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은 사회적, 문화적 변화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의 역할과 방향을 모색하는 한 해였다. 특히 삶의 모든 순간에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 삶의 터전인 지역 곳곳에서 모든 국민이 누릴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다양한 정책적 노력으로 변화를 꾀했다. 이를 위해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이용실태, 수요를 조사하고, 지역 문화예술교육 계획을 분석하는 등 정책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조사·연구가 진행되었다.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에서는 성인(5060), 워라밸, 공간 등의 주제를 문화예술교육 관점에서 생각해보는 공론의 장을 마련했다. ‘영유아·어린이 문화예술교육’을 키워드로 개최한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부터 직장인, 신중년 등 생애주기별과 문화파출소, 예술꽃 씨앗학교 등 다양한 일상 공간에서 펼쳐진 문화예술교육의 결과를 공유하는 자료집을 발간했다. 한 해 동안 이루어진 크고 작은 연구와 실험, 개인의 삶으로 스며든 문화예술교육 현장과 예술교육자들의 목소리가 담긴 2019년 발간물을 소개한다.
키워드 훑어보기 : #서울어젠다 #생애주기 #지역 #학교 #창의적예술교육
올해는 ‘서울어젠다: 예술교육의 발전목표’ 수립 10주년이 되는 해이다. 「2019 서울어젠다 이행실적 점검연구」 에서는 국내 서울어젠다 이행 실적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분석·점검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정책 제언을 담았다. 작년 12월에는 이 연구 결과와 함께 ‘문화예술교육 유관학회 연계 작은 연구’ 8건의 결과를 공유하는 ‘2019 문화예술교육 포럼-서울어젠다 10년, 문화예술교육의 미래를 말하다’가 열렸다. 자료집은 이행실적 점검 연구, 예술교육의 보편적 접근성, 예술교육의 질적 향상성 등을 주제로 한 연구 결과의 발표자료와 종합토의로 구성되어 있다.
2018년 문화체육관광부는 ‘삶과 함께하는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5개년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삶의 터전인 지역 곳곳, 일상 속에서 개개인의 생애주기별 수요에 맞추어 문화예술교육을 즐길 수 있도록 여건을 강화한다는 내용이다. 2019년에는 수요에 기반한 정책설계와 생애주기별(유아·아동·청소년·성인·노인), 사업별 효과적인 교육을 제공하기 위한 조사와 연구가 진행되었다. 「2019 문화예술교육 수요조사」는 국민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 및 잠재수요를 통해 향후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참여 수준을 파악하고자 진행되었다. 「2019 문화예술교육 효과분석 연구」 에서는 문화예술교육의 효과와 효과 증대 요인, 효과의 변화양상 등 생애주기별 효과를 도출하였다.
그동안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2018-2022)」에 담겨있는 내용을 구체화하고 지역으로 사업을 이관하기 위해 지역협력위원회를 발족하는 등 다양한 논의와 준비를 해왔다. 17개 지역문화예술교육 계획을 분석하여 지역에 맞는 정책 방향을 제안하고자 진행한 「지역문화예술교육 계획 분석 연구」 보고서는 「문화예술교육 지원법」과 「문화예술교육 종합계획」의 연계성을 검토하고 지역별 계획의 전반적인 경향과 차별점, 지역 문화예술교육의 이슈맵과 시사점 등을 도출하였다. 이와 함께 지역 간 문화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 거점인 문화기반시설에서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모색하는 연구가 진행되었다. 또한 ‘지역센터 협력 연수’ 중 지역센터와 공동기획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실행, 평가와 제언 등을 담은 연구도 진행되었다.
· 지역문화예술교육 계획 분석 연구
· 2019 문화기반시설 문화예술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지역문화예술교육 생태계 관점에서 인적 역량 개발을 중심으로
· 2019 지역센터(인천) 협력 공동기획 연수프로그램 결과분석 연구 <데이터와 연산장치>
· 2019 지역센터(제주) 협력 공동기획 연수프로그램 결과분석 연구 <필드노트 - 수집된 물질들>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활성화, 내실화를 위한 다양한 연구와 연수 프로그램도 있다. 2014년부터 매년 진행하고 있는 「2019 학교 문화예술교육 실태조사」 보고서에는 전국 초·중·고등학교(11,657개)의 76.9%가 응답한 문화예술교육 운영현황과 교육 환경 등을 조사한 결과가 담겨있다. 교사와 예술교육가 간의 협력으로 학교 문화예술교육의 돌파구를 찾고자 했던 「2019 교사-예술교육가 협력 기반 학교 문화예술교육 기획 연수 결과분석 연구」 보고서에는 교사-예술교육가가 함께한 FGI 인터뷰, FGI 워크숍, 기획 워크숍의 실행과정과 내용, 결과를 분석하여 현장에서 느끼는 현실적인 질문과 방안 등을 담았다.
교육자로서 활동하는 예술가들에게 창의적 교육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2016년부터 진행하고 있는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는 예술 장르의 경계와 구분 없이 감각을 깨우고 새로운 발상을 촉진하는 연수 과정이다. 2019년에는 5개 교육강사팀이 연수과정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각 연구보고서에는 프로그램 기획 과정, 운영 내용, 성과와 개선사항 등 프로그램의 성장과 확장을 위한 연구 결과가 담겨있다.
[2019 창의적 예술교육 프로젝트 연수 프로그램 개발 연구보고서]

· 오월, 몸에 묻는 이름들/ 팔월, 몸이 묻는 이름들
· 몸으로 만나는 나
· 연극만들기를 통한 일상의 재발견과 스토리텔링을 통한 접근의 실험과 발견-Lost and Found
· 감각의 재발견
· Let’s go together!

