성과공유 워크숍을 개최한다. 올 한해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는 제주 문화예술교육 사업을 위해 46개 단체와 문화기반시설 4개소를 지원하였다. 이번 워크숍에서는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사례 소개 및 발표, 지원사업 평가, 정민룡 광주북구문화의집 관장의 특강과 자유토론 등이 진행될 예정이다. [관련링크] [제주 센터] 2018 제주문화예술교육지원사업 성과공유 워크숍 개최

문화예술교육 현장 비평이 필요한 때
‘세상에 나쁜 예술교육은 없다’

고길섶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기획자 인터뷰

문화예술교육이라는 거울을 통해 예술교육 현장을 비평하다 예술교육 좀 하는 전북 부안 출신 문화비평가 고길섶. 문득 그의 이름이 궁금해졌다. 진짜 길섶이란다. ‘이름대로 산다’는 말을 믿지 않더라도 적어도 그의 이름에는 그의 존재와 개성을 가름할 수 있는 어떤 사연이 있지 않을까? 어머님이 고추밭 농사일을 하다 길가에서 낳았다는 출생의 비밀(?)이 있었다(호적에는 분명 한자 이름인 ‘길섭’이지만 자기 맘대로 길섶이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길섶’이라는 이름은 낭만적이고 목가적인 느낌을 주는 예쁜 우리말이다. 길가, 길 어깨, 길의 가장자리의 의미처럼 그가 접하는 세계는 분명 중심이 아닐 것이다. 주변과 경계에

지역 문화로서 생활문화,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문화와 생활 그리고 교육

지역 문화로서 생활문화, 그리고 문화예술교육 문화는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전해지고 향유되기 때문에 지역 범위, 즉 생활권 단위에서 이루어질 수밖에 없으며, 당연히 지역적 한계, 즉 지역성을 띨 수밖에 없다. 아리랑이 모두 다 같지 않고 지역마다 조금씩 다른 특성을 지닌 채 구전되어 전해지는 것처럼, 생활문화는 개별성, 지역성, 특이성을 강하게 지니고 있으며 지역 문화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요소가 된다. 물론 모든 생활문화가 지역성을 담고 있거나 지역 문화활동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생활문화가 주로 일상을 소비하는 ‘소비중심의 생활문화 욕구 충족’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현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