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고영직'

최신기사

배움의 시간을 잇는 매일의 자각

책으로 읽는 문화예술교육

모든 문제의 근원이자 해결책이 ‘교육’이라고 생각하던 시절이 있었다. 그때는 아무리 생각해도 교육이 변하면 세상이 나아질 것만 같았다. ‘내가 교장이 되어 학교를 운영한다면 이따위는 아닐 거야’ 하는 치기 어린 감정에 빠지곤 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래서였을까. 나는 사범대학에 진학했다. (당연히, 이내 그 꿈 따위 까맣게 잊어버렸지만.) 대학에 다니는 동안 단 한 번도 교사나 기자 같은 게 되어야겠다 생각한 적은 없지만, 교사 독자들을 위해 월간지를 만드는 출판사에서 기자로 일을 하게 되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전국의 수업 베테랑 교사들을 만나고, 학급운영 달인들의 글을 다듬으며

‘얼굴’이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수요자 중심① 전문가 좌담

수요자를 고려하지 않는 문화예술교육 현장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문화예술교육의 중심에 수요자가 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까? [아르떼 365]는 단지 ‘고객’의 소리를 듣고 반영하기 위함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의 질적 성장을 이끌기 위한 질문 중 하나로 ‘수요자’를 짚어보고자 한다. 수요자를 중심에 둔 문화예술교육을 이야기하기 위하여 전문가 좌담뿐 아니라 문화예술교육을 경험한 청소년과 청년의 이야기를 듣는 자리도 마련했다. 수요자의 입장에서 ‘삶과 연계된 학습’ ‘배움의 주체화’를 지향하는 문화예술교육은 무엇인지 돌아보자. [기획 포커스]수요자 중심 | ① 전문가 좌담 ② 청소년 좌담 ③ 청년 좌담 [전문가 좌담

‘주말 부족(部族)’은 어떻게 탄생하는가

2017 지역특성화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우리는 가족이야, 아니야?>

삶과 예술 아이들이 나무토막에 이쑤시개와 면봉 따위를 활용해 헝겊을 고정해 만든 ‘걱정 인형’을 손에 들고 친구네 집을 방문한다. 집은 의자 뚜껑 안에 마련한 작은 미니어처 형식의 보석상자(cassette) 같다. 아이들은 저마다 개성을 한껏 살려 자기집을 꾸미고 인형을 만들어 손님을 맞이하고 친구네 집들이에 마실을 간다. 손님과 주인은 자기 분신(分身)과도 같은 인형을 마주하며 시시콜콜한 대화를 주고받는다. ‘아무 방’이라고 이름 붙인 아홉 살 김병준 군은 “내가 하고 싶어 하던 일이어서 더 빠져든다.”며 즐거워한다. 신난 것은 아이들만 그런 것이 아니다. 네 살짜리 아이와 함께 프로그램에

세대가 만나는 문화예술, 고령화 사회의 대안적 길을 찾다

전문가 좌담_고령 친화 사회를 향한 문화예술교육

새 정부 국정 과제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이 유아, 아동, 청소년, 청년, 노년 등 생애주기별로 더욱 세분화되고 있다. 특히 50대 이상을 대상으로한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이 실천과제 및 사업으로 제시되면서 노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고령화 속도가 가속화하는 한국 사회에서 ‘나이듦’을 잘 해내기 위한 노인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고민의 필요성 또한 더없이 커지고 있다. <노년과 문화예술교육은 어떻게 만나야 하는가?>. 이에 대한 정책적 접근을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 좌담회를 마련했다. 그동안의 노인 문화예술교육 현장을 점검하고, 노인 문화예술교육의 이슈와 쟁점은 무엇이며,

‘창의적 나이듦’을 넘어 ‘행복한 나이듦’으로 (1)

2017 한‧영 컨퍼런스 ‘창의적 나이듦(Creative Ageing)’

지난해 12월 5일, 주한영국문화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립현대미술관, 영국 배링 재단(The Baring Foundation)이 주최한 ‘2017 한‧영 컨퍼런스 <창의적 나이듦(Creative Ageing)>’이 서울시 50+서부캠퍼스에서 개최되었다. ‘2017~18년 한‧영 교류의 해’ 일환으로 열린 국제 컨퍼런스로서, 고령화로 파생된 사회적 이슈와 공통 과제에 대해 양국의 사례를 공유하여 고령화 사회에서 예술의 역할을 중심으로 양국 간 지식 교류를 확대하고 기관 간 네트워크 형성 및 협업 기반을 마련하고자 열렸다. 양국의 정책입안자, 관련 기관 및 전문가, 일반 시민 등, 약 200여 명 이상이 참석한 가운데 오전 프로그램 ‘기조 세션: 창의적 나이듦’과 ‘세션

수박을 맛보는 두 가지 방법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 배움포럼에 다녀온 앞과 뒤

포럼에 참석하기 전, 무슨 주제로 어떤 사람들이 모이는 지 살펴봤다. ‘문화예술교육, 체험에서 경험으로’라는 제목을 들으니 설명할 수 없지만 느낌이 왔다. ‘타율에서 자율로’, ‘떠먹여주는 밥 말고 지어먹는 밥으로’라고 비유할 수도 있겠다. 그리고 어쩌면 오래 전부터 해왔던 이야기, 아는 이야기일 수도 있겠다. 다음으론 어떤 분들이 이야기하는지 이름을 훑었다. 어라, 거의 아는 분들이다. 학교 스승, 직장 상사, 선배, 예술가, 기획자들. 20대 후반부터 내가 문화예술교육을 접하고 그걸로 밥벌이를 할 수 있게 앞뒤로 도와주고 좌우로 자극을 주었던 분들이다. 한 장짜리 포럼 시간표를 찬찬히 들여다보니 시공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