포럼/심포지엄
교육진흥원은 2019년 총 네 차례에 걸쳐 사회 주요 이슈를 문화예술교육의 관점으로 생각해보는 공론의 장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을 개최했다. 문화예술교육 핵심 의제(core agenda)로 도출된 ‘성인(5060) 문화예술교육’ ‘주 52시간 근무와 문화예술교육’ ‘문화예술교육 공간’ ‘문화예술교육의 효과’를 주제로 현장의 이야기를 들어보고 함께 토론하는 자리였다. 콜로퀴엄 자료집에는 발제 자료와 토론문 그리고 주제 관련 연구 요약 등 참고자료가 담겨있다.
· 2019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1차) <이제는 성인(5060) 문화예술교육이다!> 자료집
· 2019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2차) <삶의 시간의 회복을 위한 52시간> 자료집
· 2019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3차) <공간, 만들어 가는 문화예술교육> 자료집
· 2019 문화예술교육 콜로퀴엄(4차) <문화예술교육 효과,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자료집
2019년에는 그간 정책사업에서 소홀히 했던 ‘영유아·어린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활성화하고자 했다.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 결과보고서’에는 ‘처음의 시간, 끝없는 시작-나였던 그 아이는 어디 있을까’를 주제로 한국, 미국, 이탈리아, 싱가포르 등 국내외 문화예술교육 전문가, 예술교육가가 참여한 국제심포지엄Ⅰ·Ⅱ의 발제와 라운드토크의 주요 내용이 요약되어 있으며, 연사별 발제는 영상으로 다시 볼 수 있다. 2019년 6월 제주에서 열린 ‘2019 한중일 문화예술교육 포럼’에서는 ‘문화기반시설의 어린이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을 주제로 3국 관계자가 모여 국가별 정책, 연구와 사례를 공유했다. 결과자료집에는 각국의 정책 및 사례 등 발표자료가 담겨있다.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과 꿈의 오케스트라 사업은 다양한 관점과 생각,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2019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지식공유 컨퍼런스’에서는 ‘실패, 위로, 노하우, 삶’ 등의 키워드로 한 해 동안 함께 진행한 복지기관 문화예술교육 활동에 대한 다양한 생각과 지식을 공유하는 자리였다. ‘더 나은 만남과 활동을 위한 고민을 나누다’라는 제목으로 열린 컨퍼런스는 동영상으로 다시 볼 수 있다. ‘2019 꿈의 오케스트라 지식공유 포럼’에서는 다양한 오케스트라 교육방법과 오케스트라 교육 발전을 위한 간담회가 진행되었다. 포럼 자료집에는 ‘한국형 꿈의 오케스트라 – 창의적인 접근에 대한 고찰’을 주제로 한 기조발표와 국내외 오케스트라 교육사례 발표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정책사업별 사례와 결과
2019년에는 생애주기별, 삶의 터전 가까이에서 문화예술교육을 만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사업이 펼쳐졌다. 특히 지역 중심의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역과 협력하거나 지역센터가 주체가 되어 사업을 추진하였다. 5월에 개최한 ‘2019 세계문화예술교육 주간행사’ 역시 지역센터 협업 프로그램, 지역센터 자체 프로그램 등이 서울과 함께 동시다발적으로 열렸다. 부산, 대구, 대전, 강원, 제주 5개 대상지를 선발해 지역센터가 주체가 되어 지역 자원을 발굴하고 콘텐츠를 연구·개발한 ‘2019 창의예술교육 랩 지원사업 성과사례집’도 추진 1차년 사업의 의미 있는 성과를 담았다. 2019년 12월 열린 ‘2019 생애전환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공유회’ 자료집에는 지난 2년간 교육진흥원과 5개 지역센터가 진행한 사업소개 함께 프로그램 연구 결과, 지역센터 사례 발제 내용이 담겨있다. ‘2019 문화파출소 운영가이드-동네를 지키는 힘이 바뀐다’에는 사업의 이해를 돕고, 문화파출소를 운영할 다양한 지역 주체들의 논의에 시작점이 될 경험과 지식이 담겨있다. 이밖에도 다양한 정책사업의 생생한 현장 기록과 결과를 볼 수 있다.
· ‘2019 직장인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결과자료집-진짜 ‘나의 삶’은 퇴근 후에 시작된다!’
· ‘2019 예술꽃씨앗학교 마을축제형 성과공유회 사례집-예술이 꽃피는 마을’
· ‘2019 문화파출소 운영사업 사례집-문화X파출소, 동네를 지키는 힘이 바뀐다’
· ‘2019 고3·수험생 대상 문화예술교육 지원사업 ‘상상만개’ 결과자료집’
· ‘2019 농산어촌 이동형 문화예술교육 <움직이는 예술정거장> 백서’
· ‘201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일상의 작가 기록집; 마주치는 시선과 경험의 기록’
· ‘2019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기획워크숍 Free Play Fun 결과자료집’
2005년부터 2018년까지 50차에 걸쳐 진행된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을 연도별, 권역별, 차수별로 정리한 ‘해외전문가 초청워크숍 2005~2008 BEYOUND 50 RE:START’ 아카이빙 홍보물에는 전 세계 문화예술교육 전문가들과 교류하고 소통한 지난 사업 성과를 담았다. ‘문화예술 명예교사 사업’도 10주년 기념 소책자 ‘다시 특별한 하루’를 발간하고 2009년부터 진행된 사업을 정리한 인포그래픽, 명예교사 인터뷰 등 사업의 10년사를 담았다.
문화예술교육 현장의 경험과 지식이 담긴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발간물은 arte라이브러리(lib.arte.or.kr)에서 볼 수 있다.
프로젝트 궁리
정리 – 프로젝트 궁리 주소진